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연륜 2023.4.8.흙.



너는 ‘연륜’이라는 한자말을 아니? 안다면 뜻을 아니? 쓰임새를 아니? 이 말을 쓰는 까닭을 아니? 또는, 어린이가 알아들을 쉬운말풀이를 아니? 나이든 사람더러 “연륜이 있으시군요.” 하고 말하던데, 왜 “나이테가 있으시군요.” 하고 말하지는 않니? 너희 말은 ‘나이테’이고, 이를 한자로 옮겨 ‘연륜’인데, 왜 너희는 너희 삶·살림·마음·눈길·사랑·숨결을 담으면서 쉽고 수수한 ‘나이테’라는 말은 안 쓰거나 낮잡아볼까? 곰곰이 생각해 보렴. 너희는 ‘나이’를 어질거나 슬기롭게 받아들이는 참하고 착한 모습이 아닌 탓에, 너희가 ‘아이어른이 함께 사랑으로 어깨동무하면서 나눌 말’을 멀리하거나 얕보지 않니? ‘나무’이니까 ‘나무’이잖아? ‘木’도 ‘수목’도 아니지. ‘풀’이니까 ‘풀’이잖아? ‘草’도 ‘초본·잡초·식물’도 아니야. 나무를 보고 느낄 줄 알기에 ‘나무’를 말하지. 풀을 보고 느낄 줄 알기에 ‘풀’을 말하지. 사람을 보고 느낄 줄 알면 ‘사람’을 말하겠지. 나무가 해마다 꾸준히 자라면서 테두리를 넓히기에 ‘나이테’야. 품는 결이 깊고 넓게 나아가니 ‘나이테’를 늘린다고 해. 너희 사람은 하루하루 살아가면서 ‘하루테’를 늘릴까? 그냥그냥 하루를 지나칠까? 한 해를 살고 두 해를 사는 사이에 ‘해테’를 넉넉하고 푸르게 품을 줄 알까? 스스로 바라보고 바라고 알아가기에 ‘나를 잇는 테’를 누릴 수 있어. 스스로 받아들이고 나누고 생각하기에 ‘낳고, 여기에 있는 터’를 지을 수 있어. 스스로 밝고 맑게 말하고 펴기에 ‘날면서 이야기를 심는 틈’을 선보여. 자, 네 숨소리를 들어 봐. 네 눈을 깜빡여 봐. 네가 벌리는 팔에 바람을 듬뿍 안아 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바퀴벌레 2022.8.28.해.



바퀴벌레를 손바닥에 얹고서 소근소근 얘기할 수 있니? 무당벌레를 손등에 앉히고서 쉬라 할 수 있니? 집게벌레를 팔뚝에 올리고서 네 꿈을 말할 수 있니? 사슴벌레랑 눈높이를 맞추면서 네 사랑을 밝힐 수 있니? 지네가 허벅지를 물 적에 물끄러미 보면서 빙긋 웃을 수 있니? 모기가 팔뚝에 내려앉아 물면 가만히 보면서 “넌 뭐 하니?” 하고 물어볼 수 있니? 네발나비가 무화과알을 먹을 적에 “나도 나눠 주렴?” 하고 속삭이니? 여치에 귀뚜라미에 풀무치가 노래할 적에 “아! 노랫가락 싱그럽다!” 하고 놀라니? 숱한 벌레가 이 별에 있단다. 숱한 벌레는 저마다 다르게 하루를 지으면서, 이 별이 고르게 흐르도록 이바지를 해. 이 별에는 나무가 없어도 죽을 테지만, 벌레가 없어도 죽어. 들풀이 없어도 죽고, 헤엄이에 들짐승이 없어도 죽지. 모든 숨결은 서로 만나지. 어우르는 길을 마음으로 느껴. 사람은 이 숨결 사이에 있단다. 이 별이 스스로 어우러지는 사이에 살며시 깃들어서, ‘다 다른 숨결이 다 다르게 짓는 살림’을 지켜보고 나눠받고, 이 기쁨을 사랑으로 지피면서 ‘삶을 다르게 짓고 편’단다. 사이에 끼어든 사람을 미워하거나 꺼리는 숨결은 없어. 그러면 사람은 어떠하니? 사람은 사람 사이에서도 사람을 미워하거나 꺼리면서 괴롭히거나 죽이는데, 왜 그러니? 사람은 이 별 사이로 깃든 뜻을 언제쯤 환하게 깨달을까? 사람으로서 지을 길은 ‘끌려들거나 사로잡히는 느낌인 좋아함(좋음)’이 아니라, ‘서로 환하게 있는 사랑’인 줄 언제쯤 알아차릴까?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특혜 2022.8.27.흙.



사람들은 곧잘 ‘특혜’라는 말을 하더군. “특별한 혜택”을 줄인 ‘특혜’라지? 남한테는 없거나 안 해주는 일을 뭔가 애써서 해준다는 ‘특혜’일 텐데, 잘 보렴. 삶에 ‘다르지’ 않은 일이 있니? ‘남다르지’ 않은 일이 있어? 일이든 살림이든 해보면 알겠지. 힘을 다하지 않으면 아무리 자그마한 일도 안 되고 말아. 어떤 작은 일이어도 늘 온힘을 다하고 온마음을 다하기에 이룬단다. 설거지에 온힘·온마음을 다하지 않으면, 찌꺼기가 남거나 그릇을 깨뜨리지. 호미질·삽질에 온힘·온마음을 다하지 않으면, 일이 안 끝나. 예전에 들은 말이라 여겨서, 온힘·온마음을 다하여 듣지 않을 적에는, 또 잊고 자꾸 잊는단다. 수저질에 온힘·온마음을 다하지 않으면 흘려. 네가 걸을 수 있는 까닭, 흐르는 물에 손낯을 씻을 수 있는 까닭, 숨을 쉬고 잘 수 있는 까닭, 빗소리를 느끼고 꽃송이를 볼 수 있는 까닭도, 네가 이 모든 작아 보이는 일에 온힘·온마음을 다하기 때문이야. 둘레를 보면 돈·이름·힘이 안 된다고 여기어 온힘·온마음은커녕 아예 손을 놓거나 떠넘기는 이들이 있지. 이들은 큰돈·큰이름·큰힘에 빌붙으려고 그들 삶을 그만 놓아버린 셈이란다. 그러니까 알아두렴. 가장 작거나 하찮아 보여서 귀찮거나 성가시거나 번거롭다고 여기는 일부터 온힘·온마음을 다한다면, 너는 늘 네 삶을 새롭게 지으면서 스스로 빛난단다. 스스로 빛나는 사람이야말로 ‘작기에 유난히 큰넋’이야. ‘특혜’는 남이 안 줘. 늘 온힘·온마음을 다하는 네가 스스로 짓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가부장 2022.8.31.물.



너는 ‘죄인(수형수·감옥에 갇힌 사람)’이니? 아니면 ‘너(나)’로서 ‘사람’이니? 너희가 사는 이 별(지구)이 ‘감옥행성’인 줄 알기에 너 스스로 ‘죄인·수형수·갇힌사람’이라 여기니? 너 스스로 ‘갇힌사람’이니까, 너를 풀어줄 때까지 기다리겠니? 아니면 이 별에서 달아나겠니? 아니면 이 별을 바꾸겠니? 네가 이 별이 ‘가둠별’인 줄 안다면, 어떻게 가두는 줄 얼마나 제대로 아니? 넌 가둠별에 길들려는 마음이니, 너부터 깨어나서 털어내려는 마음이니? 멋지거나 훌륭한 사람(지도자)이어야 해? 아니면 늘 너(나)로서 숨쉬면서 ‘다 다른 너(나)’를 느끼고 밝힐 마음이니? 네가 늘 스스로 숨쉬고 손발을 놀리고 물을 마시고 똥오줌을 눈다면, 넌 네 몸을 이끈다는 뜻이지. 네가 네 몸을 이끌듯 네 마음을 이끌 수 있지. 네 마음을 이끌듯 네 하루를 이끌고. 네 하루를 이끌듯 네 생각도 꿈도 이끌겠지. 너희 집에 기둥(가부장)이 있어야 하지 않아. 집안을 이루는 모든 사람이 기둥이지. 혼자이든 한두 사람이 바깥을 나돌든, 저마다 스스로 돌보며 생각하기에 집안이 넉넉하고 즐겁단다. ‘감옥별’이란, 스스로 가둔 줄 잊은 채, 스스로 풀려고 하지 않는 마음이 모여서 짠 거미줄로 뒤덮어서, 나도 너도 좀처럼 못 빠져나오도록 스스로 일군 사슬이야. 촘촘한 거미줄을 거미가 짓지. 그리고 이 거미줄은 거미 스스로 거두어서 새로 짠단다. ‘갇힌별’을 이룬 ‘죽음줄’은 늘 너희가 스스로 짜니까, 늘 너희가 이 얼거리를 깨닫고서 부드러이 찬찬히 풀면 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힐끗 2022.9.1.나무.



스스로 마음을 곧게 다스린다면, 어느 곳도 안 기웃거리지. 마음을 곧게 안 다스리기에, 자꾸 힐끗힐끗 딴곳을 쳐다본단다. 네가 마음을 모아 촛불을 바라볼 적에 밤하늘 별을 헤아릴 까닭이 없어. 네가 누구랑 이야기를 할 적에 옆으로 부릉부릉 지나가는 쇳덩이를 쳐다볼 까닭이 없어. 둘레에서 시끄럽구나 싶은 소리가 들리니? 너 스스로 시끌소리를 받아들일 만큼 마음이 흐트러진 셈은 아니니? 가만히 사랑으로 온마음을 하나로 다스릴 적에는 구름소리도 바람소리도 새소리도 풀벌레소리도 매미소리도 물결소리도 네 귀에 닿지 않아. 네가 스스로 ‘한마음·온마음’이 아니라고 알려주는 ‘힐끗질’이란다. 어느 쪽을 보든 마음에는 네 꿈그림이 흐를 노릇이야. 어느 길을 가든 마음으로 먼저 보렴. 네가 네 마음으로 먼저 본다면, 네 길(앞길·옆길·뒷길·샛길)은 어디나 너그러워. 네가 마음으로 보기를 잊기에 언제나 딴짓이 스며들고 딴길에서 맴돈단다. 넘어지거나 부딪히더라도 네 길이야. 쓴맛이나 나가떨어지더라도 네 길이지. 이기거나 올라서려 할수록 힘이 빠지고 기운이 사라진단다. 잘되어도 안되어도 모두 삶이라는 길이요, 어느 길에서건 너를 일으키고 살리는 실마리가 있어. 너는 너를 바라보기에 모든 길을 즐겁게 가면서 놀이를 하고 노래를 하지. 어린이를 봐. 어린이는 길을 가리지 않아. 그저 다 놀이로 바꾸고 노래로 피워낸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