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새 2022.3.26.흙.



하늘을 나는 새를 보면 네 마음이 어떠니? 하늘을 날다가 땅이나 나무에 내려앉는 새를 보면 네 마음이 어떠하니? 새하고 네가 한마음으로 잇닿은 줄 느끼니? 새랑 너는 하나도 안 잇닿았다고 생각하니? 그저 남남이라 딱히 생각이 없니? 새를 물끄러미 바라보면 새는 너를 바위나 나무처럼 여기지. 새를 따스한 눈빛으로 바라보면 새는 문득 ‘앉아서 노래하기 즐거운’ 바위나 나무가 있다고 여겨 네 머리나 어깨로 옮겨앉아. 이때에 네가 가만히 서거나 앉아서 마음으로 이야기를 띄우면, 새는 동무랑 이웃을 불러서 너를 둘러싼 채 노래잔치에 수다잔치를 벌인단다. 너는 새가 온누리를 날아다니면서 보고 듣고 겪은 이야기를 들어 보겠니? 새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가만히 새기면서 이 모든 이야기가 무슨 뜻인지를 새한테 풀어서 속삭여 보겠니? 새는 날갯짓으로 바람을 탄단다. 너는 눈빛을 밝히는 싱그럽고 상냥하면서 즐거운 마음빛일 적에 온누리 어디로든 곧장 가로지르면서 마실을 누리지. 때로는 이 땅을 하나하나 지켜보고 싶기에 사뿐사뿐 천천히 거닐면서 온누리를 누리고. 그러니 보렴. 새를 가만히 보렴. 새를 잘 보고 싶다면 볕이 잘 들고 바람이 싱그러이 흐르는 자리를 골라서 즐거이 웃음짓는 낯빛으로 가만히 서서 마음으로 불러 봐. 네 마음빛을 맞이하고 싶은 새는 언제 어디에서나 가볍게 날아앉는단다. 네 따순 기운을 느끼면서 온갖 이야기를 노래로 들려주고 싶거든. 풀꽃나무하고 바위는 늘 새를 아늑히 맞이하면서 ‘이야기노래’를 듣지. 새가 나무나 바위에 내려앉는 뜻을 헤아리렴. 네가 새를 부드러이 사귀고 느긋하게 만나고 싶을 적에는, 너 스스로 바위가 되고 나무가 되면 넉넉하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그릇 2022.3.21.달.



먹지 않으면 굶어죽는다는 두렴씨앗을 스스로 마음에 심기에, 늘 이 생각에 사로잡혀서 죽는다. 먹어야 안 굶어죽는다는 생각에 갇히기에 둘레 목숨이 너랑 어떻게 다르면서 닮은 빛인가 하고 살필 겨를이 없이 허겁지겁 움직이지. 햇볕·바람·비를 받아들이면서 땅에 뿌리를 뻗는 풀꽃나무는 ‘먹을’까? 사람은 왜 ‘몸이 먹어’야 한다고 여길까? ‘먹을’ 적에 무슨 기운을 어떤 빛으로 맞아들이려는 마음일까? 홀가분하고(자유롭고) 싶다면 안 먹으면 되거나 아주 조금 맛보면 돼. 살아가겠다는 마음이라면 풀꽃나무가 너희한테 ‘이슬받이’를 알려주고 ‘해받이·비받이·바람받이’를 알려주지. 땅(흙)에서 기운을 발바닥을 거쳐 끌어올리는 길도 풀꽃나무한테서 배울 만해. 바람은 너희한테 따로 무게가 없이 스스로 그리는 대로 움직이거나 갈 수 있는 줄 알려줘. 해는 너희가 스스로 기운을 끌어올려서 마음껏 빛·볕·살을 펴는 길을 알려주지. 비는 너희가 온누리를 두루 누비며 이야기를 듣는 길을 알려줘. 풀은 너희가 훑어서 먹을 때뿐 아니라 눈으로 보고 손으로 쓰다듬고 발바닥으로 사뿐히 디디면서 푸르게 살아가는 길을 알려줘. 돌은 너희가 아프거나 앓을 까닭이 없이 한결같이 튼튼한 길을 알려줘. 구름은 너희한테 걸음걸이를 가르치고, 춤추며 뛰노는 길을 알려주지. 너희가 눈을 뜨고 마음으로 바라본다면 저마다 너희한테 길잡이가 되거나 길동무로 지내려 한단다. 보렴. 눈을 뜨고도 보고, 눈을 감고도 보렴. 맞이하렴. 두 눈으로도 맞이하고 온마음으로도 맞이해 봐. 받아들일 네 그릇은 작지도 크지도 않아. 네가 스스로 작다고 여기면 도무지 못 받아들이기 일쑤이고, 네가 스스로 넉넉하다고 여기면 언제나 실컷 받아들인단다. 잘 하거나 못 하는 사람은 없어. 마음을 기울이는 대로 내내 다르게 흐를 뿐이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말 2022.3.22.불.



살고 싶기에 아프거나 앓는다. 아프기 싫거나 앓기 싫으니 죽는다. 살고 싶기에 신나게 아프거나 앓으면서 허물을 벗어. 아프기 싫거나 앓기 싫으니 허물을 붙잡아. 실컷 아프거나 앓으면서 허물벗기를 하니 반짝반짝 새몸으로 튼튼해. 하나도 안 아프려 하거나 안 앓으려 하기에 허물을 안 벗으면서 자꾸 낡고 고이다가 썩으면서 죽음길에 이르러. 얼마나 오래 아프거나 앓아야 하는지 알겠니? 네가 새롭게 깨어날 사랑그릇대로 아프거나 앓는단다. 아프거나 앓는 몸을 고스란히 따사로이 바라보고 차분히 돌아보면서 스스로 빛나기까지 그저 온기운을 들이는 삶이야. 허물벗기를 하자마자 새로 허물벗기를 할 때가 있어. 허물을 한 꺼풀 벗었는데 더 벗을 허물이 줄잇기에 또 벗고 다시 벗기도 해. 네 마음에 담는 생각을 보렴. 네 마음에 흐르는 생각을 이룰 말을 고르렴. 고루고루 말 한 마디를 보면서 네 생각을 스스로 그리고 마음에 씨앗으로 심는 하루로 나아가렴. 너는 네 말을 찾아서 하면 돼. 너는 네 말이 네 마음을 이루도록 생각을 가꾸면 돼. 너는 네가 고이 고른 말로 마음이 가득가득 흐르면서 삶으로 피어나도록 네 기운을 쓰면 돼. 아주아주 자그마한 씨앗 한 톨이 아주아주 우람하게 자라서 나무로 서고 숲을 이루니, 새가 찾아들어 노래하고 풀벌레가 깃들어 노래하고 나비가 날아와 춤을 춘단다. 아주아주 조그마한 말 한 토막이 아주아주 사랑스레 크면서 사람으로 깨어나고 눈을 반짝이면서 부드러이 둘레를 어루만지는 손길을 뻗는 살림으로 나아가. 죽고 싶으면 아프지 않거나 앓지 않도록 미리맞기(백신)로 네 몸을 망가뜨리렴. 죽고 싶으면 자꾸 ‘약’을 먹으면서 네 머리(뇌)를 찢어버리렴. 살고 싶으면 오늘도 한껏 아프고 앓으면서 활짝 웃고 춤추는 네 넋을 바라보고 돌아보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누구 2021.12.18.흙.



네가 한다면 기쁘단다. 누가? 바로 네가 하니, 바로 네가 기쁘지. 네가 안 한다면 안 기쁘단다. 누가? 바로 네가 안 하니 바로 네가 안 기뻐. 내가 하니 네가 기쁠까? 아니야. 내가 아닌 네가 스스로 해야 네가 기뻐. 내가 너한테 재주를 부려서 하늘을 날도록 이끈들 너는 기쁘지 않아. 네가 너한테 빛을 뿌려서 스스로 날 적에 네가 참으로 기쁘단다. 해줄 수 없으니 해주지 마. 그저 네가 기쁠 길을 가는 네 기쁜 일을 스스로 찾아서 하렴. 너는 너이기에 기뻐. 너는 내가 된들 안 기뻐. 너는 나를 부러워하거나 싫어한들 안 기뻐. 날 쳐다보는 일은 끝내고 너 스스로를 마주할 적에 기뻐. 해주려는 생각은 이제 버려. 해보라는 말도 이제 그쳐. 그저 너 스스로 네가 갈 길을 가면서, 네가 할 일을 하고, 네가 누릴 놀이를 펴고, 네가 할 말을 짓고, 네가 그릴 이야기를 생각하고, 네가 품을 숨(목숨·바람)을 마셔. 너는 스스로 별이야. 네가 스스로 별인 줄 모르거나 못 느끼겠다면, 너는 잊힌 별이야. 너 스스로한테서 잊혀서 갇힌 별이지. 해도 푸른별(지구)도 별이고, 너도 나도 별이야. 꽃도 나무도 별이고, 돌도 모래도 별이야. 책도 종이도 붓도 실도 바늘도 옷도 별이지. 그런데 너희는 이 모두가 별인 줄 못 느끼거나 생각조차 안 하더군. 너희가 스스로 별인 줄 잊으니, 너희를 둘러싼 모든 ‘것’이 ‘숨결’인 줄 잊고, 누구나 ‘별이라는 숨빛’인 줄 잊어. 그래서 너희는 너희 스스로 기쁠 일을 스스로 기쁜 마음으로 하루를 지어서 살 노릇이야. 너를 봐. 너를 스스로 보면서 기뻐하렴. 네가 스스로 기쁜 빛살인 줄 느껴 봐. 네 기쁜 하루를 스스로 생각하렴. 네가 스스로 기쁘기에 너는 늘 사랑일 수 있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그곳 2021.12.17.쇠.



네가 보는 곳으로 네 기운이 흘러들어. 네가 있는 곳으로 네 생각이 뿌리내리고 싹터. 네가 서는 곳으로 너를 감쌀 바람이 불고, 너를 살찌우는 해가 비춰. 네가 그곳에 있기에 그곳이 네 기운을 받아서 빛나지. 네가 그곳에 없으면 그곳은 빛나지 않아. 그래서 ‘일터’라는 이름으로 너희를 오래 붙들어 두려고 한단다. 너희 기운을 받아서 그곳이 밝거든. 너희가 그곳에 가지 않고, 있지 않고, 머물지 않고, 보지 않으면, 그곳은 차츰 잊히면서 까맣게 타들어가다가 먼지가 되어 바스라지고 사라지지. ‘그곳’이란 ‘모든 곳’이야. 큰고장·서울도, 너희 집이나 마을도, 숲도 길도 똑같아. 너희는 숲에 안 사는데 숲은 멀쩡하지 않냐고? 풋. 웃기는구나. 너희가 숲에서 거의 안 살지만, 너희는 ‘그곳 숲’을 참 자주·오래·늘 생각하지 않니? 비록 큰고장·서울에서 사는 사람이 숲하고 동떨어져 지낸다지만, ‘잘 몰라’도 숲을 생각한단다. 그래서 숲은 아직 이 별에서 너희 큰고장·서울을 버티거나 살리는 터전으로 있어. 시골을 보렴. 차츰 사람이 줄어드는 작은고장을 보렴. ‘머물거나 살거나 있는’ 사람뿐 아니라 그곳을 생각하는 사람부터 확 줄어드니까 그곳은 차츰 죽어간단다. 돈을 뿌려야 살지 않아. 그곳을 즐겁게 떠올리거나 그리거나 생각하는 틈이 있어야 그곳이 살아가지. 너희는 너희 집과 마당과 뜰과 터를 얼마나 생각하니? 얼마나 즐겁게 생각하니? 얼마나 사랑으로 생각하니? 얼마나 즐겁게 누리고 보고 돌보면서 생각하니? 눈길·손길·발길·마음길이 모두 모이기에 너희가 살아가는 그곳이 빛나. 너희는 늘 기운을 둘레에 빛살로 뿌리는 숨결이야. 너희 숨빛을 어디에 어떻게 얼마나 쏟니? 너희는 무엇을 늘 보고 생각하고 그리는 하루를 살아가니? 너희 눈·코·귀·입은 어느 곳에 있니?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