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찍는 눈빛 1. 함께 살면서



  사진은 함께 살면서 찍습니다. 함께 살지 않으면 사진을 찍지 못합니다. 가까이에 있는 사람을 생각한다면, 식구들과 함께 살아야 식구들 모습을 찍습니다. 사랑하는 짝꿍을 찍으려 해도 함께 살아야 찍습니다. 아직 혼인을 하지 않아 둘이 다른 집에 살더라도 ‘만나야’ 볼 수 있고, 만나야 사진으로 찍어요. 서로 만나는 일이란 무엇일까요. ‘만나’서 둘이 같은 때를 보내지요. 같은 때를 보내는 두 사람은 그동안 ‘함께 산다’고 할 수 있습니다.


  꽃이나 나무를 찍을 적에도 꽃이나 나무하고 함께 산다고 하도록 지내야 비로소 꽃과 사진을 찍습니다. 스튜디오나 사진관을 열어서 사진을 찍을 적에도 스튜디오나 사진관이라는 곳에 함께 있어야, 함께 숨을 쉬고 함께 눈빛을 마주해야 비로소 사진을 찍어요.


  멀뚱멀뚱 한 자리에 함께 있는대서 사진을 찍지 않습니다. 한 자리에 함께 있기만 해서는 사진을 못 찍습니다. 한 자리에 함께 있지 않더라도 ‘마음으로 서로 아끼면서 함께 산다’는 매무새가 되어야 사진을 찍습니다. 이리하여, 내가 사랑하는 짝꿍이 우리 집에 없더라도, 내 사랑스러운 짝꿍 손길이 깃든 책이나 연필이나 옷가지를 바라보면서 ‘함께 사는 내 짝꿍 숨결’을 느껴요. 책이나 연필이나 옷가지를 찍기만 하더라도, 여기에 서린 넋과 숨결을 읽을 수 있다면 얼마든지 ‘함께 살며 찍는 사진’이 됩니다.


  백두산을 알기에 백두산을 더 잘 찍지 않습니다. 섬진강을 알기에 섬진강을 더 잘 찍지 않습니다. 백두산을 안다면 무엇을 알까요? 섬진강을 아는 분은 무엇을 아는가요? 얼마나 알까요? 얼마나 제대로 알까요? 얼마나 따스하거나 사랑스레 아는가요?


  알면 아는 대로 찍습니다. 아는 대로 찍는 사진이 나쁘지 않습니다. 다만, 아는 대로 찍을 뿐이에요. 이제껏 아직 모르는 모습은 못 찍는 셈입니다.


  살면서 찍는 사진은 사는 대로 찍습니다. 사는 대로 찍는 사진은 오늘까지 함께 살며 누린 모든 빛과 숨결과 사랑과 넋과 이야기를 담습니다. 사는 대로 찍는 사진은 오늘까지 함께 살았고 앞으로 함께 살아갈 나날과 꿈을 고스란히 담습니다.


  언제나 삶이 그대로 사진입니다. 기록하려 하지 마셔요. 적으려 하지 마셔요. 마음으로 새기면서 이야기를 누리셔요. 4347.5.3.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후애(厚愛) 2014-05-03 11: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언제나 삶이 그대로 사진입니다.
기록하려 하지 마셔요.
적으려 하지 마셔요.
마음으로 새기면서 이야기를 누리셔요.>
맞는 말씀입니다!!
참 좋습니다.^^

숲노래 2014-05-03 19:44   좋아요 0 | URL
후애 님도 언제나 마음에 온갖 이야기 차곡차곡 아로새기면서
날마다 즐겁게 웃으시리라 믿어요 ^^
 

지난주에 '사진과 함께' 이야기를 마무리지었습니다.

이제부터 새로운 사진 이야기를 이으려 합니다.

어떤 글머리를 잡을까 하고 살핀 끝에

"사진 찍는 눈빛"으로 이름을 붙입니다.


2014년 5월에 첫 글을 씁니다.

2015년 4월까지 씩씩하게 꾸준히

한길을 걸어갈 생각입니다.


즐겁게 지켜보시기를 빌어요.

기쁘게 사진벗이 되어 주시기를 바랍니다.

한 해 동안 쓸 이야기를 놓고

머리말부터 써 보았습니다.


..


머리말



  사진 찍는 눈빛을 헤아려 봅니다. 우리는 사진 한 장을 찍으려 하면서 얼마나 곱거나 맑거나 밝거나 즐겁거나 사랑스럽거나 따스한 눈빛이 되는가요. 우리는 사진 한 장을 읽으려 하면서 얼마나 기쁘거나 놀랍거나 반갑거나 고맙거나 예쁜 눈빛이 되는가요.


  눈빛을 밝힐 적에 손빛을 밝히는 사진을 얻는다고 느낍니다. 눈빛을 사랑스레 다스릴 적에 마음빛을 밝히면서 사진을 읽는다고 느낍니다.


  사진은 이론과 역사와 장비로 읽을 수도 있습니다. 이제까지는 사진읽기를 으레 이론과 역사와 장비로 읽었지 싶습니다. 유럽과 미국에서 이름난 여러 사진가 발자취와 작품을 좇으면서, 이런 작품을 이론과 역사로 돌아보는 이야기만 흘렀지 싶습니다. 여기에 한 가지를 붙인다면, 새로운 장비(필름사진기와 디지털사진기 모두)를 잘 다스리고 포토샵을 알맞게 만져서 ‘더 낫게 보이는 사진’을 얻는 이야기만 넘쳤지 싶습니다.


  앞으로는 새롭게 읽고 찍는 사진이 될 때에 아름다우리라 생각합니다. 더 낫게 보이는 사진을 찍는 우리들이 아니라, 즐겁게 노래하면서 아름답게 사랑하는 이야기가 흐르는 사진이 되도록 하면 다 같이 웃는 하루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사진이론과 사진역사를 배우는 일도 나쁘지는 않다고 봅니다. 다만, 여태 나온 사진책이 거의 모두 사진이론과 사진역사를 건드려요. 사진삶이나 사진말이나 사진넋이나 사진길을 건드리는 이야기가 매우 드뭅니다. 사진은 기계로 찍는 만큼 장비를 말하지 않을 수 없다지만, 장비 이야기도 지나치게 많습니다. 이와 달리, 사진을 바라보는 마음결은 거의 이야기하지 않기 일쑤요, 사진 장비를 어루만지는 손길 또한 거의 이야기하지 않기 일쑤입니다.


  사진 찍는 눈빛을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사진 찍는 눈빛을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더 나은 장비도 더 나은 사진도 더 나은 이론도 더 나은 책도 아닌, 즐겁게 웃으며 꿈꾸는 사진과 이야기가 노래로 거듭날 수 있기를 바랍니다. 4347.5.3.흙.ㅎㄲㅅㄱ



‘사진책도서관 함께살기’에서 오월바람을 마시면서.

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과 함께 50. 물이 흐른다


  어느 시골이든 샘터나 우물터가 있습니다. 사람이 살아가자면 햇볕과 바람과 물과 흙과 풀이 있어야 해요. 이 다섯 가지가 없으면 사람은 죽습니다. 사람뿐 아니라 다른 목숨도 이 다섯 가지가 없으면 죽습니다. 햇볕이 없으면 지구별은 꽁꽁 얼어붙으니 어떤 목숨도 살지 못해요. 바람이 없으면 아무도 숨을 쉴 수 없으니 어떤 목숨도 살 수 없습니다. 비가 오거나 냇물이 흐르거나 샘이 솟지 않으면 모든 목숨은 메말라 죽습니다. 흙이 있어야 발을 디디면서 살아가고, 흙에서 풀이 돋아 모든 목숨이 밥을 얻어요. 이 다섯 가지를 바탕으로 다른 여러 가지가 태어나요. 흙과 풀이 있는 곳에서 나무가 자라고, 나무는 우리한테 집이 되면서 열매를 줍니다. 나무는 드센 바람을 가려 줄 뿐 아니라, 나무를 잘라 배를 무어 고기잡이를 하거나 냇물을 건넙니다. 나무로 낫자루나 지게를 만들어요. 옷장을 짜고 책걸상을 만듭니다. 나무가 있은 뒤에 돌과 쇠를 얻어 낫날이나 호미날이나 쟁기날로 삼지요. 돌은 기둥을 받치는 주춧돌이 되고, 지붕이 날아가지 않도록 누름돌이 되며, 마루로 올라서는 섬돌이 됩니다.

  도시가 생기고 댐을 지으면서 시골이 물에 잠깁니다. 도시에서는 샘터나 우물터가 없어도 수도를 이어 수돗물을 마십니다. 도시는 햇볕이 들지 않아도 지하상가나 건물에서 전깃불을 켭니다. 도시는 자동차 배기가스와 공장 매연과 발전소 전자파와 방사능이 춤추어도 환풍기를 쓰고 정화기를 씁니다. 도시에는 흙도 풀도 나무도 없으나 시골에서 먹을거리를 사들이고, 시골에서 키운 꽃과 나무를 사다가 심습니다.

  시골에서 살아가는 우리 식구는 한 달에 두 차례쯤 마을 샘터이자 빨래터를 치웁니다. 예전에는 모든 마을사람이 이곳에서 물을 긷고 아이를 씻기며 빨래를 했으나, 이제는 집집마다 땅을 파서 골짝물을 쓰니 샘터이자 빨래터에는 물이끼가 잔뜩 낍니다. 마을 어귀에 있는 아무도 안 쓰는 샘터이자 빨래터는 나그네나 길손이 지나가다 들여다보면 볼썽사납대서 예전부터 마을 할매들이 틈틈이 치우셨어요.

  마을에 샘터와 빨래터가 있어도 이곳에서 물을 긷거나 빨래하는 사람이 죄 사라진 한국입니다. 한국에서는 물을 긷는 모습이나 빨래하는 모습을 사진으로 찍을 수 없습니다. 인도나 버마나 부탄이나 베트남쯤 가면 물을 긷거나 빨래하는 수수한 모습을 사진으로 찍을 수 있을는지 모르나, 이제 한국에서는 도시나 시골 모두 빨래기계를 쓰니, 참말 빨래살이를 사진으로도 글로도 그림으로도 옮기지 못합니다.

  손으로 모를 내는 사람이 거의 없고 기계를 쓰니, 모내기를 사진으로 찍을 일이 없습니다. 가을걷이를 기계로 하고 나락털기도 기계로 하니, 가을빛을 사진으로 찍을 일이 없습니다. 기계와 농약과 비료가 춤추는 시골이기에 제비가 돌아올 흙집 처마 밑이 사라져 제비가 선보이는 멋진 춤과 날갯짓을 사진으로 찍을 일이 없습니다.

  우리는 스스로 어떤 삶을 잃거나 잊으면서 어떤 삶을 짓거나 일구는가요. 우리는 스스로 어떤 모습을 버리거나 등지면서 어떤 삶을 누리거나 가꾸는가요. 우리가 찍는 사진은 무엇을 보여줄 수 있을까요. 우리가 읽는 사진에는 우리 삶이 어느 만큼 살갑거나 사랑스럽거나 살뜰히 깃들 수 있을까요.

  마을 샘터를 치웁니다. 물이끼를 모두 걷습니다. 다시 깨끗한 샘터요 빨래터가 되고, 우리 집 아이들은 샘터 바닥을 네 발로 척척 기듯 다니면서 놉니다. 물이 맑게 흐르고, 바람이 싱그럽게 붑니다. 햇볕은 알맞게 따스합니다. 멧새가 하늘을 가르며 예쁘게 노래합니다. 4347.4.26.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과 함께 49. 꽃밥을



  싱그러운 바람을 마시면 온몸이 싱그럽습니다. 자동차 없고 아파트 없으며 고속도로도 골프장도 발전소도 없는 깨끗한 숲에 깃들어 숨을 크게 들이켜면 온몸이 해맑고 푸른 빛으로 거듭납니다. 맑은 바람은 우리 몸뿐 아니라 마음까지 맑게 다스립니다. 숲마실을 즐기는 이들이 숲빛을 사진으로 찍는 까닭을 쉬 알 만합니다. 숲에서 숲바람을 마시면 참말 숲빛이 이렇게 곱네 하고 느끼기 때문입니다.


  매캐한 바람을 마시면 온몸이 찌뿌둥합니다. 귀가 째지도록 시끄럽고 어수선한 곳에서 여러 시간 나들이를 하거나 일을 해야 하면, 나들이나 일을 마치고 난 뒤 머리가 멍하기 일쑤입니다. 시끄럽거나 어수선한 데에서 날마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일하는 하루가 삶이라면 몸과 마음이 늘 찌뿌둥하면서 어지럽기 마련입니다. 다람쥐 쳇바퀴 굴리듯 흘러야 하는 삶일 때에는 무엇을 바라보면서 무엇을 사진으로 찍을 수 있을까요.


  도시에서 태어나 자라서 살아가는 사람이 바라보는 모습은, 시골에서 태어나 자라서 살아가는 사람이 바라보는 모습과 다릅니다. 도시에서 대학교를 다니고 유학을 다녀온 뒤 사진을 하는 사람이 바라보는 모습은, 시골에서 중·고등학교나 초등학교만 마치고 흙을 만지며 살아가는 사람이 바라보는 모습과 다릅니다. 그러나, 어느 자리에 서건, 우리는 늘 삶이고 사랑이며 사진입니다. 맑고 깨끗한 바람을 마시는 사람이 바라보는 모습에도 고운 빛이 서리면서 사진이 됩니다. 매캐하며 시끄러운 바람을 마시는 사람이 마주하는 모습에도 예쁜 빛이 감돌면서 사진이 됩니다.


  아이들과 함께 먹는 밥을 차리면서 늘 ‘꽃밥’을 그립니다. 우리가 먹는 밥은 언제나 꽃밥이라고 생각합니다. 들꽃을 하나 꺾어 밥그릇에 살짝 얹곤 합니다. 꽃송이가 매달린 들풀을 나물 삼아서 밥상에 올리곤 합니다. 들꽃을 먹으면서 우리 몸이 들꽃이 되기를 바랍니다. 들꽃을 먹으면 우리 몸이 들꽃과 같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들꽃을 사진으로 찍으면 우리 눈도 들꽃처럼 되리라 생각합니다. 숲을 사진으로 찍거나 바다를 사진으로 찍으면, 우리 눈길과 눈빛도 숲과 바다처럼 맑고 푸르며 시원하고 싱그러울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사랑하는 님을 사진으로 찍습니다. 사랑하는 님을 사진으로 찍으면서 내 눈과 넋과 몸이 사랑스레 거듭납니다. 살가운 이웃과 어깨동무하면서 사진을 찍습니다. 살가운 이웃을 사진으로 찍으면서 내 눈길과 삶길과 손길이 살가이 거듭납니다.


  사진을 찍는 사람은 구경꾼이 아닙니다. 사진을 찍는 사람은 기록을 하지 않습니다. 사진을 찍는 사람은 마음에 이야기를 아로새기면서 스스로 새롭게 하루하루 일굽니다. 아름답게 살고픈 빛을 사진 한 장에 싣고, 사랑스레 손잡고 싶은 꿈을 사진 두 장에 담습니다. 4347.4.26.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과 함께 48. 푸름과 빨강



  더 예쁜 빛이 없고 덜 고운 빛이 없습니다. 모든 빛은 저마다 예쁘면서 곱습니다. 모든 빛은 다 다른 예쁨과 고움입니다. 더 예쁜 사람이 없고 덜 고운 사람이 없습니다. 누구를 만나건 모두 예쁜 넋과 고운 얼을 마주합니다. 모든 사람은 저마다 제 삶을 가꾸면서 예쁘거나 고운 이야기를 길어올립니다.


  이름난 몇몇 사람을 만나서 이녁 얼굴을 찍어야 값있지 않습니다. 수수한 마을 할매와 할배를 만나서 이녁 얼굴을 찍으면 값없지 않습니다. 내가 아는 아이를 찍건 내가 모르는 아이를 찍건 모두 값있습니다. 내가 아는 이웃을 찍건 내가 모르는 이웃을 찍건 모두 값있어요.


  이름을 드날리며 사진길 걷는 작가는 이름난 누군가를 만나서 ‘사람사진’이나 ‘얼굴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이런 사진은 이런 사진대로 값이 있습니다. 이름을 드날리지 않으면서 조용히 사진삶 누리는 사람은 이런 삶대로 이름을 안 드날린 수수한 이웃과 동무를 만나서 ‘사람사진’과 ‘얼굴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이름난 사람을 찍기에 뜻있지 않습니다. 사람들이 저마다 살아온 발자국을 사진으로 담고, 다 다른 사람들이 다 다른 자리에서 땀흘리고 사랑하며 꿈꾸던 넋을 이야기 하나로 갈무리할 수 있는 사진이 될 때에 뜻있습니다. ‘사람을 찍어 보라’ 하고 말할 적에는 유명인사나 연예인이나 정치꾼을 찍으라는 소리가 아닙니다. 나 스스로 사랑하고 아끼는 곁님이나 이웃이나 동무를 먼저 사진으로 찍으면서 ‘사진에 이야기를 어떻게 담는가’를 돌아보라는 소리입니다.


  학교를 다니는 학생이라면, 바로 옆자리 동무를 찍을 수 있습니다. 학교에서 늘 옆에 앉는 동무는 어떤 마음일까요. 어떤 꿈이 있을까요. 어떤 사랑을 가슴에 품을까요. 어떤 빛을 마음밭에 심을까요. 어떤 길을 걸어갈까요. 늘 마주하는 옆짝인데, 옆짝 마음과 삶과 이야기를 얼마나 잘 아는가요.


  내 어버이를 사진으로 담을 수 있습니다. 내 어버이를 마주하면서 내 어버이가 이제껏 살아온 나날과 걸어온 길을 헤아립니다. 내 아이를 사진으로 찍을 수 있습니다. 내 아이를 바라보면서 내가 이 아이한테 어떤 사랑과 꿈을 물려주는 하루를 일구는지 되짚을 수 있습니다.


  푸른잎 단풍나무와 붉은잎 단풍나무를 나란히 바라보며 생각합니다. 두 단풍나무는 시골에 있는 폐교 한쪽에서 함께 자랍니다. 우람하게 자란 두 나무가 드리우는 빛깔은 무엇일까요. 사월에 꽃을 피우는 두 단풍나무는 잎빛과 꽃빛이 저마다 어떻게 얼크러질까요. 4347.4.26.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