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취소 2023.4.22.흙.



물을 못 마시는 사람은 없어. 물을 못 마신다면 이미 딱딱하게 몸이 굳었을 테니까. 찰랑이는 맑은 빛인 물이 있고, 열매·낟알·풀·살점에 깃든 물이 있어. 밥이든 빵이든 물이란다. ‘밥이라는 모습을 이룬 물’이나 ‘빵이라는 모습이 된 물’이야. 밥이나 빵에서 물기운을 빼면 곧장 바스라져서 가루조차 아닌 먼지가 된단다. ‘밀가루·쌀가루’는 물기운을 아주 빼내어 오래 건사한다고 여기지만, ‘하나도 없지는 않’아. 물기운이 하나도 없으면 ‘모습·꼴’이 풀어져서 흩어지거든. ‘가루’는, ‘숨기운인 물’을 그야말로 적게 남겼다가 나중에 물을 부어 되살리는 밥살림이야. ‘먼지’는, 모든 숨기운(물기운)이 사라졌기에 한덩이를 이룰 수 없어서 여기저기 그냥 날리는 부스러기이거나 조각이지. 네가 ‘그냥 물’을 마시든 ‘다른 먹을거리 모습으로 바뀐 물’을 먹든, ‘물기운을 받아들여서 숨기운을 살리는 얼개’를 읽을 수 있으면 돼. 이 얼개·길·꼴·그림을 읽는다면, ‘취소’라는 일이 없는 줄 알 만해. “하기로 했는데 안 하기”에 ‘취소’이지 않아. “안 하기로 하는 일을 하기”가 ‘취소’란다. 그 말이 그 말 아니냐고 되묻겠니? 그러나 알아두렴. “일을 안 하는” 사람은 없어. 누구나 언제나 ‘무슨 일’이든 하고 ‘무슨 배움길’이든 걸어서 ‘무슨 앎빛’이든 받아들인단다. 누구는 ‘살리는 앎빛’을 받아들여서 싱그럽지. 누구는 ‘살리는 앎빛을 등지거나 내치면서 새롭게 숨기운을 받아들일 마음이 없어 그만 스스로 모르는 굴레에 갇혀서 죽어가는 캄캄길’을 받아들이더라. ‘앎빛·숨기운’을 ‘안 받아들이는 일을 하기’를 일삼는 셈이니, 뭐 언젠가는 알아차릴까? 죽기 싫다면 말이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처벌 2023.4.23.해.



‘폭력은 나쁘다’고 여기면서 막상 ‘폭력 없애기’를 폭력으로 하려는 사람들이 많구나. 주먹질(폭력)이 나쁘다면 ‘바른 주먹질’도 ‘그릇된 주먹질’도 없어. 모든 주먹질(폭력)은 똑같이 주먹질이야. ‘좋은 사랑’도 ‘나쁜 사랑’도 없어. 사랑은 늘 사랑이란다. ‘좋은 말’도 ‘나쁜 말’도 없지. 말은 언제나 말일 뿐이야. 좋은 풀꼴나무가 있을까? 나쁜 풀꽃나무가 있을까? 풀꽃나무는 그저 풀꽃나무일 뿐 아닐까? ‘좋다·나쁘다’를 가르려 하기에 ‘이쪽이 옳다’와 ‘저쪽이 틀리다’를 쩍쩍 쪼개어 싸우고, 싸우려고 붙으니 주먹질이 불거져. 서로 스스로 옳거나 좋다고 여기면서 저쪽은 틀리거나 나쁘다고 밀치기에 주먹질이 싹터서 퍼진단다. ‘이쪽만 옳다’고 여기는 마음은 ‘옳은 쪽’이 힘세야 하고 힘을 부려서 앞장서거나 이끌거나 다스려야 한다고 여기지. ‘안 옳은 쪽’이나 ‘나쁜 쪽’이나 ‘틀린 쪽’이라며 손가락질을 받는 쪽은 그저 숨죽이거나 억눌리거나 암말도 하면 안 되기에, 고분고분 따르라고 내몰려는 마음이 주먹질(폭력·전쟁)으로 간단다. 이 주먹질은 어떻게 끊거나 없애거나 녹일 수 있을까? ‘값치르기(처벌)’를 안 시키면 돼. “네가 이만큼 잘못했으니, 이만큼 톡톡히 값을 치르라구!” 하는 짓(처벌)을 마음자리에서 깨끗이 치워야, 싸움부터 없고 갈라치기가 사라지니, 주먹질은 저절로 녹아서 떠나지. 값을 치르라고 내몰지 마. ‘사랑’을 펴서 사랑을 보여주렴. 해님처럼 날마다 알맞게 비추는 숨기운이 사랑이란다. 사랑을 폈으면 ‘해가 진 밤’이 갈마들듯, 가만히 지켜보고 기다리면 된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개 2023.4.4.불.



너희들은 참 아리송해. 곁에 두면서 귀여워하고 싶다면서 ‘들숲에서 살아가는’ 새끼 늑대를 어미 늑대 몰래 데려다가 너희 손으로 길들이면서 같이 살아왔잖아? 그런데 너희는 왜 사람끼리 서로 갉거나 깎아내릴 적에 “개 같은 놈”이라고 말을 하지? 개한테 잘못하는 말일 뿐 아니라, 웃긴 말이지. ‘귀여워하려’는 짐승이라면서 붙인 ‘개’라는 이름을 왜 깎음말(욕)에다가 쓰니? ‘개’는 작으면서 귀엽고 앞으로 멋스레 클 숨결한테 붙인 이름이지. 그래서 ‘개나리’이고 ‘개꽃’이야. 또한, 들숲에서 살던 귀여운 숨결이기에, 너희 같은 ‘사람 손길을 안 탔다는’는 뜻에서 ‘개복숭아’라 하지. 그러나 모든 개는 너희 사람한테 길들지 않았어. 고분고분 귀염(굄)을 받은 개(가이)가 있지만, 끝까지 너희 사람한테 대들며 거칠게 구는 개가 있지. 이러다 보니, ‘말을 안 듣거나 사나운 사람’을 ‘개’에 빗대기도 하고, ‘고분고분 남이 시키는 대로 하는 길든 사람’을 ‘개’에 빗대기도 하더군. 그래서 더 우습지. 아니, 개더러 어쩌란 셈이야? 너희가 들숲에서 몰래 데려와 길들였잖아? 더구나 사람인 너희는 ‘어미 개(어미 늑대)’가 아니니, ‘새끼 개(새끼 늑대)’가 들숲에서 어질게 살아갈 살림길을 보여주거나 가르치지도 못하잖니? 온갖 잘못을 다 너희가 저지르면서 덤터기는 개한테 씌우니 참 딱하지. 너희가 스스로 너희 자취를 되새기고, 너희 이웃 숨결을 꾸밈없이 바라보고 읽을 수 있기를 바라. ‘안개·몰개·는개’와 ‘개다·깨다’를 생각하렴. 작고 가볍고 부드럽되 속으로 기운차게 새로 틔우거나 열어가는 숨빛이 ‘개’란 말에 깃든 줄 읽으렴. 왜 ‘갯벌’이겠니?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허약체질 2023.4.16.해.



얼마나 대단한 몸이고 놀라운 마음인 줄 모르지? 너희가 스스로 ‘대단한 몸’이자 ‘놀라운 마음’인 줄 안다면, 이 모습과 삶을 고스란히 ‘말이나 글이나 이야기’로 펼치게 마련이야. 아프기에 아픈 줄 알아서, ‘아픈 나’를 보고 느낄 뿐 아니라, ‘아픈 너(이웃)’를 보고 느끼며 동무로 지내어 서로 이바지한단다. 여리기에 여린 줄 알아서 ‘여린 나’를 보고 느끼고 ‘여린 너(이웃)’를 보고 느껴서 사이좋게 만나며 반갑단다. 툭하면 앓거나 쓰러지거나 넘어지기에 나쁘지 않고, 좋지 않아. 그저 겪는 네 하루야. 너는 ‘그 몸’으로 ‘새 하루’를 누리려고 태어났어. 너는 ‘그 몸’으로 ‘100m 달리기 선수’나 ‘마라톤 선수’가 되려고 태어나지 않았어. 너는 ‘그 몸’으로 ‘새 하루’를 겪고 맛보고 사랑할 길을 찾으려고 태어났지. ‘일터에 나가서 돈을 벌어야 하는 몸’을 바라기에 나쁘지 않아. ‘그런 몸’을 바라면, ‘그런 몸으로 바꾸도록 힘을 쓸’ 수 있어. 해봐. 해보면 돼. 그런데 ‘그 몸’을 굳이 ‘그런 몸’으로 바꿔야 할는지 짚어 보렴. ‘그 몸으로 겪으면서 깨닫고 눈뜰 빛’을 바라보려 하지 않는 네가 아닌지 짚어 봐. 설거지를 하다가 그릇을 깨도 돼. 버스를 놓쳐도 돼. 늦잠이 들어도 돼. 눈물을 흘려도 돼. 하품을 해도 돼. 가려먹기(편식)를 해도 돼. 잔뜩 먹거나 굶어도 돼. 늘 다르게 흐르는 모든 하루를 오직 ‘그 몸’으로 보고 느끼렴. 너는 너 스스로 ‘그 몸’을 미워하거나 씻어내려는 마음을 ‘씻어’낼 적에 비로소 ‘그 몸’을 다룰 수 있어. 웃으렴. 즐겁게 웃으렴. 아무도 네 앞이나 길을 안 막아. 네가 스스로 막잖니.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판단착오 2023.4.17.달.



왜 ‘진실규명’을 해야 할까? ‘참찾기(진실규명)’를 하려는 너희 마음은 뭔지 먼저 보렴. ‘참’을 널리 밝혀서 스스로 착하게 살아가려는 마음이니? ‘이것이 옳고, 저것은 틀리다’ 하고 갈라서 싸우거나 길들이는 틀을 세우려는 마음이니? ‘참’이라고 하면 ‘좋고·나쁨’이 없어. 참길·참빛·참뜻은 모두 사랑으로 품어서 풀어낸단다. 그런데 너희가 하는 숱한 ‘진실규명’은 ‘옳거나 그른 길을 갈라서 무리짓는 싸움’으로 자꾸 기울더구나. 참을 찾아내었으면, 어질고 슬기로이 바라보면서 맑고 밝게 반짝이는 눈망울로, 너희 오늘 이곳을 사랑으로 녹여서 살려내는 첫발을 떼어야 하지 않을까? 너희는 ‘더 나은 사람’이 되어야 하지 않아. 너희는 ‘너(나)’여야 하겠지. ‘너는 너여야 할 뿐, 네가 나여야 하지 않고, 네가 나를 닮아야 하지 않’단다. 우리는 늘 너·나(또는 나·너)로 다르게 보고 살고 생각하고 사랑하기에 ‘하나·하늘’일 수 있어. 네가 너를 사랑한다면, 넌 ‘생각’을 할 뿐이니, ‘가르기(판단)’를 안 한단다. 그러니까 ‘모든 판단은 늘 착오·오류’일 수밖에 없어. ‘생각하여 사랑으로 살림짓기’를 하지 않고서 ‘갈라서(판단)’ 싸우려(논쟁·토론) 하니까, ‘판단 = 판단착오’로 가고야 만단다. ‘판단하지(가르지)’ 말아라. 그저 생각하라. 옳거나 그르다고 쪼개지 말아라. 그저 바라보아라. 나쁜 것도 좋은 것도 없이, 그저 겪는(살아내는·경험) 하루일 뿐이니, 무엇이든 그저 바라보면서 받아들인 다음에, 녹여내어 네 참빛으로 풀어내렴. 이 길이 바로 ‘사랑 = 삶 = 사람’이거든.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