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책’과 ‘헐다’



  헌책방이라는 곳에서는 헌책을 다룬다. 헌책이란 ‘헌(헐다) + 책’으로 엮은 낱말이다. 그러니, 헌책을 헤아릴 적에는 ‘헐다’라는 낱말이 어떤 뜻인지 살펴야 한다. 한국말사전을 살펴본다.



 헌책 : 이미 사용한 책

 헐다(헌)

 1. 몸에 부스럼이나 상처 따위가 나서 짓무르다

  - 피곤하면 입 안이 금방 헌다

 2. 물건이 오래되거나 많이 써서 낡아지다

  - 그 천막은 너무 헐어서 쓸 수가 없다



  한국말사전에서는 ‘헌책’을 “예전에 일찌감치 쓴 책”으로 풀이한다. 이 뜻풀이는 나쁘지 않다. 그러나 올바르다고까지 하기는 어렵다. ‘헌책’이란 무엇인가를 살핀다면 제대로 풀이하지 못했기에 올바르지 못하다. 다만, 예전에 일찌감치 썼다는 대목을 건드렸으니 틀린 말풀이는 아니다.


  그런데, ‘헐다’라는 낱말을 살피면 “오래되거나 많이 써서 낡아지다”로 풀이한다. 다시 ‘낡다’라는 낱말을 살펴야 할 텐데, ‘낡다’는 “(1) 물건 따위가 오래되어 헐고 너절하다 (2) 생각이나 제도, 문물 따위가 시대에 뒤떨어져 새롭지 못하다”를 뜻한다고 한다. ‘낡다 (1)’에 ‘헐다’라는 낱말이 다시 들어가지만 ‘너절하다’라는 낱말이 새로 있다. ‘너절하다’를 다시 살피면, “(1) 허름하고 지저분하다 (2) 하찮고 시시하다”를 뜻한다고 한다.


  한국말사전 뜻풀이를 헤아린다면, ‘헐다’는 “오래되거나 많이 써서 지저분하거나 하찮거나 시시하거나 새롭지 않다”를 가리킨다고 할 만하다. 한국말사전 뜻풀이대로만 헤아리면 ‘헌책’은 “지저분하거나 하찮거나 시시하거나 새롭지 않은 책”이 되고 만다. 비록 한국말사전에서 ‘헌책’을 따로 올림말로 삼아 “이미 사용한 책(예전에 일찌감치 쓴 책)”으로 풀이하더라도 말이다.


  이러한 말풀이는 옳을까? 옳지 않다. 한국말사전에서 ‘헐다’를 제대로 풀이하지 않으니, 사람들은 ‘헐다’라는 낱말을 “지저분하거나 하찮거나 시시하거나 새롭지 않은” 뜻이나 느낌으로만 받아들이고 만다.


  그런데, 정작 헌책이란 어떤 책인가. 새책방에서 다루는 책을 누군가 장만하면, 이 책은 이때부터 ‘새책’이 아닌 ‘헌책’이다. 누군가 한 번 손을 대면, 다시 말하자면 사람 손을 한 번 타면 ‘헌책’이다. 옷집에서 다루는 옷도 누군가 한 번 손을 대어 입으면 ‘헌옷’이다. ‘헌책’이나 ‘헌옷’은 달리 ‘헌-’을 붙이지 않는다.



 중고(中古)

 1. 이미 사용하였거나 오래됨

 2. = 중고품

 3. 그리 오래지 아니한 옛날

 중고품(中古品) : 좀 오래되거나 낡은 물건



  헌책방지기 가운데 ‘헌책방’이라는 이름을 썩 못마땅해 하거나 달가이 여기지 않는 분이 있다. 이분들은 ‘중고서적’이라는 이름을 쓰시곤 한다. 헌책방을 ‘헌책방 문화’나 ‘책 문화’처럼 바라보거나 이야기하지 않던 지난날에는 더더욱 ‘헌책방’이라는 이름을 안 쓰려 했고, 거의 모두 ‘중고서적’이라는 이름을 쓰려 했다.


  헌책방지기라고 해서 책을 안 읽거나 사전을 안 뒤지지 않는다. 헌책방 일을 하면서 으레 한국말사전을 뒤적였을 텐데, 말풀이를 보고 얼마나 골이 나거나 마음이 다쳤을까. 한국말 ‘헌책·헌책방’을 버리고 굳이 ‘중고도서·중고서적’ 따위 한자말을 쓰려고 한 뜻을 알 만하다. 한국말사전에서는 한자말 ‘중고(中古)’를 “이미 사용하였거나 오래됨”으로만 풀이한다. ‘중고품’은 “좀 오래되거나 낡은 물건”으로 풀이하니, 여기에는 ‘낡은’이라는 말이 깃들지만, ‘-거나’로 잇는다. ‘중고도서’라 하면 “한 번 쓴 책”이나 “좀 오래된 책”을 가리키는 셈이다.


  오늘날 한국에서 한국말을 다루는 학자뿐 아니라, 책을 다루는 학자까지도, ‘헐다(헌)’와 ‘헌책’ 말풀이를 올바르게 다루거나 바로잡으려고 마음을 기울이지 않는다. 참으로 안타깝다고 할 텐데, 한국말 학자와 책을 다루는 학자는 ‘새책’이라는 낱말조차 한국말사전에 안 싣는다. ‘헌책’은 올림말이지만 ‘새책’은 올림말이 아닌 모양새는 참 얄궂지 않은가? 말이 될까? 그런데, ‘새집’은 한 낱말로 한국말사전에 나오는데, ‘헌집’은 따로 올림말이 아니다. 아이들이 두꺼비집 노래를 부를 적에 “헌 집 줄게 새집 다오”처럼 띄어쓰기를 해야 한다는 소리이다. 책을 이야기하는 자리에서는 “새 책방에 있는 새 책을 장만해서 즐겁게 읽은 뒤에, 헌책방에 팔아서 새로운 헌책을 한 권 장만했어요.”처럼 띄어쓰기를 해야 하는 셈이다.


  한국말을 제대로 모르고, 책을 제대로 모르는 어떤 사람은 ‘헌 책방’처럼 띄어쓰기를 잘못 하기도 하는데, ‘헌 책방’처럼 띄어서 쓰면 “책방이 헌 곳”이라는 소리가 되고 만다. 헌책방은 헌책을 다루는 곳이지 “책방이 지저분하거나 하찮거나 시시하다”고 할 수 없다. ‘헌 책방’처럼 띄어서 쓰는 사람은 아주 크나크게 잘못하는 셈이다. 그래서 ‘헐다(헌)’라는 낱말을 내 나름대로 새롭게 풀이를 해 본다. 앞으로 여러 한국말사전이 이렇게 바로잡으면서 고쳐야 한다고 본다.



헐다(헌)

1. 많이 썼기에 앞으로 오래 쓸 만하지 않다

 - 너무 헌 것이라 다른 사람한테 그냥 주지도 못하겠어

2. 살갗이 다치거나 덧나서 진물이나 부스럼이 나다

 - 다친 자리를 자꾸 건드리니까 아물지 않고 허는 듯해

3. 한 번 쓰거나 다른 사람 손을 거치다

 - 헌책방에는 오래된 헌책도 있고 얼마 안 된 헌책도 있다

4. 오랫동안 쓰거나 오랜 나날이 흐르다 (처음으로 만든 지 오래되다)

 - 우리 집에 헌 재봉틀이 한 대 있어



  한국말사전은 ‘헐다(헌)’라는 낱말을 제대로 풀이해야 한다. 오늘날 여러 한국말사전은 ‘헐다’를 두 가지로만 풀이하지만, 뜻과 쓰임새와 느낌에 따라 네 가지로 나누어야 옳다고 느낀다. 첫째, “많이 써서 오래 쓸 만하지 않다”로 또렷하게 한 가지 쓰임새가 있다. 그리고, “한 번 쓰거나 다른 사람 손을 거치다”로도 널리 쓰는 대목을 헤아려서 담아야 한다. 여기에, “오랫동안 쓰거나 오랜 나날이 흐르다”나 “처음으로 만든 지 오래되다”와 같은 뜻을 따로 갈라야 한다.


  헌 재봉틀은 어떤 물건일까. 헌 책상이나 헌 자전거는 어떤 물건일까. 많이 써서 앞으로 쓸 만하지 않을 수 있으나, 그저 오래된 것일 수 있으며, 한 번 쓰고 묵힌 것일 수 있다. 한 번 손을 탔기에 새것으로 팔 수 없을 수 있다. ‘헌-(헐다)’이라는 낱말이 이런 여러 가지 뜻으로 쓰는 줄 제대로 담도록 말풀이를 바로잡으면서 고쳐야 한다고 느낀다. “오래된 헌책”과 “얼마 안 된 헌책”이 헌책방에 나란히 있는 줄 알고 느끼면서 이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 4347.12.15.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헌책방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중에 보이는 책



  책방마실을 하면서 책탑이나 책꽂이를 사진으로 찍는다. 사진을 찍기 앞서나 사진을 찍을 적에 책탑과 책꽂이를 찬찬히 살펴서 ‘내 마음에 드는 책’을 다 골랐으리라 여기지만, 막상 ‘책방마실을 하며 찍은 사진’을 집으로 돌아와서 큼지막하게 키워서 들여다보면, ‘어라, 내가 왜 이 책을 코앞에 두고도 안 골랐을까?’ 하면서 쓸쓸하기 일쑤이다. 참말 이 책들을 코앞에서 사진기를 디밀면서 바라보았는데, 왜 사진기 눈으로도 알아차리지 못했을까. 사진기에 앞서 두 눈으로 쳐다볼 적에도 왜 깨닫지 못했을까.


  나중에 보이는 책 가운데 나중에 다시 책방마실을 할 적에 고맙게 만나는 책이 더러 있다. 그러나, 나중에 보이는 책은 나중에 다시 책방마실을 하더라도 으레 다시 못 만나기 일쑤이다.


  앞으로 다른 책방을 나들이하면 만날 테지. 몇 달이나 몇 해쯤 지나야 만날는지 모를 노릇이지만, 앞으로 다른 책방에서 틀림없이 만날 테지. 믿고 믿는다. 기다리고 기다린다. 4347.12.3.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헌책방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방 앞에 서면



  책방 앞에 서면 살짝 떨린다. 오늘 이곳에서 어떤 책을 새롭게 만날 수 있을까 하고 생각하며 설렌다. 나는 어떤 책을 만날까. 나는 어떤 책을 손에 쥘까. 나는 어떤 책을 어떻게 읽으면서 어떤 마음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


  책방 문을 열고 들어서기까지 나한테 찾아올 책을 알 수 없다. 새책방에서든 헌책방에서돈 모두 같다. 새로 나온 책 가운데 신문이나 방송이나 인터넷 어디에서도 눈길을 받지 못한 책이 있기 마련이고, 헌책방 책시렁에 놓인 책 가운데 이제껏 사랑을 제대로 받지 못한 책이 있기 마련이다. 어느 책을 마주하든, 책을 알아볼 몫은 나한테 있다. 책을 아끼고 사랑할 사람은 바로 나이다.


  책방 앞에 서면 큰숨을 한 차례 들이마신다. 가만히 눈을 감고 생각에 잠긴 뒤 눈을 즐겁게 다시 뜬다. 이러고 나서 책방 문을 연다. 기쁜 목소리로 책방지기한테 인사를 한 뒤 가방을 내려놓는다. 홀가분한 몸으로 책시렁을 찬찬히 둘러본다. 4347.11.19.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헌책방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은 무엇인가



  이제 사라졌지만, 부산 보수동 책방골목에 있는 어느 헌책방에서 “‘책’은 인증용 소품이 아닙니다.”라고 적은 쪽종이를 바깥에 살그마니 내놓은 적 있다. 무슨 소리일까? 무슨 뜻일까? 쪽종이에 적은 말 그대로이다. 책은 ‘책’일 뿐, ‘소품’이 아니다. 보수동 책방골목에 ‘사진만 찍으러 오는 나그네’를 겨냥해서 하는 말이다.


  제주섬 억새밭에 사진을 찍으러 가는 일은 나쁘지 않다. 좋거나 나쁘다고 가를 수 없다. 그저 억새를 누리려 가는 길이니까. 억새밭에 가면 억새를 바라보고 만지고 누리다가 사진을 찍는다. 억새밭을 마음껏 달리다가 사진을 찍고, 억새밭에 드러누워서 사진을 찍기도 할 테지.


  책방골목이나 헌책방에 가면 무엇을 할 만할까? 사진을 찍을 만할까? 책을 ‘소품’으로 삼아서 멋들어진 모습을 훌륭히 찍을 만할까?


  책을 소품으로 삼고 싶다면 도서관에 갈 노릇이다. 도서관에 가서 ‘소품인 책’을 늘어놓고 찍을 노릇이다. 책을 소품으로 여기고 싶으면 커다란 새책방에 갈 노릇이다. 수십만 권에 이르는 책이 꽂힌 커다란 새책방에서 신나게 사진을 찍을 노릇이다.


  그런데, 곰곰이 생각할 노릇이다. 도서관이나 큰 새책방 가운데 ‘사진 마음껏 찍으시오’ 하고 밝히는 데가 있을까? 없다. 도서관이나 큰 새책방에서는 ‘사진을 못 찍게 가로막’는다. 왜 그러할까? 왜 도서관이나 큰 새책방에서는 사진을 찍지 말라고 할까? 도서관과 큰 새책방에 찾아온 책손한테 거슬리기 때문이다. 책을 누리는 다른 사람한테 성가시거나 귀찮기 때문이다.


  책을 소품으로 삼는 일은 나쁘지도 좋지도 않다. 소품으로 삼으려면 얼마든지 삼을 만하다. 다만, 책을 책으로 바라보지 않고 소품으로만 여긴다면, 책을 눈앞에 두고도 책을 펼칠 줄 모른다면, 수박이나 능금이나 딸기를 수박이나 능금이나 딸기로 여기지 않고 소품으로만 삼는다면, 무슨 재미나 보람이 있을까.


  수박이나 능금이나 딸기를 소품으로 삼아 멋있게 사진으로 찍을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여러 날 소품으로만 삼으면, 어느새 이 열매는 흐물흐물 늘어진다. 일본사람 기무라 아키노리 님이 숲을 가꾸며 거둔 ‘기적 사과’가 아니고서야, ‘소품이 되는 열매’는 모두 못 먹어서 버려야 한다.


  책은 열매처럼 쉬 곯거나 썩지는 않는다. 그러나, 책을 소품으로만 여기면, 책은 종이라서 바스라진다. 먼지가 더께로 바뀐다. 무엇보다, 책에 깃든 아름다운 알맹이를 못 받아먹는 사람 스스로 아름다움하고 동떨어진다.


  책은 무엇인가? 책은 책이다. 참말, 책은 책이다. 책을 책으로 여길 수 있을 때에 책이 빛난다. 밥을 밥으로 여기고, 숲을 숲으로 여기며, 사람을 사람으로 여기고, 아이를 아이로 여기며, 이웃을 이웃으로 여기는 마음결을 살려서, 책을 책으로 여길 줄 아는 마음을 가꿀 때에 사랑이 자란다. 4347.11.19.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헌책방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간판 바꾸면 헌책방 살아나는가?



  책방을 찾는 사람은 간판을 보고 찾아가지 않는다. 책방에 깃든 책을 보려고 책방에 간다. 그런데, 공무원이 책방을 돕겠다면서 하는 일이란 ‘간판 바꾸기’이다. 이명박이라고 하는 분이 서울시장으로 있을 적에 ‘청계천 살리기’를 한다면서 서울 청계천 둘레에 있던 헌책방 간판을 새 것으로 갈아 주었다. 그리고, 올해 2014년에 네이버라는 회사에서 이곳 서울 청계천 헌책방 간판을 새것으로 갈아 주었단다. 헌책방에서 쓰던 간판이 한글이 아니었는가? 그동안 모두 한글 간판을 붙였을 텐데, 네이버에서 한글날을 맞이해서 ‘한글 간판’으로 바꾸었다면서 홍보를 하니 아리송하기만 하다. 처음부터 한글이던 간판을 ‘다른 한글 간판’으로 바꾼 일이 얼마나 대단한가? 게다가 ‘청계천 살리기’를 한다면서 제법 돈을 들여 바꾼 간판이 얼마나 낡았다고 벌써 새 간판을 올려야 했을까? ‘오래된 책방 간판’은 역사나 문화가 아니라는 뜻인가?


  헌책방을 돕고 싶다면 ‘간판 갈기’ 같은 일은 안 하기를 바란다. ‘책방 간판 갈기’는 도시에서 ‘보도블록 새것으로 갈기’하고 똑같은 일이다. 간판 바꿀 돈이 있으면, 이 돈으로 책방 임대료를 돕는 데에 쓸 수 있기를 바란다. 또는, 헌책방 문화를 살릴 수 있는 잡지나 단행본을 내는 데에 돈을 쓰기를 바란다. 또는, 헌책방 영업을 배우고 싶은 젊은이를 키우는 데에 돈을 쓰기를 바란다. 4347.10.14.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헌책방 언저리)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ppletreeje 2014-10-14 22:32   좋아요 0 | URL
예, 정말 맞는 말씀이세요.
`책방 간판 갈기`는 도시에서 `보도블록 새것으로 갈기`.
참 어처구니 없고 기가 막힌 일이죠...
멀쩡한 걸 죄다 뜯어내고 엉뚱한 짓이나 벌이는 삽질들,,,

숲노래 2014-10-15 00:52   좋아요 0 | URL
간판 갈이를 하고서
서울시장하고 네이버 대표하고...
신나게 사진놀이를 하고 손바닥그림도 찍고...
온갖 것을 다 하시던데,
그런 무대에서
정작 `청계천 헌책방거리 사장` 가운데
어느 분 얼굴도 볼 수 없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