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2007.4.5. 삼선동



  나는 서울사람이 아니기에 서울에 어느 마을이 있는지 잘 모른다. 작은아버지 두 분이 서울에서 살기에 어릴 적에는 한가위나 설이면 작은아버지한테 찾아가곤 했지만, 서울은 인천에서 참 멀고, 너무 시끄럽고, 너무 빽빽하고, 너무 숨막히고, 너무 답답했다. 이렇게 말하면, “인천부터 서울이 멀면, 부산부터 서울은 가깝나?” 하면서 핀잔을 할 분이 많으리라. 그런데, 인천에서 서울을 오가는 길보다, 대전에서 서울을 오가는 길이 빠르기도 하다. 1994년에 서울 이문동 한국외국어대학교에 들어갔는데, 그때 대전에 사는 동무가 서울 이문동에서 서울역을 거쳐 대전에 있는 저희 집에 닿는 겨를보다, 내가 서울 이문동에서 전철을 타고 인천으로 건너간 뒤에, 인천 시내버스로 갈아타서 우리 어버이 집에 닿는 겨를이 한참 늦었다.


  그러니까 서울역에서 부산역까지 빠르게 기차로 달리면, 오히려 인천보다 먼저 닿을 수 있다. 그만큼 인천하고 서울은 “얼핏 가까워 보여도 대단히 먼 사이”라고 여길 만하다.


  서울 골목골목을 두 다리로 누비면서 헌책집을 하나씩 찾아보려고 할 적에 어느 날 어느 책이웃님이 “삼선동에도 헌책집 많습니다.” 하고 알려주었다. “삼, 뭐라고요?” 하고 되물었다. 서울내기가 아니니 ‘삼선동’이란 이름을 바로 알아듣지 못 했다.


  서울 혜화동이 어디인지, 돈암동과 보문동은 또 뭔지, 이화동이나 숭인동이나 창신동은 또 뭔지 골이 아팠다. 그렇지만 마을 한켠에 깃든 작은 헌책집을 한 곳씩 찾아보고 꾸준히 드나드는 동안 천천히 마을이름을 사귀었고, 한 해 세 해 다섯 해 열 해 남짓 흐르는 동안 서로 다른 마을이 어떻게 맞물리면서 어울리는지 시나브로 알아차렸다.


  삼선동이라는 곳에 여러 헌책집이 없었으면 그곳 이름을 귀여겨들을 일이 없었으리라. 굳이 그 마을을 찾아갈 일도 없었으리라. 삼선동에 헌책집 〈삼선서림〉이 새로 연 뒤에는 퍽 자주 삼선동을 찾아갔다. ‘삼선교’라는 다리를 다달이 걸어서 건넜다. 여름에는 ‘낙산’이라는 곳에 책짐을 이고 지고 올라가서 해바라기를 하며 책을 읽었다. 이렇게 대여섯 해를 삼선동하고 사귀던 어느 날 〈삼선서림〉이 깃든 오랜 집터를 큼지막하게 찰칵 찍었다. 이때까지 둘레에서는 ‘삼선교 나폴레옹 빵집’이라고 하면 알더라도 ‘삼선교 헌책집’이라고 하면 모르기 일쑤였다.


  그런데 〈삼선서림〉이 닫았다. 작은책집이 둥지를 튼 큰집을 찰칵 찍었되, 이 빛그림을 삼선지기님한테 건네지 못 했다.


  책집을 닫고서 어디로 떠나셨을까. 책집을 닫으면서 어떻게 지내실까. 삼선지기님은 “나도 책을 좋아하다 보니까, 책을 좋아하는 사람은 다들 가난한데, 가난한 책벌레한테 책값을 받기가 늘 미안했어요.” 하고 말씀하곤 했다. “이 책이 귀하잖아요? 5000원에 사온 책인데, 5000원만 받을게요. 그런데 더 싸게 주지 못 해서 어쩌지요?” 하는 말씀도 곧잘 했다.


  작은 헌책집이 커다란 집에서 나올 수밖에 없었다. 커다란 집을 통째로 헐어서 뭘 더 크게 올려세운다고 하더라. 삼선동에 있던 마지막 헌책집이 사라진 뒤부터, 수더분한 책집지기님을 더 만날 수 없던 뒤부터, 이제 삼선동 쪽을 바라보기가 어렵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2006.10.20. 흑염소



  서울 성북구에 헌책집이 참 많았다. 사람이 많고 배움터도 많으면 책집도 저절로 많다. 앞서 배운 사람이 한창 읽던 책을 기꺼이 내놓고, 새로 배울 사람이 ‘오래면서 새로운 헌책’을 만난다. 〈가람서점〉이 닫고, 〈이오서점〉이 닫고, 〈그린북스〉가 닫고, 〈책의 향기〉가 닫았다. 〈삼선서림〉도 곧 닿을 듯싶다.


  책집이 있던 자리를 찰칵 남길 마음은 없었다. 책집이 있는 자리를 헤아리면서 찾아갔다. 책집만 사라지지 않았다. 책집이 깃든 세모난 집이 통째로 사라졌다. 빈터 옆으로 ‘흑염소’ 글씨만 또렷하고, 옆으로는 103번 서울버스가 멈추려고 한다. 책집이 있던 자리가 텅 비면서 짐차가 여럿 선 모습을 어떻게 마주해야 할까 망설이다가, 마지막으로 찰칵 찍었다.


  서울 성북구 한켠에 있던 헌책집을 ‘빈터만 휑뎅그렁한 모습’으로 떠올릴 책이웃이 있겠지. 웬 ‘흑염소’ 알림판을 찍었느냐고 갸우뚱할 분이 많을 테고, 뭘 보여주려고 찍었는지 모르겠다고 여길 분이 많으리라. 그러나 이 빛그림 하나로 〈책의 향기〉라는 마을책집을 떠올려 본다. 이 마을책집에 드나들며 만나던 책을 헤아려 본다. 그동안 이곳에서 만나서 읽은 책을 그리고, 미처 이곳에서 사들이지 못 한 책을 곱씹는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2023.2.20. 보행자 지옥



  서울은 시끄럽다. 부산과 인천도 시끄럽다. 광주와 순천도 시끄럽다. 대전과 포항도 시끄럽다. 골목으로 접어들어서 거닐면 덜 시끄럽다만, 어느새 쇳덩이가 앞뒤로 들어와서 빵빵댄다. 사람이 느긋이 걷기도 모자란 골목 어디나 한켠에 다른 쇳덩이가 한참 서기에, 걷는 사람은 이쪽 쇳덩이한테서 비키고 저쪽 쇳덩이한테서 비켜야 한다. 그렇지만 쇳덩이를 모는 이들은 “좁은 골목길이 가뜩이나 더 좁은 까닭은, 걷는 사람 때문이 아닌, ‘무단주정차를 한 다른 쇳덩이’” 때문이지만, 언제나 걷는 사람한테 빵빵대면서 담벼락에 바싹 붙으라고 윽박지른다.


  서울이나 큰고장에 바깥일을 보러 다녀오면 힘을 쪽 뺀다. 우리나라는 서울도 시골도 ‘쇳덩이나라(자동차 친화정책)’인 터라, 쇳덩이를 몰지 않으면서 걷는 사람한테는 끔찍한 불수렁이다. 거님길이 얼마나 울퉁불퉁하고 지저분한지 모르는 분이 많다. 젊은 엄마가 억지로 쇳덩이를 장만해서 아기를 쇳덩이에 실어서 부릉부릉 모는 까닭을 알 만하다. 우리나라 모든 거님길은 아기수레를 밀면서 다니기에는 대단히 괴롭고 벅차며 아슬아슬하거든.


  다시 말하자면, 우리나라는 “걸어서 다닐 수 있는 길이 아예 없다”고 할 수 있다. ‘걷는수렁(보행자 지옥)’이다. 할매할배가 남은 오래골목(구도심)을 보면, 마을 할매할배가 날마다 아침낮저녁으로 틈틈이 비질을 한다. 오래골목을 거닐면 길바닥도 정갈하고 고즈넉할 뿐 아니라, 마을 할매할배가 가꾸는 풀꽃나무에 새가 내려앉아서 노래하고, 벌나비가 춤추며 풀벌레가 노래하고, 이따금 개구리까지 노래를 보태니, 서울마실·큰고장마실을 할 적에 몸마음을 쉴 수 있다.


  이와 달리 큰길을 걸어야 할 적에는 길바닥이 어마어마하게 지저분하고 돌과 못과 깨진 병조각이 춤출 뿐 아니라, 곤드레꾼이 게운 속엣것이 곳곳에 있고, 길담배를 태운 이들이 버린 꽁초가 널렸는데, 길장사를 하는 분도 많고, 가게마다 길에 살림을 잔뜩 내놓기까지 하니, 그야말로 ‘서울 큰길’을 걸어서 지나야 할 적에는 귀도 눈도 몸도 마음도 다 아프다.


  아스라이 먼 옛날부터 고샅과 골목은 ‘아이 차지’였다. 아이들이 고샅과 골목에서 맨발로 뛰놀 수 있어야 마을이 아름답고 사랑스럽다. 가면 갈수록 서울과 큰고장과 시골읍내까지, 걸어다니는 어린이를 아예 볼 수 없다고까지 느낀다. 다만, 우리나라 여러 고을 가운데 부산은 아직 “걷는 어린이”가 꽤 있다. “걷는 어린이”를 보기 어려운 고을이나 마을이라면, “어린이도 어른도 살기 어려운 불수렁(지옥)”이라는 뜻인데, 이 얼거리를 알아보는 이웃이 늘어나기를 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2024.6.11. 우리 집 두꺼비



  우리 집에는 개구리도 두꺼비도 함께산다. 우리 집에는 구렁이도 뱀도 함께산다. 우리 집에는 작은새도 큰새도 함께산다. 우리 집에는 나비도 애벌레도 함께산다. 우리 집에는 해도 바람도 비도 찾아든다. 우리 집에는 별도 무지개도 노을도 깃든다. 큰고장하고 서울에서 서른두 살까지 살았다. 서른세 살부터는 아이들하고 시골에서 지낸다. 작은아이 나이에 한 살을 더하면 시골내기로 보낸 나날이니, 아이들하고 품는 시골집 숨빛이란 하루하루 우리 이야기를 가꾸는 밑거름이라고 느낀다.


  어릴 적부터 “나무를 심어서 ‘우리 집 나무’라고 이야기할 수 있는 보금자리”를 누리는 꿈을 그렸다. 아직 큰고장하고 서울에서 지내던 무렵에는 둘레에서 빙글빙글 웃으면서 “서울에서 마당 있는 집을 꿈꾼다고? 돈 많이 벌어야겠네? 서울에서 나무를 심는 마당을 건사하려면 네가 쓴 책을 100만 자락은 팔아야 하지 않아?” 하면서 놀렸다. 곰곰이 생각해 보니, “우리 집 나무하고 살아가는 숲집”을 그릴 노릇이더라. 그래서 ‘우리 집 나무’ 곁에는 ‘우리 집 두꺼비’가 있어야겠고, ‘우리 집 구렁이’에 ‘우리 집 제비’에 ‘우리 집 범나비’에 ‘우리 집 매미’에 ‘우리 집 미리내’가 나란해야겠다고 느꼈다.


  곰곰이 보면, 그리 멀잖은 지난날에는 큰집이건 작은집이건, 가멸집이건 가난집이건, 누구나 ‘우리 집 나무’하고 ‘우리 집 두꺼비’하고 ‘우리 집 미리내’를 누렸다. 멀잖은 지난날에는 누구나 트인 하늘을 맞이했고, 아침저녁으로 파란하늘을 누렸다. 오늘날에는 가멸집이 아니고서는 하늘을 보기 어렵다. 서울이나 부산이나 인천만 가 보더라도 높다란 잿집이 하늘을 틀어막는다. 하늘을 보면서 걸으려고 하면 가게에 부딪히고 사람물결에 휩쓸린다.


  내가 그리는 꿈에는 ‘우리 집 물잠자리’에 ‘우리 집 반딧불이’가 있다. ‘우리 집 바람님(요정)’도 있고, ‘우리 집 깨비’에다가 ‘우리 집 숲아씨(마녀)’까지 있다. 나는 그린다. 나는 꿈씨를 심는다. 나는 오늘을 가꾼다. 나는 이 하루를 노래한다. 나는 날갯짓하는 마음으로 뚜벅뚜벅 걸으면서 푸른별을 푸르게 느끼고 파란별을 파랗게 마시려고 한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999년 1월 2일에 쓴 글을

문득 돌아본다.

새벽에 신문배달을 마치고서 쓴 글일 테지.

아스라한 지난날이로구나.


..


숲노래 책빛 / 숲노래 책읽기

1999.1.2. 길그림에 없는 책집



  고등학교를 다니던 1992년에 헌책집을 찾으러 서울로도 가 볼까 하고 생각하곤 했다. 인천에서 늘 드나들던 배다리 헌책집에서 여러 어른한테 여쭈니, 서울에는 인사동이나 청계천이나 서울역 둘레에 헌책집이 참 많다고 알려준다. 큰책집에 가서 두툼한 길그림책을 들추었다. 그런데 아무리 커다란 길그림책이어도 인사동이건 청계천이건 서울역 언저리에 있다는 책집을 찾을 길이 없다. 〈종로서적〉이나 〈교보문고〉나 〈영풍문고〉처럼 커다랗다는 책집도 찾을 길이 없다.


  그러고 보면, 인천 길그림에는 〈대한서림〉조차 없다. 백화점이나 큰가게나 병원이나 은행은 길그림에 잘 나온다만, 책집을 길그림에 담은 적은 없지 싶다. (1992년과 1999년뿐 아니라 2024년에도 매한가지이다. 따로 ‘책집 길그림’을 낼 적에는 담되, 여느 길그림에는 책집을 안 적어 놓는 우리나라이다)


  서울이나 부산은 땅밑을 다니는 전철길이 거미줄 같다. 전철을 타고내리는 곳에는 으레 커다랗게 길그림을 걸어 놓는데, 전철나루 길그림에 책집을 그려 놓은 모습을 본 적도 없다.


  굳이 책집을 길그림에 넣느냐 안 넣느냐 하고 따질 마음은 아니다. “책집을 길그림에 넣을 줄 아는 나라와 고장과 마을”이라면, 이 나라와 고장과 마을은 아름답고 알차다고 느낀다. 먹고 마시고 노는 밥집과 술집과 옷집만 길그림에 빼곡하게 담는 나라와 고장과 마을은, 안 아름답고 앞날이 새카맣다고 느낀다.


  나라에서는 으레 ‘문화사업’이나 ‘예술사업’을 한다고 떠들썩하다. ‘문화·예술’이란 무엇인가? 돈을 더 많이 들여야 ‘문화·예술’인가? 사람들이 더 많이 구경해야 ‘문화·예술’인가? 마을에서 마을사람이 스스로 조촐히 삶을 새기고 살림을 가꾸고 사랑을 나누도록 이바지하는 마을책집 이야기를 돌아볼 줄 아는 마음에서 ‘문화·예술’이라는 새싹이 돋을 수 있지 않을까?


  이리하여 나는 스스로 ‘책집그림(책집지도)’을 그린다. 나라에서 안 그린다고 나라를 탓하지 말자. 인천이나 부산이나 서울 같은 큰고장이 책집그림에 아무 뜻이 없다고 나무라지 말자. 벼슬꾼(국회의원·공무원)이 책집그림에 팔짱을 끼든 말든 그들을 쳐다보지 말자. 내가 오늘 다니는 책집을 스스로 눈여겨보면서, 두 다리로 뚜벅뚜벅 길이를 재서 흰종이에 차근차근 길을 담아 보자. 책집을 둘러싼 마을은 골목이 어떠한지 모두 두 다리로 누벼 보고서 천천히 길그림을 여미자.


  내가 하면 된다. 내가 읽으면 되고, 내가 새기면 되고, 내가 느끼면 되고, 내가 하면 된다. 내가 그리면 된다. 책마을 언저리를 스스로 그리고, 책숲마실을 그리고, 책집마실을 함께할 동무하고 이웃을 그리면 된다.


  전화번호부에조차 책집이름이 안 오르기 일쑤이니, 책집을 찾아다닐 적마다 책집 전화번호하고 주소도 챙기자. 책집 둘레로 지나가는 버스를 살피고, 어디에서 어떤 버스나 전철을 내려서 몇 걸음(미터)을 가면 책집을 만날 수 있는지 하나하나 짚으면서 책집그림을 선보이자. 내가 꾸리는 책집그림은 누구나 볼 수 있도록 누리집(피시통신)에 모두 올려놓자.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