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찍는 눈빛 39. 노는 사람이 사진을 찍는다



  노는 사람이 일을 합니다. 잘 놀던 사람이 일을 잘 합니다. 놀지 않는 사람은 일을 하지 않습니다. 잘 놀지 못하던 사람은 일을 잘 못 합니다.


  어릴 적에 즐겁게 놀던 아이들은 씩씩하고 튼튼하게 자라 일 잘 하는 어른으로 삶을 가꿉니다. 어릴 적에 즐겁게 놀지 못하던 아이들은 그리 씩씩하지도 튼튼하지도 않다 보니, 어른이 되어서 즐겁게 일하는 삶을 누리지 못합니다.


  잘 놀던 사람이 일을 잘 합니다. 잘 놀지 못하던 사람은 일을 잘 못 합니다. 왜냐하면, 일이란 모름지기 몸을 쓰는 삶이기 때문입니다. 어릴 적부터 신나게 뛰놀면서 온몸을 알맞고 튼튼하며 즐겁게 쓰던 사람은 차츰차츰 자라면서 어떤 일과 만나거나 부딪히거나 마주하더라도 씩씩하거나 튼튼하기 마련입니다. 어떤 놀이라도 즐겁게 누리던 아이들은 어떤 일이라도 즐겁게 해냅니다.


  사진찍기는 기계질이 아닙니다. 기계를 잘 다루는 일은 사진찍기가 아닙니다. 초점과 구도와 황금분활과 이것저것 기계처럼 빈틈이 없이 맞추는 일은 사진찍기가 아닙니다. 사진찍기는 우리 이야기를 담아서 우리 이웃과 나누는 삶입니다. 그러니, 어릴 적부터 잘 놀던 사람이 사진을 즐겁게 찍으면서 사진에 담은 이야기를 이웃과 즐겁게 나눌 수 있습니다. 어릴 적부터 잘 놀지 못하던 사람은 사진을 즐겁게 찍기 어렵습니다.


  그러면 어떡해야 할까요. 어릴 적에 즐겁게 놀지 못하던 사람은 어떡해야 할까요. 길은 늘 있습니다. 길을 바라보면 됩니다. 어릴 적에 못 놀았다구요? 그러면, 어른인 오늘 놀아요. 회사를 빠져도 됩니다. 회사는 잘 나가되, 회사를 마친 뒤 신나게 놀아요. 술을 퍼마시는 짓은 놀이가 아닙니다. 온몸을 움직여 마음껏 뛰고 달리고 춤추고 노래하고 이야기꽃을 피우는 아름다운 놀이를 누려요.


  천천히 동네 한 바퀴를 걸어도 놀이입니다. 자전거를 타고 두어 시간쯤 달려도 놀이입니다. 깊은 숲에 들어가 풀밭에 드러누워 낮잠을 자도 놀이입니다. 세탁기를 쉬게 하고는 커다란 고무통에 이불을 담가서 발로 밟아서 빨래를 해도 놀이입니다. 아침부터 저녁까지 집 구석구석 쓸고 닦고 치우는 살림도 놀이입니다. 종이접기나 종이오리기도 놀이입니다.


  어떻게 놀면서 즐겁게 하루를 밝힐까 하고 생각하면서 하루를 보내고 이틀을 보내며 사흘을 보내다 보면, 내 손은 저절로 사진기를 쥐리라 느껴요. 잘 놀면 사진을 잘 찍습니다. 4347.9.2.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 찍는 눈빛 38. 햇볕과 바람을 먹으면서



  밥을 먹으면서 몸을 살찌웁니다. 밥 한 그릇을 먹으면 밥 한 그릇만큼 기운을 얻어 몸을 한결 즐겁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일을 할 기운이나 놀이를 즐길 기운을 고맙게 얻어요.


  물을 한 모금 마시면서 숨을 돌립니다. 물을 한 모금 마시면 물 한 모금만큼 새로운 바람을 맞아들이는구나 하고 느낍니다. 이 기운을 빌어 둘레를 새롭게 바라봅니다. 이 기운을 써서 내 눈빛을 한결 밝힙니다.


  햇볕을 듬뿍 머금은 옷을 입으면 옷에서 햇볕내음이 납니다. 햇볕내음은 내 몸으로 스며듭니다. 합성세제로 빨래를 한 옷을 입으면 세제내음이 나요. 세제내음도 내 몸으로 스며들 테지요.


  옷을 빨래할 적에 손으로 비벼서 빨면, 내가 빨아서 입는 옷이라는 느낌이 새록새록 떠오릅니다. 내 옷을 스스로 빨래하고 개고 보듬는 살림이라면, 옷을 한결 아끼는 마음이 되고, 내가 입는 옷을 언제 어디에서나 즐겁고 씩씩하게 누립니다.


  그냥 되는 일이란 없습니다. 언제나 내 마음에 따라 되는 일입니다. 내 마음이 어떠한가에 따라 달라지는 일입니다. 스스로 마음을 어떻게 다스리느냐에 따라 모든 일이 달라집니다.


  그냥 찍는 사진이란 없습니다. 언제나 내 마음에 따라 찍는 사진입니다. 내 마음이 어떠한가에 따라 달리 찍는 사진입니다. 스스로 마음을 어떻게 다스리느냐에 따라 모든 사진이 거듭납니다.


  햇볕을 늘 먹는 사람은 사진에 햇볕내음을 담습니다. 바람을 늘 마시는 사람은 사진에 바람내음을 싣습니다. 자, 그러면 우리는 내 사진에 무엇을 담고 싶은가요? 우리는 내 사진에 무엇을 싣고 싶은가요? 스스로 생각할 노릇입니다. 어떤 사진을 찍으면서 어떤 삶을 일구고 싶은지, 스스로 찾고 살피며 생각해야 합니다. 4347.8.30.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 찍는 눈빛 37. 차츰 밝게 자란다



  아이들은 날마다 자랍니다. 어른들도 날마다 자랍니다. 아이들이 자라는 모습을 어른 눈높이에서 지켜보면, 날마다 말이 늘고 몸짓이 또렷하며 기운이 붙습니다. 어른들이 자라는 모습을 아이 눈높이에서 살펴보면, 날마다 한결 따스하면서 포근한 기운이 늘어나면서, 밥을 짓건 걸레질을 하건 살림을 하건 매무새가 매끄럽습니다.


  아이들은 날마다 자라는 줄 스스로 느낄까요. 어른들도 날마다 자라는 줄 스스로 깨달을까요.


  누군가는 날마다 자라는 줄 스스로 느낄 테지만, 누군가는 날마다 자라는 줄 느끼지도 못하고 깨닫지도 못하리라 생각해요. 날마다 자라는 줄 느끼는 아이나 어른은 날마다 새롭고 재미난 삶을 누릴 테고, 날마다 자라는 줄 느끼지 못하는 아이나 어른이라면 새 아침을 새롭게 맞이하기는 어려우리라 생각해요.


  사진을 찍을 적에는 늘 새로운 마음이어야 합니다. 날마다 새롭게 자라면서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눈길이어야 사진을 찍습니다. 새로운 마음이 아니라면, 사진을 못 찍어요. 왜냐하면, 새로운 마음이 아니라면 ‘어제 찍은 사진이잖아?’ 하는 생각이 들기 마련이거든요. 사람을 마주할 적에 어제와 오늘 똑같을 수 없는데, 내가 마주하는 사람한테서 새로운 빛을 느끼지 못하니, 사진을 즐겁게 찍자는 마음이 일어나지 못해요.


  민주와 평화가 제대로 뿌리를 내리지 못한 탓에 시위나 집회가 자꾸 불거집니다. 이때에 시위나 집회를 찾아가서 사진을 찍는 이들은 자칫 ‘또 시위를 하네?’ 하고 여길 수 있어요. 이때에는 그야말로 ‘재미없는 판박이 사진’을 찍습니다. 이와 달리, 왜 이러한 시위나 집회를 하는지 찬찬히 들여다보는 눈길이라면, ‘내 이웃이 왜 아프고 왜 힘든가?’를 돌아보면서 새로운 이야기 담아내는 사진을 찍습니다.


  날마다 스스로 자라는 줄 느끼지 못할 적에는, 아이를 돌보는 어버이로서 ‘아이를 찍는 사진’을 날마다 새롭게 찍지 못합니다. 날마다 스스로 자라는 줄 느끼지 못할 적에는, 사진길에 처음 접어드는 분들이 ‘기계 다루는 솜씨’는 늘어나더라도 ‘삶을 바라보는 사랑’이 싹트지 못합니다. 사진찍기는 기계질이 아닌 마음읽기와 마음쓰기입니다. 마음을 읽어서 마음을 ‘사진기를 빌어 종이에 아로새기는(쓰는)’ 삶이 사진입니다. 4347.8.29.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 찍는 눈빛 36. 한 조각씩 맞춘다



  1947년에 나온 《조선말 큰 사전》(한글학회 펴냄) 1권을 살피면, ‘꿋꿋하다’를 “세차고 굽힐 수 없이 단단하다”로 풀이합니다. 1999년에 나온 《표준국어대사전》(국립국어연구원 펴냄) 1권을 살피면, ‘꿋꿋하다’ 말풀이를 세 가지 싣습니다. 맨 처음 뜻에서 “사람 마음이 단단하다”를 가리키는 뜻이 새로 생깁니다.


  생각해 보면, 먼 옛날에도 “나뭇가지가 꿋꿋하다”뿐 아니라 “저 사람은 꿋꿋하다”처럼 썼으리라 생각해요. 낱말책에 이러한 말풀이가 실린 때가 얼마 안 되었을 뿐입니다.


  한국말 ‘꿋꿋하다’는 사람들이 꾸준하게 쓰면서 쓰임새가 늘어납니다. 한국말이든 한자말이든 영어이든 모두 매한가지예요. 사람들이 꾸준하게 쓰면 뿌리를 내리고 가지를 뻗습니다. 사진을 찍는 사람들이 ‘사진’이라 말하지 않고 자꾸 ‘포토’라는 영어를 쓰면 이 영어가 퍼집니다. 사진을 찍는 사람들이 스스로 ‘사진가’나 ‘사진 작가’나 ‘사진쟁이’나 ‘사진 즐김이’와 같은 말을 안 쓰고 ‘포토그래퍼’라든지 ‘아티스트’ 같은 말을 쓰면, 이런 영어가 뿌리를 내립니다.


  어떤 사진기를 쓸 적에 사진이 잘 나올까요? 값지거나 값비싼 사진기를 쓸 적에 사진이 잘 나올까요? 언뜻 생각하기에는 값지거나 값비싼 사진기가 있으면 ‘사진을 잘 찍으리라’ 하고 여길 만합니다. 그러나, 내 마음에 들도록 사진을 찍으려면 값지거나 값비싼 사진기가 아니라, ‘내 손에 익은 사진기’가 있어야 합니다.


  값지거나 값비싼 자전거를 몰아도 잘 달릴 수 있어요. 그런데, 내 몸에 익은 자전거를 몰 때에 내 몸이 느긋하면서 즐겁고, 이러한 기운을 듬뿍 누리면서 잘 달립니다. 그러니까, 값지거나 값비싼 장비를 갖추었어도 스스로 손과 몸과 눈과 마음에 익히지 않았을 때에는 아무것도 이루지 못합니다. 대수롭지 않거나 비싸지 않은 가볍고 값싸며 작은 장비만 있더라도, 스스로 손과 몸과 눈과 마음에 익히면 언제나 가장 아름다우면서 사랑스러운 모든 것을 이룹니다.


  똑딱이 사진기나 1회용 필름사진기로도 얼마든지 사진을 찍습니다. 손전화 사진기로도 얼마든지 사진을 찍습니다. 왜냐하면, 사진찍기란 내 마음에 담을 이야기를 찍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화소수나 해상도는 대단하지 않습니다. 흑백필름을 써야 다큐사진이 되지 않습니다. 몇 천만 원이나 몇 억쯤 되는 장비를 갖추어야 패션사진이 되지 않습니다. 사진을 찍는 마음이 스스로 곧게 설 적에 사진이 됩니다. 사진을 바라보는 눈길이 꿋꿋하면서 싱그럽고, 튼튼하면서 고울 적에 사진을 이룹니다. 한 조각씩 천천히 맞춥니다. 하루하루 차근차근 사진을 갈고닦습니다. 시나브로 사진이 옹글게 피어납니다. 4347.8.23.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 찍는 눈빛 35. 좋아하는 대로 찍지



  종이접기를 하는 아이들은 가장 접고 싶은 모양을 찾아서 접습니다. 아이들은 종이접기에 눈을 뜰 적에 ‘이것부터 접’거나 ‘저것부터 접’는 틀을 따르지 않습니다. 종이접기책을 주루룩 넘기다가 가장 마음에 드는 모양을 접으려 합니다. 아직 종이접기를 해 보지 않았기에 무척 어렵다 싶은 접기를 해야 하지만 그냥 접으려 합니다. 하나를 접느라 몇 시간이 걸리기도 하고, 하나를 접으려고 며칠이 걸리기도 하며, 참말 하나를 접기까지 몇 해가 걸리기도 합니다. 그러나 아이들은 그만두지 않습니다. 아이들 스스로 가장 접고 싶은 모양을 바라보면서 생각하고 손을 놀립니다. 아이들 스스로 가장 접고 싶은 모양을 이루려고 머리를 쓰며 온힘을 쏟습니다.


  나는 우리 집 큰아이가 종이접기를 하는 모습을 꾸준히 지켜봅니다. 큰아이는 퍽 어려운 종이접기를 놓고 참말 여러 해에 걸쳐 끈질기게 붙잡은 끝에 비로소 해냅니다. 그러고 나서 다른 어렵다 싶은 종이접기를 척척 해냅니다. 하나에서 실마리를 얻어 차츰 다른 길을 스스로 엽니다. 이 아이는 올해(2014년)에 일곱 살입니다.


  사진을 찍는 사람은 언제나 스스로 빛을 열고 그림자를 엽니다. 사진을 찍는 사람은 언제나 스스로 빛깔을 열고 무늬를 엽니다. 남이 열어 주지 않습니다. 남이 가르쳐 주지 않습니다. 스스로 열고 스스로 누리며 스스로 나눕니다.


  사랑을 남이 가르칠 수 없습니다. 스스로 깨달을 때에 사랑입니다. 꿈을 남이 이루어 줄 수 있을까요? 꿈 또한 언제나 스스로 이룹니다. 바닷물도 골짝물도 스스로 몸을 담가야 바닷물이 얼마나 짜고 골짝물이 얼마나 차가운지 알아챌 수 있습니다.


  종이접기를 하는 아이들 마음은 ‘좋아하는 길을 간다’입니다. 사진찍기를 하는 사람들 마음이라면? 아주 마땅히, ‘스스로 좋아하는 길을 간다’예요. 사진을 읽을 적에도, 책을 읽을 적에도, 풀맛과 밥맛을 읽을 적에도, 하늘빛과 날씨를 읽을 적에도, 흙내음과 숲노래를 읽을 적에도, 언제나 ‘스스로 좋아하는 길’을 살피면서 읽습니다. 좋아하는 대로 찍을 때에 사진이 태어납니다. 좋아하는 대로 찍기에 두고두고 남으면서 오래오래 마음에 살포시 담는 이야기가 자랍니다. 4347.8.18.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