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단신부임



 단신부임으로 파견되었다 → 혼자 보낸다

 자진해서 단신부임을 떠났다 → 스스로 혼잣일을 떠났다

 장기간의 단신부임으로 인하여 → 오래 홑길로 일하느라


단신부임 : x

たんしんふにん(單身赴任) : 단신 부임, (먼 곳으로 전근 갈 때) 가족을 두고 혼자 근무할 곳으로 가는 것

단신(單身) : 1. 배우자나 형제가 없는 사람 = 홀몸 2. 혼자의 몸

부임(赴任) : 임명이나 발령을 받아 근무할 곳으로 감



  일본에서 쓰는 ‘단신부임’이란, 혼자서 멀리 일하러 가는 길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이때에는 ‘혼자하다·혼자뛰다·혼자가다’로 옮길 만하고, ‘혼잣일·혼일·혼일꾼·혼일지기’로 옮길 수 있습니다. ‘홑길·홑살이·홑삶·홑살림·홑꽃·홑일’로 옮겨도 어울립니다. ‘혼살림·혼살이·혼삶’이나 ‘홀살림·홀살이·홀로살림’으로 옮겨도 되어요. ㅅㄴㄹ



단신부임도 괜찮지 않아?

→ 혼살림도 낫지 않아?

→ 홑살림도 되지 않아?

《여자의 식탁 7》(시무라 시호코/장혜영 옮김, 대원씨아이, 2011) 5쪽


단신부임이라 도쿄에 있지도 않고

→ 혼일이라 도쿄에 있지도 않고

→ 홑일이라 도쿄에 있지도 않고

《아카네 이야기 3》(스에나가 유키·모우에 타카마사/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23) 2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별채 別-


 별채로 건너갔다 → 밖채로 건너갔다 / 곁채로 건너갔다

 별채까지 붐비기 시작했다 → 쪽채까지 붐빈다 / 작은채까지 붐빈다


  ‘별채(別-)’는 “본채와 별도로 지은 집 = 딴채”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곁집·곁채’나 ‘낱집·낱채’로 고쳐씁니다. ‘뒷집·뒷채’나 ‘딴집·딴채’로 고쳐쓰고, ‘바깥채·밖채’로 고쳐씁니다. ‘작은집·작은채·작은칸’이나 ‘쪽집·쪽채·쪽칸’으로 고쳐쓸 만하고, ‘혼집·홑집·홑채’나 ‘혼살림집·혼살이집·홑살림집·홑살이집’으로 고쳐써도 어울립니다. ㅅㄴㄹ



별채가 싫으면 밖에서 자든가

→ 곁채가 싫으면 밖에서 자든가

→ 뒷채가 싫으면 밖에서 자든가

《천재 유교수의 생활 20》(야마시타 카즈미/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03) 8쪽


별채에 두 사람 정도는 있어도

→ 곁채에 두 사람쯤 있어도

→ 밖채에 두 사람 즈음 있어도

《참견쟁이 트윈테일 1》(타카츠 케이타/박소현 옮김, 영상출판미디어, 2018) 4쪽


여기 별채는 문화부 건물이거든

→ 여기 뒷채는 살림터 집이거든

→ 여기 낱채는 살림두레 집이거든

→ 여기 곁채는 살림모임 자리거든

《와비사비》(히라오 아우리/김정규 옮김, 길찾기, 2018) 3쪽


우리의 보살핌을 받으며 집고양이로 살기 시작한 후에 별채를 지었다

→ 우리가 보살피며 집고양이로 산 뒤에 쪽칸을 지었다

→ 우리가 보살펴 집고양이로 산 다음에 바깥채를 지었다

→ 우리가 보살펴 집고양이로 살고서 딴채를 지었다

《당신이 나의 고양이를 만났기를》(우치다 햣켄/김재원 옮김, 봄날의책, 2020) 23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영어] 니즈needs



니즈(NIES) : [경제] 신흥 공업국인 한국, 싱가포르, 대만, 홍콩 등을 묶어서 부르는 이름 = 신흥공업경제지역

needs : 1. 필요로 하다; …해야 하다 2. …할 필요가 있다; …할 필요가 없다; …할 필요가 있는가 3. 필요 4. 욕구 5. 요구

ニ-ド(need) : 니드; 필요; 요구; 또, 그 정도



바란다거나 있어야 한다고 할 적에 한자말로는 ‘필요’라 하고, 영어로는 ‘needs’라고 한다지요. 우리 낱말책에서 ‘니즈’를 살피면 뜬금없다 싶은 영어가 나옵니다. 이런 영어는 털어낼 노릇입니다. ‘말·말하다·목소리’나 ‘바람·바라다·부르다·찾다’로 나타낼 수 있어요. ‘얘기·이야기’로 나타내어도 어울립니다. ‘사람·사람들’이나 ‘손·손님·쓰는이’로 나타내어도 어울리고, ‘쓰임·쓰임새·씀씀이’나 ‘입·입맛’으로 나타내어도 돼요. ㅅㄴㄹ



그냥 관객의 니즈에 맞출 뿐이지

→ 그냥 손님 입맛에 맞출 뿐이지

→ 그냥 바라는 대로 맞출 뿐이지

→ 그냥 사람들한테 맞출 뿐이지

《아카네 이야기 3》(스에나가 유키·모우에 타카마사/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23) 14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암흑공간·암흑천지



 폐쇄된 암흑공간이었다 → 까맣게 막힌 곳이었다

 암흑공간에서 탈출할 방도란 → 어둠터에서 벗어날 길이란

 암흑천지로 변해 버렸다 → 새까맣게 바뀌었다

 폭력이 횡행하는 암흑천지 → 주먹이 춤추는 뒷길


암흑공간 : x

암흑천지(暗黑天地) : 1. 하늘과 땅이 어둡고 캄캄한 상태 2. 부도덕한 행위나 범죄 행위가 난무하는 암담하고 불안한 사회

암흑(暗黑) : 1. 어둡고 캄캄함 2. 암담하고 비참한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공간(空間) : 1. 아무것도 없는 빈 곳 2. 물리적으로나 심리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범위 3. 영역이나 세계를 이르는 말



  온통 까맣다고 여기거나 안 보인다고 할 적에 한자말로 ‘암흑가·암흑기’나 ‘암흑공간·암흑사회·암흑세계·암흑천지’처럼 쓰기도 하지만, ‘까망·까맣다·까망이·까망꽃’으로 손볼 만합니다. ‘깜깜하다·껌껌하다·깜깜길·껌껌길’이나 ‘깜깜터·껌껌터·깜깜나라·껌껌나라’로 손볼 만하고, ‘검은길·까만길·깜길’이나 ‘검은구멍·까만구멍·깜구멍’으로 손봅니다. ‘새까맣다·새카맣다·시꺼멓다·시커멓다’로 손보아도 어울리고, ‘어둡다·어둠·어두움·어두컴컴하다’나 ‘어둠길·어둠터·어둠판’이나 ‘어둠빛·어둠꽃·어둠누리·어둠나라’로 손볼 수 있습니다. ‘캄캄하다·컴컴하다·캄캄길·컴컴길’이나 ‘캄캄터·컴컴터·캄캄나라·컴컴나라’로 손보고, ‘그늘·무겁다·저물다·저물녘·찌뿌둥하다’로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때로는 ‘뒷길·뒷구멍·뒷구녁·벼락감투’나 ‘뒷놈·뒷꾼·뒷벌이·뒷주머니’나 ‘밤빛·밤하늘·별하늘·안 보이다’로 손봅니다. ㅅㄴㄹ



온통 암흑천지에다 먼지투성이고 악취가 풍기는 칸막이 안에 갇혀 살아야 하는 돼지들에게 무얼 바라겠어요

→ 온통 컴컴하고 먼지투성이에 고약한 칸막이에 갇혀 살아야 하는 돼지한테 무얼 바라겠어요

→ 온통 까맣고 먼지투성이에 퀴퀴한 칸막이에 갇혀 살아야 하는 돼지한테 무얼 바라겠어요

《우리 안에 돼지》(조슬린 포르셰·크리스틴 트리봉도/배영란 옮김, 숲속여우비, 2010) 59쪽


저주의 힘으로 초목이 말라붙고 암흑공간이 돼버렸습니다

→ 미워하는 힘으로 푸나무가 말라붙고 캄캄합니다

→ 갉아댄 힘으로 풀꽃나무가 말라붙고 새카맣습니다

《와비사비》(히라오 아우리/김정규 옮김, 길찾기, 2018) 14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256 : 그걸 것 같다


그걸 모르는 삶은 너무 슬픈 것 같다

→ 이를 모르는 삶은 너무 슬프다

→ 이를 모른다면 삶이 참 슬프다

《두 번째 지구는 없다》(타일러 라쉬, 알에이치코리아, 2020) 6쪽


영어라면 ‘it’이나 ‘that’으로 앞말을 받습니다. 우리말은 ‘이’로 앞말을 받습니다. “-ㄴ 것 같다”는 잘못 쓰는 옮김말씨입니다. “슬픈 것 같다”는 “슬프다”로 고쳐씁니다. 모르는 삶은 너무 슬프고, 모른다면 삶이 참 슬픕니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