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장례식 2023.9.28.나무.



손에 묻은 때는 물로 씻지. 땀을 실컷 흘린 몸도 물로 씻어. 물결은 바다가 언제나 맑도록 출렁거릴 뿐 아니라, 바닷물은 김·아지랑이·구름을 거쳐 모습을 바꾸어 이 별을 씻어. 비는 냇물을 이루고 샘으로 솟고 풀꽃나무에 스며서 너희 몸에 들어가지. 이때에 바닷물은 ‘비’로 바뀌다가 ‘풀·알·열매’로 바뀌더니 어느새 ‘피’로 바뀌지. 물로 겉몸인 살갗을 씻고, 피로 속몸(몸속)을 씻어. 그리고 너희 마음은 눈물로 씻는단다. 바탕으로 보면 모두 ‘같은 물’이되, 맡은 일이 ‘다 다르’면서 이름도 모두 달라. ‘산몸’은 빗물·냇물·샘물·바닷물로 살린다면, ‘죽은몸’은 어떻게 할까? 죽은 다음뿐 아니라 사는 동안에도, 몸은 ‘빛’으로 살리고 살찌우는데, 죽은몸으로 갈 적에는 ‘빛’으로 풀어내어 새길·새빛·새삶으로 가도록 북돋운단다. 그러나 ‘불빛’으로는 녹이거나 달래거나 씻거나 풀지 않아. ‘불길·불빛’은 부아(화)가 나는 굴레로 끌어가지. ‘별빛’으로 달래렴. ‘꽃빛’으로 녹이렴. ‘초빛(초를 켠 빛)’으로 풀고, ‘숨빛’을 곁에서 ‘말빛’으로 들려주렴. 주검길을 다루는 주검터(장례식장)에서 무엇을 하니? 죽은몸을 고이 풀고서 ‘죽은몸에서 나온 넋’이 새롭게 꿈길을 그리도록 찬찬히 북돋우거나 이야기하니? 아니면, ‘꽃·초·말’은 있되, 불빛으로 환한 채 별빛을 막니? 마음을 살리는 빛을 보고 나누면서, 죽은몸을 기리고 산몸을 그리기를 바라. 넋이어야 사람인 줄 함께 보고 느끼고 나누기를 바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고기 2023.9.27.물.



무엇을 먹든 물이란다. ‘무엇’이거나 ‘물’이거든. 물도 물이고, 돌도 물이고, 모래도 물이고, 나무도 물이고, 꽃도 물이고, 씨앗도 물이야. ‘무엇’이란, ‘모두’ 겉이든 속이든 ‘몸’을 이루려면 ‘물’을 입어. 다 다른 ‘무엇’은 ‘물’을 저마다 다르게 입기에, 잎이나 잔나비나 나비나 곰이나 토끼나 선인장이라는 ‘모습’을 ‘입’어서 ‘이룬’단다. 네가 풀을 먹으면 ‘풀몸을 이룬 물’을 먹는 셈이고, 고기를 먹으면 ‘고깃살을 이룬 물’을 먹는 셈이야. 너희는 물만 마시더라도 배고프지 않아. 모든 밥은, ‘물을 다르게 다룬 먹을거리’이거든. 물을 물 그대로 먹을 적에는 네 몸을 물빛으로 입어서 짓는다는 뜻이야. 그러니까 어느 물을 어떻게 머금느냐에 따라 네 몸이 바뀌겠지. 그리고 어떤 물을 머금더라도 네가 어떤 마음으로 있느냐에 따라 달라. 머금은 물이 맑으면 너도 몸이 맑아. 머금는 물이 더러우면 너도 몸이 더러워. 다만, 받아들이는 마음은 ‘코앞에 있는 먹을거리인 물’이 어떤 결로 바뀔 수 있느냐를 밝히지. 맑은 물을 맑게 머금고, 더러운 물을 ‘맑은 물’로 여기면서 머금을 수 있어. 물을 머금을 적마다 마음을 새로 그리렴. “이 아름다이 맑은 물이 나한테 스미어 내 숨빛이 언제나 환하게 깨어나네!” 하는 마음이 싹트고 자라도록 북돋우렴. 고기나 고깃물을 먹어야 하거나 안 먹어야 하지 않아. 빛을 먹고, 빛물을 머금고, 빛줄기를 받아들이고 빛살을 나누면 돼. 빛나는 오늘을 냠냠 누리기를 바라. 너는 활짝 웃으며 노래하기에 물 한 모금이 모두를 살리거든.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무겁게 2023.9.26.불.



몸이 무거워서 가볍게 못 다니지 않아. 네가 살아가는 푸른별을 봐. 코끼리라서 무겁고 멧돼지라서 가벼울까? 토끼라서 무겁고 개미라서 가벼울까? 잠자리라서 무겁고 물벼룩이라서 가벼울까? 푸른별은 다 다른 숨결을 다 다르게 맞아들여. 누가 무겁거나 가볍다고 따지지 않아. 그저 저마다 무엇을 하면서 어떤 삶을 짓는가 하는 모습을 지켜본단다. 새는 가볍게 날아. 새는 하늘을 바라보다가 바람을 읽고서 “아! 이제 탈 때로구나!” 하고 느껴서 가볍게 뛰지. 뛰면서 날개를 펴고, 이 날개가 바람결을 품고서 흘러갈 줄 안단다. 사람들은 왜 못 날까? 하늘을 안 보는데다가 바람을 안 읽을 뿐 아니라, 어느 때에 뛰어야 할는지 모르고, 가볍게 바람에 몸을 맡기면서 즐겁게 품으려는 마음이 없거든. 안 보고, 안 읽고, 모르고, 안 가볍고, 안 즐겁고, 안 품는데, 어떻게 날까? 가만히 보고 속으로 읽기에 어느덧 알 수 있고, 이때에 가볍게 하면 돼. 머리에 담기만 하면, 볼 눈이 없고 읽는 슬기가 없고 아는 마음이 없으니, 그만 묵직하게 가라앉거나 갇혀. 무게를 잡으려고 하니 못 날아. 무게를 내려놓는 사람은 머리가 아닌 마음에 담아. 머리로 하려니 막히고, 마음으로 하려니 틔워. 머리를 쓰려 하니 무게가 늘고, 마음을 쓰려 하니 무게가 없어. 통통 튀듯 걷는 아이들은 톡톡 튀듯 노는 마음이 가득하니, 안 지치면서 신나게 걷고 달려. 툭툭 발걸음이 묵직한 사람들은 ‘몸에 힘이 없다’고 여기기에 몸이 무겁고 하루하루가 주눅이 들듯 캄캄해. 마음을 보고, 마음에 말을 걸고 마음에 사랑을 심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교복지원금 2023.9.25.달.



걷지 않고 버스를 타면 빠르고, 택시를 타면 더 빠르고, 기차를 타면 더 빠르고, 비행기를 타면 더 빠르다고 여기는구나. 그러나 네가 마음길을 틔워서 훅 가로지르면 가장 빠르지 않아? 너는 왜 빨리 가야 하니? 너는 왜 둘레를 느긋이 보고 느끼고 받아들이고 배우면서 사랑하는 길하고는 등지니? 돈이 있으면 다 되니? 돈이 많으면 다 이루니? 너희는 아이가 중·고등학교에 다니는 세 해나 여섯 해 동안 ‘다 다른 모든 아이한테 틀에 박은 차림새’에 길들도록 배움옷(교복)을 입히려 하더구나. 그 배움옷은 왜 입히니? 그 옷을 입혀야 배우니? 옷을 안 갖추면 못 배우니? 앞으로 모든 아이들은 저마다 다르게 꿈을 그리고, 누구나 다르게 하루를 누리고, 언제나 다르게 오늘을 지으면서, 날마다 다르게 초롱초롱 배우고 짓고 펴고 사랑할 일이지 않을까? ‘가을’이어도 같은 가을은 없어. ‘봄’이어도 같은 봄은 없어. 들깨밭에서 나는 들깨는 모두 달라. 똑같은 들깨가 아닌 다 다른 들깨가 자라고, 다 다르게 생긴 들깻잎에 들깨씨에 들깨꽃을 이룬단다. 들깻잎이 모두 같아야 좋니? 아마 ‘돈이 되려는 굴레’라면 모두 틀박이마냥 똑같아야겠지. ‘교복지원금’은 어디에 이바지하고, 누구를 도울까? ‘교복지원금’이 아닌, ‘어린이·푸름이 스스로 옷살림에 쓸 돈’을 그 나이에 줄 노릇이지 않을까? 실값에 바늘값을 주고서 손수 옷짓기를 하도록 가르치고 배울 일이지 않을까? 다 다른 사람으로서 다 다르게 배우고, 다 다르게 자라고, 다 다르게 꿈꾸어, 다 다르게 피어나는 꽃이라고 느낄 수 있기를 바라. 굴레를 쓰지 말고, 옷을 입으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돌려받는다 2023.9.24.해.



너는 무엇이든 한단다. 너는 말을 하고, 너는 말을 않고, 너는 글을 읽고, 너는 글을 안 읽고, 너는 네 발을 써서 걷고, 너는 안 걷고, 너는 자고, 너는 안 자고, 너는 웃고, 너는 안 웃고, 너는 먹고, 너는 안 먹고, 너는 숨을 쉬고, 너는 숨을 쉬는 줄 못 느끼고, 너는 아무 말이나 함부로 하고, 너는 모든 말을 가려서 하지. 너는 네가 한 그대로 돌려받아. 네 말과 몸짓은 ‘씨앗심기’이거든. 네가 한 말은 네가 들을 말이야. 네가 읽은 글은 네가 쓸 글이야. 네가 한 짓대로 너한테 오고, 네가 그린 꿈대로 하루하루 흐르지. 네가 걱정을 하니까, 걱정스러운 일이 찾아와. 네가 싫어하니 싫은 일을 자꾸 봐. 네가 노래하니 둘레는 네 노래를 듣고서 춤추는구나. 네가 숨을 쉬니, 너는 이 숨을 내쉬어야 해. 들어오니 나가고, 나가니 들어와. 모든 삶은 물과 같아. 물처럼 흐르는 삶이지. 모든 사랑은 물빛과 같아. 어디서나 샘솟아 어디나 밝히고 녹여. 너는 어떻게 흐르는 물줄기이니? 네 몸은 어떤 물방울로 이루었니? 네 마음에는 어떤 물빛이 감도니? 모두 돌고돌아. 돌면서 돌아보고, 돌기에 동글동글 만나. 돌려고 하지 않거나 못 돌도록 막으니 모가 나고, 엉키다가 죽음수렁으로 가지. 돌지 않고 돌리지 않고 돌아보지 않기에 삶길도 살림길도 사랑길도 없어. 빛나는 사랑으로 꿈씨를 심고서 눈부신 노을을 담은 별 한 송이를 만나기를 바라. 네가 갈 곳은 어디일까? 네가 돌아갈 데는 어디일까? 네가 돌아보며 품을 자리는 어디일까?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