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이랑 놀자 168] 푸르르다



  하늘이 파랗게 빛납니다. 이 파란 빛깔이 더없이 빛나는구나 싶어서 “파란 하늘”이라고만 말하지 않고 “파아란 하늘”이나 “파아아란 하늘”처럼 말을 늘이기도 합니다. 노란 꽃송이가 곱습니다. 이 노란 꽃송이가 가없이 곱구나 싶어서 “노오란 꽃송이”라든지 “노오오란 꽃송이”처럼 외치기도 합니다. 숲에 깃들이 숲빛을 헤아리니 이 푸른 숨결이 더할 나위 없이 사랑스럽구나 싶어서 “푸르은 숲”이나 “푸르으은 숲”이라고도 노래합니다. 가을잎이 누르게 물드는 모습이 예쁘구나 싶어서 “누르은 잎”이나 “누르으은 잎”이라고도 속삭입니다. 느낌을 외칠 적에는 낱말을 얼마든지 길게 늘일 수 있어요. “우와, 재미있다”를 “우우와, 재애애애미 있다”처럼 늘여도 재미있고, “어라, 놀랐잖아”를 “어어라, 노올랐잖아”처럼 늘여서 놀아요. 다만, ‘파란 → 파아란’, ‘노란 → 노오란’, ‘푸른 → 푸으른’, ‘누른 → 누으른’처럼 늘여서 말하거나 글을 쓰더라도 ‘파랗다·노랗다·푸르다·누르다’가 바탕꼴입니다. ‘파라라다(파아랗다)·노라라다(노오랗다)·푸르르다(푸르으다)’가 바탕꼴이지 않아요. ‘파랗다’와 ‘노랗다’가 있기에 이 말을 바탕으로 ‘파아랗다’이든 ‘노오랗다’이든 잇달아 태어나고, ‘푸르다’와 ‘누르다’가 있기에 이 말을 바탕으로 삼아서 ‘푸르르다’라든지 ‘누르르르르다’처럼 재미나게 말놀이를 합니다. 4348.12.17.나무.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167] 콩물·콩젖



  서양 문화가 일본을 거쳐 한국에 들어올 적에 ‘우유(牛乳)’라는 한자말이 생깁니다. 이제는 누구나 널리 쓰는 ‘우유’이지만 예전에는 ‘타락(駝酪)’이라는 무척 어려운 한자말을 썼고, ‘타락죽’이라는 먹을거리가 있다고 해요. 그러나 소라는 짐승한테서 얻은 젖은 ‘소젖’이에요. 염소한테서 얻은 젖은 ‘염소젖’이고, 양한테서 얻은 젖은 ‘양젖’입니다. 짐승한테 붙인 이름을 앞에 달고서 ‘-젖’이라고 씁니다. 어머니가 아기를 낳아 물리는 젖은 ‘어머니젖(엄마젖)’이요 ‘사람젖’이에요. 마실거리 한 가지를 공장에서 다루어 가게에 내놓고 팔면서 ‘우유·분유’ 같은 말을 쓰기도 하고, ‘두유’ 같은 말도 나타나요. ‘분유(粉乳)’는 한국말로 ‘가루젖’을 가리키고, ‘두유(豆乳)’는 한국말로 ‘콩젖’을 가리켜요. 그런데 한겨레는 먼 옛날부터 콩을 갈아서 나오는 물을 따로 마셨습니다. 콩을 간 ‘콩물’로 ‘콩국수’도 삶지요. 콩은 소나 말이나 돼지처럼 짐승이 아닌 풀이기 때문에 ‘젖’이라는 말이 안 어울릴 만한데, 콩을 갈아서 얻은 ‘콩물’하고는 다르게 빚은 마실거리이기에 다른 이름을 붙여야 어울린다면 ‘콩젖’으로 따로 갈라서 써도 재미있어요. 4348.12.17.나무.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166] 시쓰기·시짓기



  글을 쓰기에 ‘글쓰기’라고 합니다. 예전에는 글을 쓰는 일을 “글을 짓는다”고도 했기에 ‘글짓기’라고 했습니다. ‘짓다’라는 낱말은 ‘밥짓기·옷짓기·집짓기’ 같은 데에 쓰고, ‘밥짓기’는 따로 ‘동자’라고도 합니다. 시골에서 땅을 일구어 밥을 얻는 일은 “흙을 짓는다”고 해서 ‘흙짓기’라 하고, ‘농사짓기’라고도 합니다. 노래를 짓는다면 ‘노래짓기’가 되고, 살림을 지으면 ‘살림짓기’가 되어요. 노래를 지을 적에는 종이에 콩나물을 그리면서 노랫말을 적기 마련이기에, ‘노래쓰기’라 할 수도 있습니다. 집이나 마을이나 학교에서 조촐하게 신문을 엮거나 책을 엮기도 해요. “우리 집 신문”이나 “우리 마을 신문”이나 “우리 학교 문집”을 낸다면 신문이나 책에 글을 쓰기에 ‘기사쓰기’라든지 ‘책쓰기’처럼 말할 만합니다. 글에는 여러 갈래가 있어요. 시나 동화나 소설이나 수필 들이 있지요. 그래서 여러 가지 글을 쓰는 모습을 가리켜 ‘시쓰기·동화쓰기·소설쓰기·수필쓰기(시짓기·동화짓기·소설짓기·수필짓기)’라 할 만해요. 한국말사전에는 ‘시쓰기·시짓기’처럼 쉽게 알아들을 수 있는 낱말은 없고 한자말로 ‘시작’만 있지만, 우리는 쉽고 곱게 ‘시쓰기’ 같은 새 낱말을 지을 수 있습니다. 4348.12.16.물.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165] 건널목



  길을 건너는 자리이기에 ‘건널목’이라고 해요. 건널목에서는 서로 손을 잡고 건너기도 합니다. 자전거를 타고 지나가려 한다면 자전거에서 내려 사람들하고 천천히 걷습니다. 경찰 아저씨는 으레 ‘횡단보도’ 같은 말을 쓰지만, ‘횡단’은 한자말로 ‘건너다/가로지르다’를 뜻하고, ‘보도’는 ‘걷는 길’을 뜻해요. 그러니까, 한국말로는 그저 ‘건너는 목’이나 ‘건너는 길’을 쉽게 나타내는 ‘건널목’이나 ‘건널길’로 쓰면 넉넉해요. 좋은 자리를 가리키며 ‘목’이라 하고, 지나가는 길 가운데 한 자리를 ‘목’이라 해요. 그래서 길목이나 나들목이나 울돌목 같은 이름이 있고, 이음목이나 샛목 같은 말을 지어서 쓸 수 있어요. ‘이음목’은 두 길이나 자리를 잇는 자리를 뜻해요. 전철역 가운데 갈아타는 곳을 가리키는 이름이 될 만해요. ‘샛목’은 사이에 있는 좋은 자리를 뜻해요. 고속도로 같은 곳에 있는 쉼터를 가리키는 이름으로 쓸 수 있어요. 4348.12.15.불.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말이랑 놀자 164] 흰종이



  눈처럼 하얀 종이를 보면 마음도 눈처럼 하얗게 다스릴 적에 곱겠구나 하고 느낍니다. 맑은 꽃송이처럼 하얀 종이를 보면 이 흰종이에 어떤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려서 재미난 이야기를 빚으면 즐거울까 하고 생각합니다. 흰종이에는 글을 쓸 수 있고, 그림을 그릴 수 있습니다. 흰종이로 종이비행기를 접는다든지 종이배를 접을 수 있어요. 흰종이에 편지를 써서 부칠 수 있고, 흰종이에 빛깔을 알록달록하게 입히면서 종이인형을 빚을 수 있어요. 하얀 빛깔인 종이가 아니라 알록달록하게 빛깔이 깃든 종이라면 ‘빛종이’이거나 ‘빛깔종이’입니다. 빛종이에는 검은종이나 빨간종이가 있고, 파란종이나 푸른종이가 있어요. 빛깔에 따라 ‘-종이’를 붙일 만해요. 조그마한 종이라면 ‘쪽종이’가 되고, 노래를 적으면 ‘노래종이’이지요. 글을 쓰는 종이는 ‘글종이’일 텐데 어른들은 ‘원고지’라는 말만 씁니다. 그러고 보면 어른들은 ‘노래종이’라 하기보다는 ‘악보’라고만 해요. 뒤쪽이 깨끗한 종이라면 ‘이면지’보다는 ‘뒷종이’ 같은 말을 쓰면 한결 쉽고 재미있어요. 4348.12.15.불.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