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책숲 : 굳이 ‘책숲’이란 이름을 지었고, ‘책집’이란 이름도 짓는다. 책이 있거나 책을 다루거나 책을 사고팔거나 책을 만나거나 책을 읽거나 책으로 잇는 곳은 ‘방(房)’이나 ‘스토어(store)·샵(shop)’이나 ‘점(店)’이란 말로 가리키고 싶지 않다. 한국말은 ‘칸(←방)’이고, ‘가게(←점·스토어·샵)’인데, 한자말로 ‘서림(書林)’이라 하면, 이 말이 ‘책숲’을 가리키는 줄 알아보지 못하는 사람이 많을 뿐더러, 그저 일본스럽거나 중국스럽다. 한국이란 나라에서 한국말로 생각을 짓고 하루를 누리며 사이좋게 얼크러지려는 길이라면 ‘책으로 숲이 되는 자리’를 마을 한켠에 둘 적에 즐거우리라 본다. 예부터 ‘마을’이라면 곁이나 둘레에 ‘숲정이’를 돌보았다. 숲정이는 베지 않는 나무를 건사하는 터이다. 이 숲정이는 비바람을 가려 주고 한여름 불볕을 달래 준다. 그리고 엉뚱한 이들이 마을을 훔쳐보거나 쳐들어오지 못하게끔 막는 구실이 있다. 다시 말해, 마을이라면 으레 숲을 품는 터이다. 책으로 이루는 마을이라면, ‘책마을’이든 ‘마을책집’이든, 으레 숲을 고이 품어서 이웃하고 나누는 터전이 되겠지. 그래서 굳이 ‘책숲’이란 이름을 지었다. 이렇게 이름을 짓고서 다른 낱말을 살피다가 “일본에서 책집 이름으로 꽤 흔히 쓰는 ‘-書林’이란 붙임말이 ‘-책숲’이기도 하네” 하고 깨달았다. 책으로 마을에서 어깨동무하는 즐거운 길을 살피는 분이라면 나라·겨레를 넘어서 마음으로 만나는구나 싶더라. “‘마을책집’은 ‘마을숲’입니다” 하고 간추릴 만하다. “마을책집을 찾아가서 느긋하고 조용하게 책을 몇 자락씩 장만하기도 하고, 가볍고 부드러우며 깨끗하게 책을 누리는 마실길이란, 우리 스스로 마을에 조촐히 숲을 가꾸는 살림길입니다” 하고 보태어 얘기할 만하다. 아이들한테 숲을 물려주고, 숲을 보여주고, 숲을 노래하고, 숲을 이야기하고, 숲을 사랑하는 길을 가르칠 뿐 아니라 함께 새롭게 배우면 참말 아름다우리라. 2020.5.11.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마을아이 : ‘아이는 마을이 키운다’는 말을 곧잘 듣는다만, ‘아이를 학교에만 보낸다’거나 ‘아이를 학원에 옭매인다’ 싶은 어버이가 참 많다. 돌림앓이가 퍼진 요즈막조차 ‘개학은 언제 하고 입시는 언제 치르고 방학은 얼마나 되는가’만 따지는 벼슬아치나 어버이가 수두룩하다. 제발 아이한테 ‘학교·학원·사회’는 집어치워도 되는 줄 깨닫도록 하자. 아이한테는 ‘마을·보금자리·숲’ 이 세 가지가 있으면 된다. 둘레를 보자. 돌림앓이가 불거지도록 ‘아이를 키울 만한 아름답거나 사랑스럽거나 즐거운 마을’이 이 나라에 몇 군데나 있었는지 생각해 보자. 한 군데라도 있다고 할 만한가? ‘아이는 마을이 키운다’는 말은 안 해도 좋다. ‘아이가 뛰놀며 꿈꾸는 사랑스러운 하루를 누리는 집’이 되도록 마음을 기울일 노릇이요, 이러한 집이 하나둘 모이는 마을이 되도록, 오늘부터 헌마을은 내려놓고 새마을로 가기를 빈다. 2020.5.10.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크게 하면 : 크게 하면 관리를 하며 통제·천편일률·위계·질서란 말이 앞으로 튀어나온다. 커다란 과일밭을 보라. 커다란 나라나 고장이나 일터를 보라. 커다른 학교를 보라. 조촐히 하면 돌보면서 즐거움·노래·춤·이야기·웃음꽃·생각날개 같은 말이 저절로 날아오른다. 1994.5.6.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전문용어 : 이름은 스스로 보고 겪고 느끼고 생각해서 붙일 적에 사랑스럽다. 학자·전문가·공무원이 붙이는 전문용어나 학술용어를 외워서 똑같이 써야 하지는 않는다. 전문용어나 학술용어가 사랑스럽거나 아름답거나 즐겁거나 빛나거나 슬기롭거나 따스하거나 넉넉하거나 어깨동무라는 길로 나아간 적이 있을까? 겨레·나라마다 말이 다르듯, 마을·고을·고장이며 터·집마다 말이 다를 만하고, 다 다른 말이란 다 다른 삶·눈·길·뜻·마음이 흐르면서 온몸에 새로운 빛으로 스며든다. 1998.5.7.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날개 : 문득 생각하니, 꽃송이를 즐겨 따먹는 새이기에, 새는 하늘을 날아다니는구나 싶다. 2018.4.29.



翼 : ふと考えると、花びらをよく摘んで食べる鳥だから、鳥は空を飛び回るんだなと思う。 (作 : 森の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