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붕괴 2023.6.11.해.



집을 새로짓고 싶으면 어떻게 하니? 이미 있는 집을 깔끔히 허물어야겠지? 새로서려면 여태까지 서서 흘러온 모든 뼈대에 받침에 기둥에 알맹이에 속살에 몸뚱이까지 몽땅 치워야 하지. 하나라도 남기지 않는단다. 너희 몸도 늘 새빛으로 갈아입는 줄 알까? 겉보기로는 ‘늘 그대로’이거나 ‘늙어간다’고 여길는지 모르지만, 너희가 ‘나이에 따라 낡아야 한다’고 여기면서 이 ‘빛씨’를 마음에 실으니까, 너희 몸은 너희가 마음에 심은 빛씨를 삶으로 펼쳐서 고스란히 받아들이지. 그렇기에 ‘낡고 늙’는단다. 보렴. 힘들거나 지쳐서 몸을 쉬잖아? 쉬고 나면 어떻게 기운이 새로 솟을까? ‘힘을 다 썼다고 여기는 몸’에 너희가 ‘빛씨’를 심어서 폈기 때문이야. 너희가 “이제 쉬고서 새로 일어나야겠다” 하는 뜻을 ‘빛씨’로 영글어서 마음에 심으니 그대로 이루지. 기쁘거나 거북하거나 좋거나 싫을 적에 “아! 먹을 때가 아니야!” 하고 여기니, 안 먹어도 배부르단다. 기쁘거나 슬퍼서 “아! 먹어야겠다!” 하고 여기면, 잔뜩 먹어도 아직 배고파서 자꾸 먹어야 하지. ‘빛씨’를 마음에 품어서 몸으로 펴려면, 너희는 이때까지 ‘그대로 두던 틀(몸)’을 모두 흩뜨려야 해. 이를 ‘붕괴’라는 한자말로 가리키기도 하는데, ‘흩어’ 놓고서 ‘새로 흐르’도록 바꾸는 길이란다. ‘흙’을 봐. 흙은 덩이일까? 알갱이일까? 흙은 늘 흩어진 알갱이로 있는 듯하지만, ‘흩어진 채 있다’가 ‘씨앗을 받아들여 품을’ 적에 새몸으로 틔우려고 ‘기운을 흘려보내어 새숨이 흐르’도록 한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커피 2023.6.12.달.



나방도 날고 나비도 날아. 무당벌레도 날고 바퀴벌레도 날아. 매도 날고 참새도 날아. 모두 다르게 날아. 닭은 날지 못한다고 여기는데, 날갯죽지를 누가 끊었을까? 좁고 어두운 우리에 잔뜩 가두어 꼼짝을 할 수 없는 판에, 먹고 누고 낳기를 되풀이하다가 풀썩 목숨을 앗긴다면? 짝도 아이도 없고, 배우는 삶도 없고, 해도 바람도 비도 없고, 별도 철도 없이 늘 똑같이 굴러가면서 하루가 흐르는 줄조차 알거나 느낄 길이 없는 데에서 차곡차곡 즈믄(1000) 해에 두즈믄(2000) 해에 석즈믄(3000) 해를 보낸다면, 너는 날갯죽지를 안 잊을 수 있을까? 날갯짓을 찾으려고 수렁에서 빠져나올 수 있을까? 수렁은 그리 깊지도 넓지도 않아. 수렁에 빠지기에 못 나오지 않아. 서두르거나 싫어하거나 타오르면 외려 발목이 잡혀. 그저 숱한 못이요 모래밭이라 여기면서 한 발씩 옮기니 수렁에서 나올 수 있어. 어느새 누구나 커피를 마셔. 누구나 기름(석유)을 쓰고, 누구나 날개(비행기)를 타고서 먼 나라에도 다녀와. 마음을 먹으면 책을 읽거나 글을 쓰거나, 배우러 다닐 수 있어. 무슨 일이든 해볼 수 있고, 누구라도 만나지. 다 열 수 있고 틔울 수 있어. 이렇게 새로 피어나는 이 별에서 너는 무엇을 보니? 너는 커피라는 콩한테 어떤 기운을 띄워? 너는 콩알한테서 어떤 기운을 받니? 까맣게 우리는 물에서 밤빛을 품은 고요와 별노래를 헤아려 보니? 시커멓게 죽은 수렁을 보니? 숨결을 깨는 사람도 너고, 꿈을 깨는 사람도 너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베스트셀러 2023.6.13.불.



모든 사람이 한 가지 책을 읽는다면, 언제나 이 책 한 가지를 이야기할까? 다 다른 사람이 다 다르게 읽은 마음과 눈길을 밝히고 나눌까? 모든 사람이 한 가지 꽃을 본다면, 언제나 이 꽃 한 송이를 이야기할까? 그동안 본 다른 꽃이나 스스로 사랑하는 여러 꽃을 이야기할까? ‘한 가지 꽃이름’이 궁금해서 물어볼까? 또는 스스로 보고 느껴 마음이 움직이는 대로 생각해서 이름을 지을까? 푸른별(지구)은 하나인 집이지만, 다들 다 다른 곳을 집으로 삼아서 다 다르게 하루를 살지. 그런데 사람들이 다 다른 곳이 아닌, ‘다 같은 곳’에 모여서 ‘다 같은 일’을 한다면 어떻게 바뀔까? 모든 사람과 풀꽃나무와 목숨붙이가 바람을 마시고 빗물을 머금고 해를 받아들여. 다 다른 사람·풀꽃나무·목숨붙이는 다 다른 결로 해·바람·비를 받는단다. 그런데 ‘다 다른 곳’에서 살며 ‘다 다른 숨빛’으로 지내지 않을 적에는 ‘다 같은 판박이’로 굳어가지. 누구나 다르고 저마다 다르기에 ‘숨·빛·넋’이야. 다 다른 ‘숨빛넋’한테는 배움터(학교)가 따로 있을 까닭이 없고, 글이나 책이 있을 까닭이 없단다. 스스로 알고 스스로 살고 스스로 사랑하거든. ‘틀·판(제도·규칙·법)’은 ‘스스로’를 잊고서 ‘시키는’ 대로 따라가도록 세우는 덫·굴레·수렁이지. 왜 ‘베스트셀러’가 팔릴까? 왜 ‘베스트셀러’를 노리고 알리고 퍼뜨릴까? ‘스스로 = 저마다 다름’이기에 ‘다 같은 곳’에 모여들어서 ‘시키는 일감’을 받아들이니, 몸·마음 모두 종(노예)이 된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태양광에너지 2023.6.14.물.



너희는 자꾸 ‘좋다 나쁘다(선악)’로 가르려 드는데, 좋은길도 나쁜길도 없어. 다 삶길이야. 너희가 밟을 적마다 질경이가 사람더러 “이 나쁜놈!” 하니? 너희가 펑펑 쏘아대니 지렁이도 나무도 나비도 떼죽음을 맞이하는데, 지렁이·나무·나비가 “이 몹쓸 사람들!” 하니? ‘기름 먹는 쇳덩이(자동차)’는 나쁘고, ‘전기 먹는 쇳덩이’는 안 나쁘니? 똑같이 들숲을 깎고 밀어서 찻길로 바꾸잖아? 그리고 쇳덩이는 머잖아 쓰레기가 되지. 기름·돌·우라늄을 태워서 얻는 전기는 얼마나 나쁠까? 물흐름이나 햇볕이나 바람한테서 얻는 전기는 안 나쁠까? 잘 보렴. 어느 태움터(발전소)나 번쩍터(발전소)라 하더라도 ‘다르게 전기·기름을 들여’서 크게 세운단다. 기름·우라늄을 태워서 전기를 얻든, 판에 모으는 햇볕으로 전기를 얻든, 너희는 이 별에 쓰레기를 끝없이 일으켜. ‘살림’이 아닌 ‘죽음’으로 달려가는 너희들이지. 왜 살리는 길로 쓸 생각을 안 하지? 왜 죽이는 길에 온통 쏟아붓니? 너희는 ‘먹고·입고·자는’ 곳에 아주 조금만 쓰면 될 전기인 줄 모르거나 안 쳐다보더라. 어마어마하게 짜낸 전기를 어디에 쓰는지 마음을 안 기울이지. 너희는 ‘핵발전소가 깨끗이 흙으로 돌아가는 길’도 살피지 않지만 ‘조금 쓰고 버릴 태양광패널’이 깨끗이 흙으로 돌아갈 길도 살피지 않는구나. 무엇을 해야 할까? 무엇을 보아야 할까? 해와 바람과 비한테서 ‘빛(에너지)’을 얻는 풀·꽃·나무를 볼 수 있을까? 빛(전기)을 왜 ‘쓰레기 남기는 잿더미’로 왕창 뽑아내려 할까? 해도 돌도 기름도 바람도 ‘끝없는 빛’을 준단다. 이 얼거리를 읽으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태극기 2023.8.15.불.



‘하늘’이란 ‘하나인 울(우리)’이지. 크게 하나를 이루기에 ‘하늘’이기도 하고, 바람·숨결·마음·빛이 어우러지거나 어울리기에 ‘하늘’이기도 해. ‘하늘·바라기’를 한다면, ‘한빛·바라기’이자 ‘한넋·바라기’이고 ‘한길·바라기’라 할 만하지. 하나로 하늘을 품고서 날기에 ‘한나래(한날개)’이기도 해. 이렇게 하나를 ‘하나’라 하고 ‘하늘’이라 하면 누구나 쉽게 알겠지. 그런데 ‘하나·하늘’도 ‘한나래’도 ‘한빛·한넋·한길’이라고도 말을 하지 않으면, 뭔 뜻이거나 소리인지 영 모를 만해. 또는 속뜻을 숨기거나 감추지. ‘태극’이 무엇일까? ‘太極’이라 적으면 알겠니? 이 글씨는 그냥 글씨야. 네가 영어를 알고 영어로 생각을 지으면, 영어로 네 마음을 적겠지. 네가 네 삶을 알고 네 사랑을 편다면, 너는 네가 삶과 사랑을 그리는 말씨로 네 생각을 담겠지. “어우러지며 빛나는 오롯한 하나”라면 ‘한꽃’이라 할 수 있어. ‘빛’도 ‘넋’도 ‘길’도 ‘나래’도 ‘꽃’도 어울리고, 수수하게 ‘하나’라 할 수 있지. 또는 ‘암수·암수하나(양극)’나 ‘두하나(이태극)’나 ‘세하나(삼태극)’이라 할 수 있어. 어느 말을 쓰든, 네가 네 마음이 빛나도록 담아내면 넉넉해. 흉내를 안 내면 돼. 아는 척이나 아는 시늉을 안 하면 돼. 아는 그대로 언제 어디에서나 꽃송이처럼 피우면 돼. 꽃이 왜 꽃이겠니? 끝을 차지하는 꽃이자, 하늘숨하고 땅숨을 이어서 여미기에 태어나는 꽃이란다. 너희 사람을 봐. 풀꽃나무랑 새뿐 아니라, 너희도 둘레 뭇숨결도 ‘하늘(바람·숨)’에다가 ‘땅(먹을거리·밥·물)’을 받아들이는 하나란다. 너희 한몸은 그저 그 모습으로도 한꽃(태극)이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