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글씨 간판

 


  새책방도 처음에는 간판을 손글씨로 넣었으리라 본다. 지난날에는 간판글씨를 뚝딱뚝딱 만드는 일 없이 나무판에 붓으로 척척 그렸으리라 본다. 간판집에서 글판을 처음 만들고 난 뒤, 새책방은 으레 글판을 붙여 책방이름 알리는 간판을 올렸으리라 느낀다. 이와 달리 헌책방은 간판조차 없이 가게를 꾸리는 일이 잦았고, 이럭저럭 살림돈 모여 간판을 올릴 수 있은 뒤에는, 덧붙일 이야기 있으면 손글씨로 이래저래 적어 넣었을 테지.


  ‘간판 없는 새책방’이 있을까. ‘간판 없는 헌책방’은 참 많았다. 책방이름을 따로 안 짓는 헌책방들인데, 이곳 헌책방지기는 “그냥 헌책방이라면 되지, 굳이 이름을 붙이느냐?” 하고 얘기했다. “간판 없어도 책 볼 사람은 다 찾아온다.”고 했고, “간판에 돈 쓰기 아깝다.”고 했다. 간판 올릴 돈이 있으면 헌책을 더 장만해서 책손이 바라는 책을 더 갖추어야 할 노릇이라고 얘기하기도 했다.


  새책방이라면 간판이 잘 보여야 할까. 곰곰이 돌아본다. 아니, 장사를 하는 가게라면 어디나 간판이 잘 보이도록 큼지막하게 걸거나 불을 번쩍번쩍 비추기까지 한다. 가게 꾸리는 돈 못지않게 간판 알리는 돈을 많이 쓴다. 기름집을 보면, 기름집에서 다달이 쓰는 전기삯이 무척 세다고 한다. 그래도 벌이가 되니 기름집 간판불 밝히는 데에 돈을 엄청나게 쏟아부을 테지.


  어릴 적부터 여러 책방과 도서관 다니는 동안, 새책방과 도서관에서 ‘책을 많이 잘 갖추면 된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없다. 새책방은 ‘새책방인 탓’에 바닥에 책을 쌓지 않는다. 새책방 가운데 책꽂이를 늘리고 늘려 천장까지 빼곡하게, 골마루가 비좁도록, 이렇게 책을 갖추려는 데는 못 보았다. 새책방에서는 오래도록 안 팔리는 책 있으면, 좀 철이 지났다 싶은 책 있으면, 출판사에 가볍게 반품한다. 도서관에서도 책이 많이 쌓이면, 책이 좀 낡거나 대출실적 없으면, 이런 책을 가볍게 버린다.


  헌책방에서도 책이 지나치게 쌓이면 짐차를 불러 버리기는 하지만, 헌책방에서는 책을 더 꽂으려고 책꽂이를 자꾸 늘린다. 책꽂이를 늘리고도 모자라 책탑을 쌓는다. 책탑으로도 모자라 책방 앞 길가에도 새로운 책탑을 쌓는다. 언젠가 어느 헌책방지기가 문득 한 마디 했다. “이렇게 책방 앞에 쌓은 책탑이 헌책방 간판이지요. 헌책방에 간판이 달리 뭐 있나요.” 그러고 보면, 동네헌책방 자주 드나드는 단골 가운데 어떤 분은 이녁이 단골로 거의 날마다 드나드는 그 헌책방 이름이 무엇인지 모른다. 그분은 “내가 여기 책 보러 오지, 간판 보러 오나? 책방이름 몰라도 거기에 책방 있는 줄 아니까 오지.” 하고 얘기했다. 4346.11.23.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헌책방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넌지시 찾아가던 책방들

 


  책방마실만 즐기던 때에는 어느 책방이고 즐겁게 다녔다. 책이 있는 곳이라면 책방뿐 아니라 길거리에 깐 좌판도 지나치지 못한다. 고등학교를 다닐 무렵, 그리고 고등학교를 마치고 여러 해 동안, 간판이 있거나 없는 작은 헌책방과 길거리 좌판을 즐겨 찾아다녔다. 이 사이, 대학교 교육이 이 나라에서는 잔뜩 일그러졌다고 느껴 등록금 댈 돈을 스스로 아름다운 책 장만해서 읽는 데에 쓰자 생각했고, 군대에서 스물여섯 달을 보내고 사회로 돌아온 뒤 사진을 배워, 책방마실을 하는 틈틈이 사진을 찍어 보았다. 내가 즐겁게 다닌 책방을 사진으로 담고, 내 마음을 살찌운 책을 고맙게 갖추어 준 책쉼터를 사진으로 옮긴다.


  사진을 찍지 않더라도 내가 다닌 모든 책방 모습을 내 가슴속에 또렷이 아로새긴다. 사진을 찍은 뒤로는 내 가슴속에 또렷이 새긴 모습을 새삼스레 짚으며, 이날 이곳에서 어떤 책을 만났고 이 책들을 품에 안으며 얼마나 벅차고 설렜는가 돌아본다. 이제는 사라진 책방을 그리고, 이제는 사라진 책방 옆에 있던 더 일찍 사라진 책방을 그린다. 사진으로 미처 담지 못한 다른 사라진 책방을 그리고, 내가 모르는 지난날 일찌감치 사라진 책방을 그린다.


  책방에는 무엇이 있을까. 책이 있지. 헌책방에는 어떤 책이 있을까. 헌책이 있지. 책방에 있는 책은 무엇인가. 삶을 살찌우는 길동무가 되는 책이지. 헌책방에 있는 헌책은 무엇인가. 누군가 따사롭게 사랑하며 마음으로 새겨읽은 밥 한 그릇과 같은 책이지.


  새책방에서 만나는 책들한테는 내가 첫사랑을 베푼다. 헌책방에서 만나는 책들한테는 내가 두사랑 또는 세사랑 또는 네사랑을 나누어 준다. 첫사랑도 나한테 애틋하고, 두사랑과 세사랑과 네사랑 또한 나한테 살갑다. 사랑은 차례나 번호를 매기지 않으니까. 사랑은 그예 사랑일 뿐이니까. 책은 모두 책이요, 아름다운 마음밥은 늘 아름다운 마음밥 되어 내 삶을 북돋는 웃음꽃 되니까. 4346.11.23.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헌책방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그마한 간판

 


  지난날 참 많은 헌책방들은 간판이 없이 가게를 열었다. 간판도 책방이름도 없이 책만 가게에 두었는데, 사람들이 하나둘 찾아와서 책을 살펴서 사 갔다. 마음속으로 고운 책빛을 품는 사람들은 간판도 책방이름도 없는 조그마한 헌책방 옆을 스쳐서 지나갈 일이 어김없이 생긴다. 헌책방지기도 책손도 바로 이곳에 어느 날부터 헌책방이 문을 열 줄 생각조차 못했겠지. 그러나 두 사람 책빛이 마음과 마음으로 만나 이 길을 걸어갈 일이 생기고, 이 길을 걸어가다가 살며시 만난다.


  서른 해 마흔 해 쉰 해 헌책 만지며 살림 일구는 할배 헌책방지기와 할매 헌책방지기는 말한다. “좋은 책 두면 되지. 간판이 뭐가 대수로워.” 헌책방은 ‘이 좋은 책이 나온 곳’이라는 이름을 사람들한테 알리지 않는다. 헌책방은 그저 ‘이곳에 오면 책이 있다’는 이야기만 사람들한테 알린다.


  과일장수가 길가에 능금 몇 알 놓으면 이곳이 과일 파는 집인 줄 알려준다. 헌책장수는 길가에 헌책 몇 권 놓으면 이곳이 헌책 파는 집인 줄 알려준다.


  ‘이 책을 꼭 읽으시오’ 하고 말하는 헌책방은 없다. ‘이 책을 반드시 사시오’ 하고 끌어당기는 헌책방지기는 없다. 모두 책손 몫이다. 조그마한 동네새책방이건 동네헌책방이건, 책빛이 숨쉬는 책터를 알아보는 몫은 오로지 책손한테 있다. 책방지기는 이녁 책방에 ‘아름다운 빛 물씬 흐르는 책’을 꾸준히 알뜰살뜰 건사한다.


  책방을 광고하거나 홍보하지 않는다. 책은 광고하거나 홍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책을 엮은 출판사 일꾼도 책을 알리지 못한다. 보도자료는 쓸 수 있어도 책을 알리지 못한다. 왜냐하면, 책을 알아채거나 느끼는 몫은 ‘마음속에 책빛 담은 사람’ 스스로한테 있기 때문이다. 두 손으로 쥐어 두 눈으로 살피며 온마음으로 읽는 책이다. 베스트셀러나 스테디셀러라 해서 이냥저냥 읽을 수 없다. 백만 사람이 읽는 책이 아니라, 다 다른 사람이 다 다른 가슴으로 읽는 책이다. 백만 사람이 읽었더라도 백만 가지 새 이야기가 흐를 수 있어야 옳다. 천만 사람이 읽었으면 천만 가지 이야기가 새로 태어나야 마땅하다.


  책방마실을 하는 사람은 스스로 책시렁을 살핀다. 책방을 꾸리는 사람은 스스로 책을 캐낸다. 책방마실을 하는 동안 마음속으로 스며드는 책을 헤아린다. 책방살림 일구는 동안 마음속으로 퍼지는 책씨앗을 돌아본다.


  커다랗게 붙여야 알아볼 만한 책방 간판이 아니다. 신문이나 잡지에 소개글이나 광고글 실렸기에 읽어 볼 만한 책이 아니다. 4346.11.16.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헌책방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으로 빚는 무늬

 


  새책방에서는 ‘잘 팔리는 책’ 몇 가지를 잔뜩 쌓아 놓지만, 헌책방에서는 ‘잘 팔리는 책’ 몇 가지를 잔뜩 쌓지 못한다. 아무리 잘 팔리는 책이라 하더라도 헌책방에서는 똑같은 책을 잔뜩 쌓으면 빛을 읽는다. 헌책방에서 잘 팔리는 책은 잔뜩 들어오지 않기도 한다.


  헌책방에서는 온갖 책을 골고루 쌓아 놓는다. 이 책과 저 책을 섞어 쌓아 놓는다. 사람들이 곧 사 갈 만한 책과 사람들이 쉬 사 가지 않을 만한 책을 나란히 쌓아 놓는다. 사람들이 이내 알아볼 만한 책과 사람들이 좀처럼 못 알아보는 책을 사이좋게 쌓아 놓는다.


  ‘잘 팔리는 책’이 수북히 쌓인 새책방이 언뜻 보기에는 한결 깔끔해 보인다 할 수 있다. 헌책방은 다 다른 책이 다 다른 모양새이기에 뒤죽박죽 울퉁불퉁 알록달록한 무늬가 된다. 그런데, 다 다른 책이 함께 놓이는 헌책방 무늬가 외려 재미나기 일쑤요, 새로운 빛이 나기 마련이다. 마치 온 마을 아이들을 한 자리에 모아 놓은 무늬와 빛이라고 할까.


  얌전한 아이도 있겠지. 개구진 아이도 있겠지. 웃는 아이 얼떨떨한 아이 있겠지. 마구 뛰는 아이와 춤을 추는 아이 있겠지. 헌책방 책시렁 책들을 바라볼 때면, 온갖 아이들이 저마다 다른 기운으로 저마다 다른 빛을 뽐내며 뛰어노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서로 다르다 할 책이 뜻밖에 참으로 잘 어울리는구나 하고 느낀다. 갈래가 다르고, 태어난 해가 다른데, 이런 책 저런 책이 생각보다 훨씬 잘 어울리는구나 하고 느낀다.


  새책방은 서로 엇비슷한 또래 아이만 모은 곳이요, 헌책방은 나이도 삶도 마음도 고향도 모두 다른 아이와 어른을 모은 곳이라 할 만하다고 느낀다.


  헌책방 책을 살피면, 먼 나라 할매와 먼 옛날 할배가 한 자리에 있다. 갓 태어난 아기와 시골 젊은이와 국수집 아재가 한 곳에 있다. 하는 일과 걸어가는 길이 모두 다른 사람들이 한 마을에서 어깨동무하며 살아간다고 느낀다. 삶으로 빚는 무늬가 책으로 빚는 무늬가 된다. 4346.11.13.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헌책방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아이들이 책방에 나들이를 가서

 


  어른들은 굳이 책방마실 안 하고 인터넷 켜서 책을 살 수 있다. 그러나, 아이들은 책방마실을 하지 않으면 제 마음에 드는 책을 찾을 수 없고, 만질 수 없으며, 볼 수 없다. 어버이 된 사람이라면, 아이들과 함께 다리품을 팔아 책방마실을 해야 한다. 아이들이 읽을 만한 책을 어른들이 슬기로운 눈빛 밝혀 하나하나 캐내고 골라서 안길 수 있다만, 아이들 또한 스스로 이런 책 저런 책 가만히 눈여겨보면서 책빛을 가슴으로 포옥 안을 수 있어야 아름다우니까.


  책방마실을 한다면, 책방만 들르지 않는다. 책방까지 가는 동안 아이들은 이런 삶 저런 사람을 만난다. 책방으로 오기까지 아이들은 이런 하늘 저런 골목을 마주한다.


  책방에 들어선 아이들은 어린이책 있는 칸만 바라보지 않는다. 맨 먼저 책방 골마루를 신나게 휘젓고 다닌다. 이쪽 골마루 저쪽 골마루 구석구석 누빈다. 한참 뛰놀며 땀을 쪼옥 뺀 뒤에야, 아이들은 저희 눈높이에 걸맞다 싶은 책이 있는 자리를 찾아간다. 어느 어른이 굳이 이끌지 않아도 아이들 스스로 몸이 알아챈다.


  책방마실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 아이들은 가슴이 뿌듯하다. 마음에 드는 책을 품에 안아도 뿌듯하고, 딱히 마음에 드는 책을 찾지 못하더라도, 바깥바람을 쐬고 어버이와 나란히 나들이를 다닐 수 있어서 즐겁다.


  아이들은 손전화 기계로 책을 읽지 않는다. 아이들은 셈틀을 켜서 글을 읽지 않는다. 아이들은 종이로 된 책을 읽는다. 아이들은 종이로 된 책이 꽂힌 책방으로 마실을 다녀야 책을 만난다.

 

  아이들은 종이책을 만나지 않더라도 늘 가까이에 있는 어버이를 바라보면서 삶을 읽는다. 우리 어머니와 아버지를 마주하면서 사람을 읽고 사랑을 읽는다. 꿈을 읽고 생각을 읽으며 마음을 읽는다. 마당에서 뛰놀며 흙빛과 바람빛을 읽는다. 풀빛을 읽고 꽃빛을 읽으며 나무빛을 읽는다.


  아이들한테는 어떤 책이 아름다울까. 아이들은 책방마실을 얼마나 누려야 할까. 거꾸로 생각해 본다. 어른들한테는 어떤 책이 아름다운가. 어른들은 책방마실을 얼마나 누려야 하는가. 아름다운 사람들이 남긴 책을 읽지 않고서, 어른들 스스로 아름다운 삶 얼마나 씩씩하거나 야무지게 일구는가. 아름다운 책방으로 마실을 다니지 않으면서, 어른들은 이웃을 얼마나 잘 알거나 살피거나 눈여겨보거나 어깨동무를 하는가.


  사람살이는 점과 점이 아니다. 이 점에서 저 점으로 옮기면 되는 사람살이가 아니다. 점과 점 사이에 수없이 많은 사람들이 있고 삶터가 있으며 마을과 보금자리가 있다. 책방마실 찬찬히 누리는 동안, ‘책으로 담긴 이야기’에 나오는 사람들 삶터와 마을과 보금자리 옆을 지나간다. 책방 또한 책지기들 삶터요 마을이며 보금자리이다.


  돈으로 값만 치르면 살 수 있는 책이란 없다. 삶으로 읽고 삶을 읽으며 사랑스러운 삶을 함께 나누려는 웃음꽃으로 만나는 책이 있다. 4346.11.9.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헌책방 언저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