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발바닥은 2023.10.22.해.



몸을 땅에 세우는 받침대가 ‘발’이야. 받치는 바탕이니 ‘발’이란다. 푸른별에서 ‘바다’는 모든 숨결을 받치는 바탕이지. 이러면서 모든 숨결을 살찌우는 ‘밭’인 바다란다. 모두 ‘받아’들이는 바다야. 뭍에서 흘러오는 물도, 물에 섞인 부스러기도, 죄다 갯벌을 거쳐서 바다가 ‘받아’안는단다. 바다가 받아들이기에 모든 숨결이 푸르게 빛나. 바다는, ‘소금을 안은 물방울’이 하나로 이룬 하늘밭이라고 여길 만해. 소금을 한 톨씩 안은 물방울이라서 바닥에 있단다. ‘소금’이란, 숨결을 살리는 빛씨이지. 이 빛씨를 머금으니 한결같이 눈부시게 튼튼하단다. 바닷방울은 늘 소금을 품은 하늘밭으로 흐르다가 문득 소금을 내려놓는단다. 애벌레가 날개돋이를 하듯, 바닷방울은 ‘바다갈기(물갈기)’를 하려고 겉몸을 내려놓고서 아지랑이가 되어 하늘로 올라. 바람으로 속몸을 씻어 하얗게 뭉치더니 새롭게 놀듯 땅으로 날아내리지. 너희 발을 바다랑 나란히 놓고서 헤아려 보겠니? 바닷물은 늘 출렁이며 어디이든 가고 무엇이든 품어. 너희는 발을 늘 움직이며 서거나 앉거나 눕거나 걷거나 뛰거나 달려. 발바닥으로 땅바닥을 척척 디디면서, 땅에서 올라오는 기운을 머금어. 손바닥으로 바람을 살살 가르면서, 하늘에서 찾아오는 기운을 맞이해. 발바닥은 이 푸른별을 오롯이 느끼기에 받침판 노릇이야. 다리는 받침판을 타고서 들어오는 땅빛이 몸으로 퍼지도록 잇는 길이야. 넌 어느 곳에 보금자리를 틀어서 이 별을 느끼니? 가장 좋은 땅은 없어. 너희가 발로 선 곳은 모두 푸른별 한복판을 가리키며 뻗는단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나방 날다 2023.10.23.달.



가을이 깊어 겨울이 코앞이지만, 잎을 갉는 애벌레나 풀벌레가 있어. 이제 느긋이 잠들고서 긴긴 겨울을 ‘알’로 포근히 꿈꾸면 머잖아 봄이 새롭게 올 테지만, 겨울을 아랑곳않는 몸짓이지. 어쩜녀 겨울이 늦거나 퍽 푸근해서, 나뭇잎이나 풀잎이 제법 오래 남을 수 있어. 그러나 가을이나 겨울에는 하루나 몇날쯤 얼어붙으면 잎이 모두 말라서 떨어지지. 겨울에도 푸른잎으로 살아가는 늘푸른나무라면, 조금 추워도 거뜬해. 더구나 늘푸른나무하고 같이 살아가는 애벌레는 일찌감치 꿈나라로 갔어. 10월이 저물려 하지만 아직 푸른 차조기잎이나 모시잎을 갉는 애벌레를 보았니? 애벌레로서는 포근한 볕에 푸른 잎사귀가 있으니, 늦가을로 가는 길에도 알에서 깨어나서 움직인단다. 신나게 갉고 자라며 어느 날 고치에 깃들어서 날개 단 새몸을 그리지. 이듬해 봄을 기다리면 된다고 여길 수 있지만, 굳이 안 기다려도 된다고 여길 수 있고, 얼른 새로 피어나고픈 꿈일 수 있어. 어느 날 훅 얼어붙느라 그만 굳어서 죽을 수 있고, 날씨가 어느새 바뀌어 ‘안 어는 겨울’이 흐를 수 있어. 애벌레는 애벌레 나름대로 철을 느끼고 바람을 읽고 해를 헤아려. 잘 생각해 봐. 애벌레가 철을 못 읽거나 잘못 읽으면 그대로 목숨을 잃어. 애벌레가 목숨을 잃으면, 풀꽃나무는 꽃가루받이를 제대로 못 할 수 있어. 그래서 풀꽃나무도 늘 철과 바람과 해를 느끼고 읽으려 하지. 풀꽃나무는 애벌레한테 알려주어야 하고, 애벌레도 풀꽃나무 마음소리를 느끼고 읽을 수 있어야 하지. 다들 꾸준히 끝없이 마음을 나눠. 드디어 날아오른 나방은 이 모두를 이룬 기뻐하는 몸짓이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오목눈이 2023.10.24.불.



‘잘 살아가는 길’을 생각해 보니? 너는 ‘잘’을 따질 수 있고, ‘살아가기’를 들여다볼 수 있고, ‘길’을 마음에 둘 수 있어. 셋을 고루 볼 수 있고, 셋 사이에서 헤맬 수 있지. 너는 네가 스스로 무엇을 바라보면서 마음에 담는가를 살피고 느껴서 알 노릇이야. 부전나비는 참 작아. 작은 몸에 작은 날개란다. 이 작은 나비는 애벌레일 적에 훨씬 작았을 테지. 너는 조그마한 날개로도 얼마든지 햇볕을 쬐면서 날고 쉬고 꽃꿀을 찾는 부전나비를 알아볼 수 있어. 네가 스스로 하루를 새롭게 그려서 맞이하려는 마음이라면 다 느끼고 알고 만나. 네가 바쁘다면 부전나비를 느끼거나 알 길이 있을까? 여태 어떤 잎을 갉으면서 조용조용 애벌레로 살다가 날개돋이를 했는지 도무지 모르겠지. 제비나비처럼 커도 나비이고, 팔랑나비나 모시나비나 노랑나비여도 나비란다. 하늘을 쩌렁쩌렁 울리는 매도 새이지만, 지지배배 무리지어 노래하는 참새도 새야. 참새보다 작은 박새도 새이고, 오목눈이도 새란다. 네가 새한테 마음을 기울인다면 까치 까마귀 비둘기뿐 아니라, 꿩 뜸부기 도요새 후투티뿐 아니라, 꾀꼬리 소쩍새 물까치뿐 아니라, 오목눈이에 동박새를 알아본단다. 그리고 먼 옛날 옛적부터 숲을 품고서 푸르게 살림을 짓던 사람들이 문득 느끼고 깨달아서 ‘나비’에 ‘새’라는 이름을 처음 지은 뜻을 알아채지. 그리고 다 다른 나비요 새인 줄 낱낱이 가리면서 또 다르게 이름을 붙여야 어울리겠다고 깨달은 길을 읽어낼 수 있어. 발가락은 왜 발가락일까? 얼굴은 왜 얼굴일까? 눈과 입은 왜 눈과 입일까? 스스로 마음을 틔우면, 스스로 마음이 환하면서 모두 알 수 있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새벽에 2023.10.16.달.



너는 새벽에 일어날 수 있고, 쿨쿨 꿈나라를 누빌 수 있어. 너는 아침에 해를 맞이할 수 있고, 아침도 모르는 채 꿈밭을 헤매면서 몸에 기운을 채우며 쉴 수 있어. 너는 조그마한 그릇에 흙을 조금 담아서, 높다란 잿집(아파트)에 조금이나마 풀빛을 퍼뜨릴 수 있어. 너는 넓든 좁든 마당을 누리면서 나무를 돌볼 수 있어. 새벽에 꿈길로 가는 별을 날마다 보니? 별은 낮에도 밤에도 늘 깨어서 움직인다고 여길 수 있을 테지만, 별은 스스로 돌고 스스로 쉬고 스스로 깨고 스스로 꿈꾸면서 빙그르르 춤을 짓는다고 여길 수 있어. ‘별을 보는 눈’은 네가 네 ‘삶을 보는 눈’ 그대로야. 네가 ‘스스로 가둔 굴레’에서 ‘스스로 가둔 눈’으로 부스러기(지식·정보)를 캐는 몸짓이라면, 넌 네가 ‘좁은 눈’인지 아닌지조차 몰라. 네가 ‘스스로 틔운 들숲바다’를 ‘스스로 틔운 눈’으로 품는 몸짓이라면, 넌 네가 ‘틔운 눈’인지 알기에, ‘틔우는 눈이란 모든 새로운 빛을 늘 새롭게 받아들여서 노래하는 춤’인지 깨닫지. 틔우기에 하루 내내 배워. 왜 배울까? 배우면서 새롭거든. 배워서 새롭기에 늘 살아나거든. ‘알기에 새로 배운’단다. ‘모르기에 안 배운’단다. 재미있지 않아? ‘모르는 이’는 모르기에 안 배우면서 목숨을 스스로 갉는 줄 모르고, 모르기에 늘 쳇바퀴에 가두면서 눈코귀입을 다 닫고 막아. ‘아는 이’는 알기에 새로 배우면서 스스로 빛날 줄 알고, 알기에 늘 새로 틔우면서 ‘이미 아는 것을 녹여’내고, 이 ‘앎(알맹이)’이 든든히 여물도록 해와 바람을 새롭게 불어넣는단다. 새벽에 눈을 떠 봐. 별이 어떻게 쉬러 가는지, 해가 어떻게 깨어나는지, 밤이 어떻게 떠나는지, 낮이 어떻게 오는지 지켜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삶읽기 / 숲노래 마음노래

하루꽃 . 한 모금 2023.10.17.불.



밥 한 숟가락을 입에 넣으면 온몸이 느끼지? 혀뿐 아니라, 팔다리도 머리도 가슴도 배도 옆구리도 등도 나란히 느낀단다. 무언가 새롭게 스미거나 퍼지려는 기운을 느껴. 너희 몸은 ‘밥이라는 영양분’으로 움직이지 않는 줄 아니? 너희 ‘배’는 하나하나 느끼고 끝까지 삭이고서 내보내는 곳이야. ‘밥’이라는 모습으로 바뀐 ‘푸른별 숨결 한 모금’을 빛으로 느끼지. 너희가 ‘비타민’을 바란다면, ‘비타민’을 먹기 때문이 아니라 ‘비타민이라 여기는 빛’을 느끼고 받아들이기에“비타민을 먹는다”고 할 수 있어. 칼슘이고 지방이고 단잭질이고 다 마찬가지야. 그래서 너희가 ‘무엇’을 보거나 다루든, ‘어떤’ 눈으로 알아보고서 바라보느냐에 따라 밥결(음식성분)이 늘 바뀌어. 부아나거나 짜증날 적에는 왜 먹으면 안 될까? 슬프거나 기쁠 적에는 왜 안 먹어야 나을까? 이때에는 이미 너희 스스로 마음에 생각씨를 심어서 몸을 바꾸어 놓았으니, 밥은 덧없는 덤이란다. 눈으로 보기만 해도, 코로 맡기만 해도, 귀로 듣기만 해도, 마음으로 느끼기만 해도, 누구나 스스로 넉넉하고 배불러. 눈을 안 뜨고, 코를 안 틔우고, 귀를 안 열고, 마음을 펴지 않으니, 늘 모자라거나 없다고 여기는 곳으로 가. 한 모금이건 열 모금이건 무엇이 다르니? 비운 몸이란, 빛나려고 하는 몸이야. 비워 놓기에 새로 빚으면서 빛날 수 있어. 뭔가 먹으려 할 적에는, 늘 먼저 눈을 살며시 감고서 바람을 가만히 마시면서, 머리에 꿈을 사랑으로 띄우렴. 이러고서 무엇이든 활짝 웃고 이야기하면서 하나씩 먹으렴.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