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1267) 자세 1 : 자세히 보면

 

나뭇가지가 벌거벗었다고? 자세히 보면, 가지마다 작은 겨울눈이 촘촘해
《이와타 켄자부로/이언숙 옮김-백 가지 친구 이야기》(호미,2002) 28쪽

 

  잘 모르는 일이 있을 때나, 두루뭉술하게 말하고 넘어가려고 하는 때에, 사람들은 으레 “자세히 얘기해 주셔요.” 하고 말합니다. 곰곰이 되짚어 봅니다. 나는 어릴 적부터 이 말 ‘자세’를 듣고 썼어요. 앉거나 설 때에도 “자세를 똑바로 해!” 같은 말을 들었습니다.


  국어사전을 뒤적입니다. 모두 세 가지 ‘자세’가 나옵니다. 첫째, ‘자세(仔細/子細)’로 “(1) 사소한 부분까지 아주 구체적이고 분명하다 (2) 성질 따위가 꼼꼼하고 찬찬하다”를 뜻한다 합니다. 보기글로는 “설명이 자세하다”와 “자세하게 약도를 그리다”가 있습니다. 둘째, ‘자세(姿勢)’로 “(1) 몸을 움직이거나 가누는 모양 (2) 사물을 대할 때 가지는 마음가짐이나 태도”를 뜻한다 하는군요. 보기글로는 “자세를 가다듬다”와 “자세를 고쳐 앉다”와 “정신 자세”와 “학자로서의 자세”가 있어요. 셋째, ‘자세(藉勢)’로 “어떤 권력이나 세력 또는 특수한 조건을 믿고 세도를 부림”을 뜻한다 하네요. “그게 다 자기처럼 복 있는 아내를 얻은 덕이라고 그 자세가 대단했다” 같은 보기글이 있습니다.


  국어사전에 실린 한자말 ‘자세’ 가운데 셋째 것은 쓸 일이 없으니 덜어내야 알맞습니다. 쓸 일이 없기도 하지만 써서 알맞지 않은 이러한 한자말을 자꾸 국어사전에 싣는다면 한국말은 뒷걸음을 치거나 주눅이 들어요.

 

 자세히 보면
→ 가만히 보면
→ 찬찬히 보면
→ 가까이 다가가 들여다보면
 …

 

  그러면 두 가지 ‘자세(仔細/子細,姿勢)’는 얼마나 쓸 만할까요.  ‘꼼꼼히’나 ‘찬찬히’라 이야기할 자리에서 자꾸 ‘자세히’를 이야기하면서 한국말 쓰임새가 차츰 줄어들지 않을까요. ‘매무새’나 ‘몸가짐’이나 ‘마음가짐’ 같은 한국말을 잃거나 잊으면서, 쉽고 알맞으며 바르게 가다듬을 말넋 또한 잃거나 잊지 않을까요.

 

 설명이 자세하다
→ 설명이 꼼꼼하다 / 얘기가 꼼꼼하다
 자세하게 약도를 그리다
→ 꼼꼼하게 약도를 그리다 / 꼼꼼하게 그림을 그리다

 

  어느 자리에서는 “빈틈없이 얘기하다”라 말할 때에 어울립니다. 어느 곳에서는 “낱낱이 얘기하다”라 말할 때에 알맞습니다. 어느 때에는 “조곤조곤 얘기하다”라 말할 때에 잘 들어맞겠지요.


  그러니까, “자세를 가다듬다” 아닌 “매무새를 가다듬다”나 “몸가짐을 가다듬다”입니다. “자세를 고쳐 앉다” 아닌 “앉음새를 고치다”입니다. “정신 자세” 아닌 “마음가짐”이나 “마음결”이고, “학자로서의 자세” 아닌 “학자다운 마음가짐”이나 “학자다운 몸가짐”이며, “학생 본연의 자세” 아닌 “학생다운 몸가짐”이에요.


  우리한테는 ‘매무새’와 ‘몸가짐’과 ‘마음가짐’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앉은 자세라면 ‘앉음새’입니다. 선 자세를 가리킬 ‘섬새’라는 말은 없지만, 이런 말도 새로 빚어내어 쓸 수 있을 테지요. ‘섬새’라는 낱말이 국어사전에 없다면, ‘매무새’와 ‘몸가짐’으로도 넉넉하기 때문에 굳이 이런 말을 안 지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세를 고쳐 앉다” 같은 말은 “똑바로 앉다”나 “바로 앉다”로 다듬을 수 있어요.


  스스로 즐겁게 쓸 말을 생각합니다. 곧, 즐겁고 아름다운 ‘말매무새’를 헤아리고, ‘말가짐’을 헤아립니다. 몸가짐과 마음가짐처럼 ‘말가짐’ 또는 ‘생각가짐’이나 ‘사랑가짐’을 헤아릴 만해요. ‘말매무새’라는 새말 빚을 수 있듯, ‘노래매무새’와 ‘춤매무새’ 같은 새말 빚을 수 있고, ‘이야기매무새’라든지 ‘육아매무새’나 ‘일매무새’ 같은 낱말 빚어도 돼요.


  서로 기쁘게 주고받을 말을 짚어 봅니다. 차근차근 짚으며 차근차근 말빛을 밝힙니다. 찬찬히 되새기며 하나둘 말살림 북돋웁니다. 꼼꼼히 살피면 슬기롭게 주고받을 말밭 일굴 수 있어요. 낱낱이 들여다보면 곱게 영글 말나무 한 그루 보살필 수 있습니다. 4340.4.25.물./4346.3.16.흙.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나뭇가지가 벌거벗었다고? 가만히 보면, 가지마다 작은 겨울눈이 촘촘해

 

..

 

 알량한 말 바로잡기
 (1576) 자세 2 : 자세히 보니

 

자세히 보니, 조그만 꽃봉오리가 막 벌어지던 참이었다
구도 나오코/고향옥 옮김, 《친구는 초록 냄새》(청어람미디어,2008) 95쪽

 

  꽃봉오리를 들여다보는 눈길은 여러 가지입니다. 살짝 들여다볼 수 있고, 스치듯 들여다볼 수 있습니다. 얼추 들여다보거나 얼핏 들여다볼 수 있어요. 가만가만 들여다본다든지, 물끄러미 들여다볼 수 있지요. 오래도록 들여다보거나 한참 들여다볼 수 있어요.

 

 자세히 보니
→ 가만히 보니
→ 곰곰이 보니
→ 살며시 보니
→ 물끄러미 보니
→ 빙그레 보니
 …

 

  보기글에서는 “문득 보니”나 “빙그레 보니”처럼 적어도 어울립니다. 그동안 들여다보았을 때에는 꽃봉오리가 벌어지려는지 말려는지 모르다가, 어느 한때 문득 알아챘다 할 만하거든요. 또는, 꽃봉오리 막 벌어지려는 모습이란, 조용히 웃음 피어나도록 이끈다 할 만하기에, ‘빙그레’나 ‘방그레’ 같은 낱말을 넣어도 돼요. 때에 따라서는 “오늘 보니”라든지 “이제 보니”를 넣을 수 있어요. 낱말마다 다 다르게 나타내는 느낌이 있고, 낱말마다 말빛과 말결이 새롭습니다. 4346.3.16.흙.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살며시 보니, 조그만 꽃봉오리가 막 벌어지던 참이었다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 말도 익혀야지
 (946) 쉽게 쓸 수 있는데 88 : 점점 늙어가고 있는 것

 

수탉은 자신이 점점 늙어가고 있는 것을 느꼈단다
《이억배·이호백-세상에서 제일 힘센 수탉》(재미마주,1997) 16쪽

 

  “수탉은 자신(自身)이 점점(漸漸)”에서 ‘자신이’는 덜어도 됩니다. “수탉은 차츰”이나 “수탉은 하루하루”나 “수탉은 나날이”로 손봅니다. “늙어가고 있는 것을”은 “늙어가는 줄을”이나 “늙는 줄을”이나 “늙는다고”나 “늙는구나 하고”로 손질합니다.

 

 수탉은 자신이 점점 늙어가고 있는 것을
→ 수탉은 몸이 차츰 늙는구나 하고
→ 수탉은 차츰 늙는구나 하고
→ 수탉은 하루하루 늙는 몸을
→ 수탉은 스스로 늙는 줄
 …

 

  이 글월은 그림책에 나옵니다. 퍽 어린 아이들이 스스로 읽거나 어른들이 읽어 주는 그림책 글월입니다. 아이들은 이 같은 글월을 읽으며 이러한 글투에 익숙해집니다. 어른들은 아이들한테 이런 글월을 읽어 주며 어른 스스로 새삼스레 이러한 글투에 길듭니다. 아이도 어른도 올바르거나 알맞거나 사랑스러운 말투하고 멀어지고 마는 셈인데, 그림책 글월이라 하더라도 슬기롭게 살펴, 손질할 대목은 찬찬히 손질해서 읽히고 읽도록 하면 좋겠습니다. 4346.3.13.물.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수탉은 차츰 늙는구나 하고 느꼈단다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 말도 익혀야지
 (948) 얄궂은 말투 96 : 변화의 움직임이 일었다

 

1990년대에 이르러서야 각 주 정부와 몇몇 학교 이사회 차원에서 이 부분에 커다란 변화의 움직임이 일었다
《에냐 리겔/송순재-꿈의 학교, 헬레네 랑에》(착한책가게,2012) 244쪽

 

  “각(各) 주 정부”는 “여러 주 정부”로 손보고, “학교 이사회 차원(次元)에서”는 “학교 이사회에서”나 “학교 이사회 테두리에서”로 손봅니다. “이 부분(部分)에”는 “이 대목에”나 “이곳에”로 손질합니다.


  국어사전에서 한자말 ‘변화(變化)’ 뜻풀이를 찾아보면 “사물의 성질, 모양, 상태 따위가 바뀌어 달라짐”이라 나옵니다. 그런데 “바뀌어 달라짐”이란 무엇일까요? ‘바뀌다’나 ‘달라지다’는 모두 “다른 모습이 되다”를 가리키는 한국말입니다. 뜻이 거의 같다 할 두 낱말을 나란히 적는 “바뀌어 달라짐”과 같은 풀이말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곰곰이 생각하면, 한국말 ‘바뀌다’나 ‘달라지다’를 스스럼없이 쓰지 못하는 이들이 한자말 ‘변화’를 끌어들입니다. 쉽고 알맞고 바르게 ‘바뀌다’와 ‘달라지다’를 쓰면 될 텐데, 한국말을 한국말답게 못 쓰면서 ‘변화’ 같은 한자말을 얄궂게 쓰는 한편, 요사이에는 ‘체인지’나 ‘리뉴얼’이나 ‘리모델링’ 같은 영어까지 써요. ‘바꾸다’를 밑바탕으로 삼아 ‘새롭게’와 ‘새로 꾸미다’와 ‘거듭나다’와 ‘다시 태어나다’와 ‘고치다’와 ‘손질하다’ 같은 여러 낱말을 슬기롭게 쓰면 되지만, 참말 한국말을 곱게 쓰는 사람이 나날이 줄어듭니다.

 

 이 부분에 변화의 움직임이 일었다
→ 이 대목을 바꾸려는 움직임이 있었다 (?)
→ 이곳을 바꾸려고 움직였다 (?)
→ 이 대목을 크게 바꾸려 했다
→ 이곳을 크게 바꾸었다
 …

 

  보기글에서는 한자말 ‘변화’에다가 토씨 ‘-의’를 붙이는 바람에 한결 얄궂습니다. 게다가 “움직임이 일었다”처럼 어설픈 번역투를 씁니다. “움직임이 일었다”라든지 “멈춤이 있었다”라든지 “자람이 보였다”라든지 “설렘이 있었다” 같은 말마디는 모두 얄궂은 번역투입니다. “움직인다”, “멈춘다”, “자란다”, “설레다”처럼 적어야 알맞고 올바른 한국말이에요.


  그런데, 이 글월을 “바꾸려고 움직였다”로 손질하더라도 아직 어설픕니다. 글꼴을 그대로 두어서는 뜻만 얼핏 헤아릴 뿐, 한국말 틀거리가 살아나지 않아요.


  “변화의 움직임”이라 하지만, “바꾸려” 하는 모습이 바로 움직임입니다. 그러니까, ‘움직임’이라는 낱말은 덜어도 돼요. 아니, 덜어야 알맞습니다. “움직임이 일었다”는 올바르지 않은 꼴이기에 ‘움직임’을 덜면 ‘일었다’도 저절로 덜 수 있어요. 곧, ‘바꾸다’ 한 마디만 넣으면 될 자리입니다.


  사이에 꾸밈말을 넣어 “이 대목을 크게 바꾸었다”처럼 적을 수 있어요. 또는 “이 대목을 바꾸려는 바람이 불었다”처럼 적을 만합니다. “이곳을 고치려는 모습이 나타났다”처럼 적어 보기도 합니다. 4346.3.13.물.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1990년대에 이르러서야 여러 주 정부와 몇몇 학교 이사회에서 이 대목을 크게 바꾸려 했다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겹말 손질 336 : 붉게 충혈된

 


토마토의 눈들이 붉게 충혈됐다 토마토들처럼 그의 머리칼에서도 상한 냄새가 흘러내렸다
《이경임-부드러운 감옥》(문학과지성사,1998) 79쪽

 

  “토마토의 눈들이”는 “토마토 눈들이”로 다듬고, “그의 머리칼에서도”는 “그이 머리칼에서도”나 “그 사람 머리칼에서도”나 “이녁 머리칼에서도”로 다듬습니다. 토씨 ‘-의’는 굳이 안 붙여도 됩니다. 문학에서건 여느 자리에서건 쓸 일이 거의 없습니다. ‘상(傷)한’은 ‘썩은’으로 손봅니다.


  한자말 ‘충혈(充血)’은 “몸의 일정한 부분에 동맥피가 비정상적으로 많이 모임”을 뜻한다고 합니다. 쉽게 적바림한다면 “피가 몰림”, 또는 “피 몰림”이라 적을 만한데, “피몰리다” 같은 한국말을 새로 지어서 써도 어울리겠구나 싶어요.

 

 눈들이 붉게 충혈됐다
→ 눈들이 붉게 피가 몰렸다 (?)
→ 눈들이 붉어졌다
→ 눈들이 붉다
 …

 

  그런데, 이 보기글에서 “붉게 충혈됐다”를 뜻에 알맞게 “붉게 피가 몰렸다”로 손질하고 보면, 어딘가 얄궂습니다. 어설퍼요. 왜 그럴까 하고 곰곰이 생각하니, 피는 붉은 빛이고, 피가 몰린다고 하면 더 붉은 빛깔이 되기 때문이로구나 싶습니다. 곧, “피가 몰렸다”이든 “충혈됐다”이든 “붉어진다”를 가리킵니다. 그러니까, “눈들이 붉어졌다”라든지 “눈들이 붉다”라고만 적어야 올바릅니다. 4346.3.10.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토마토 눈들이 붉다 토마토들처럼 그이 머리칼에서도 썩은 냄새가 흘러내렸다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855) -의 삶 1 : 거의 마찬가지의 삶을 살았다

 

유대의 엄격한 전통을 좇는 매우 신심 깊은 이들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시내의 다른 사람들과 거의 마찬가지의 삶을 살았다
《캐시 케이서/최재봉 옮김-클레피, 희망의 기록》(푸르메,2006) 22쪽

 

  “유대의 엄격(嚴格)한 전통(傳統)”은 “엄격한 유대 전통”으로 손보면 토씨 ‘-의’가 떨어집니다. 생각을 기울여 보면, “오랫동안 이은 유대겨레 삶”이나 “예부터 이어온 유대겨레 삶”으로 새롭게 적을 수 있어요. “신심(信心) 깊은”은 “믿음 깊은”으로 다듬습니다. ‘대부분(大部分)은’은 ‘거의 모두는’이나 ‘거의 모두’로 손질하고, “시내의 다른 사람들과”는 “시내에서 사는 다른 사람들과”나 “시내에 있는 다른 사람들과”로 손질해 줍니다.

 

 거의 마찬가지의 삶을 살았다
→ 거의 마찬가지 삶을 누렸다
→ 거의 마찬가지 삶을 즐겼다
→ 거의 마찬가지로 살았다
 …

 

  오늘 하루 살아갑니다. 어제 하루 즐거이 누렸습니다. 모레도 글피도 반가이 맞이합니다. 즐기는 삶이고, 누리는 삶입니다. 빛내는 삶이요, 반가운 삶이에요.


  이렇게 살든 저렇게 살든 스스로 아름답다 여기는 길을 걷습니다. 이러한 삶이든 저러한 삶이든 스스로 생각과 사랑을 보듬는 길을 걷습니다.


  아버지는 아버지 삶을 꾸립니다. 어머니는 어머니 삶을 일굽니다. 나는 나대로 살아가고, 내 이웃과 벗은 내 이웃과 벗대로 살림을 빚습니다. 삶이요 살림입니다. 살고 살아갑니다. 4339.12.22.쇠./4346.3.8.쇠.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오랜 유대겨레 삶을 좇는 매우 믿음 깊은 이들도 있었지만, 거의 모두는 시내에 있는 다른 사람들과 거의 마찬가지로 살았다

 

..

 

 '-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065) -의 삶 2 : 걸레의 삶을 산다

 

나는 걸레가 되지 않으려고 / 필사적으로 걸레의 삶을 산다 / 검은 때와 퀴퀴한 냄새를 끌어안고 / 넝마처럼 너덜거리는 어둠의 생을 산다
《이경임-부드러운 감옥》(문학과지성사,1998) 82쪽

 

  ‘필사적(必死的)으로’는 “죽음을 무릅쓰고”나 “죽을힘 다해”나 “죽도록”으로 손볼 낱말입니다. 이 뜻을 살려 “악을 쓰고”나 “악에 받쳐”나 “온힘 다해”나 “모든 힘 쏟아”로 손질할 수 있고, “이를 악물고”라든지 “갖은 힘을 쏟아”라든지 “악착같이”로 다듬어 볼 만합니다. “삶을 산다”나 “생(生)을 산다”라는 말마디는 겹말로 잘못 썼다 할 만하지만, “잠을 잔다”를 헤아리면 이렇게도 쓸 만합니다. 앞으로는 이러한 말투도 널리 자리잡을 수 있다고 느껴요. 그러나, 아직은 ‘산다’나 ‘살아간다’라 적거나 ‘삶을 꾸린다’나 ‘삶을 누린다’처럼 다듬어야 알맞습니다.

 

 필사적으로 걸레의 삶을 산다
→ 악을 쓰고 걸레처럼 산다
→ 이를 악물고 걸레마냥 산다
→ 온힘 다해 걸레와 같이 산다
→ 죽도록 걸레 되어 산다
 …

 

  보기글은 시입니다. 싯말 흐름을 살피면 조금 다르게 다듬을 수 있습니다. “-의 삶을 산다” 꼴만 다듬어도 되고, 아예 새롭게 시를 쓴다는 마음으로 “나는 걸레가 되지 않으려고 / 악착같이 걸레가 된다”라든지 “나는 걸레가 되지 않으려고 / 온힘 다해 걸레 되어 산다”라 적을 수 있어요. 걸레가 되지 않으려고 걸레가 된다고 할까요. 바보가 되지 않으려고 바보가 된다고 할까요. 시를 쓴 분 삶이 어떠한 모습인가를 곰곰이 되새기면서, 이 마음을 가장 알맞게 담고 가장 슬기롭게 빛내며 가장 사랑스레 꽃피어날 말마디를 생각합니다.


  그래서, “-의 삶을 산다”에서 ‘삶’만 한자 ‘生’으로 바꾼 다른 대목 “어둠의 생을 산다”도 여러모로 살피며 손질해 봅니다.

 

 넝마처럼 너덜거리는 어둠의 생을 산다
→ 넝마처럼 너덜거리는 어둠을 산다
→ 넝마처럼 너덜거리는 어둠으로 산다
→ 넝마처럼 너덜거리는 어둠 되어 산다
→ 넝마처럼 너덜거리는 어둠과 같이 산다
 …

 

  앞 대목에서 “-을 산다”고 했으니 뒷 대목에서도 “-을 산다”로 마무리지을 수 있어요. 앞 대목을 “-이/가 된다”로 손보면, 뒷 대목에서도 “-이/가 된다” 꼴로 손봅니다. 또는 앞과 뒤를 살짝 달리 적을 수 있어요. 느낌을 살리면서 이야기를 빛내고, 이야기를 밝히면서 말결을 살찌웁니다.


  스스로 빛이 되려고 할 때에 빛나는 말이에요. 스스로 꽃이 되려고 할 적에 꽃과 같이 피어나는 말이에요. 한 마디 두 마디 사랑스럽고 따사로이 보듬기를 빕니다. 4346.3.8.쇠.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나는 걸레가 되지 않으려고 / 죽을힘 다해 걸레처럼 산다 / 검은 때와 퀴퀴한 냄새를 끌어안고 / 넝마처럼 너덜거리는 어둠 되어 산다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