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찍는 눈빛 44. 누구나 한 걸음씩



  사진을 찍을 적에는 누구나 한 걸음씩 걷습니다. 어떤 이는 한꺼번에 열 걸음이나 백 걸음쯤 걷는구나 하고 느낄 수 있을 테지만, 그 사람들도 언제나 한 걸음씩 걸을 뿐입니다. 더 빨리 걷는 사람이나 더 많이 걷는 사람은 없습니다. 누구나 한 걸음씩 걷습니다.


  잘 걷다가 제자리걸음을 하거나 뒷걸음을 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한참 걸음을 멈추고 가만히 서는 사람이 있습니다. 아예 눌러앉는 사람이 있습니다. 깡충깡충 이리 뛰고 저리 뛰다가 지치는 사람이 있습니다. 저마다 삶이 다르고 넋이 다르기에 걸음새가 달라요. 누군가는 한 걸음씩 내딛는 삶을 지겨워 하거나 따분하게 여깁니다. 누군가는 한 걸음씩 내딛으며 빙그레 웃거나 활짝 웃습니다.


  한 걸음씩 모여 천 리를 걷거나 만 리를 걷습니다. 한꺼번에 천 리 걸음이나 만 리 걸음을 내딛지 않아요. 꾸준하게 걸어서 천 리 걸음이나 만 리 걸음이 됩니다.


  무슨 말인가 하면, 내 걸음걸이를 스스로 느끼는 사람은 늘 새롭습니다. 내 걸음걸이를 스스로 살피는 사람은 언제나 새삼스럽게 삶을 누립니다.


  어느 날 문득 아주 놀랍다 싶은 사진을 찍을 수 있어요. 그러면, 놀랍다 싶은 사진이란 무엇일까요? 처음일까요? 끝일까요? 아무것도 아니에요. 내가 디디는 걸음 가운데 그저 하나일 뿐입니다. 이곳에서 저곳까지 걸어가는 동안에 만날 수 있는 수많은 빛 가운데 하나일 뿐입니다.


  참으로 빼어나다 싶은 사진을 한 장 찍을 수 있어요. 그렇지요. 그러면 생각해 보셔요. 참으로 빼어나다 싶은 사진은 무엇입니까? 이런 사진 한 장을 얻고 싶어서 사진을 찍습니까? 이런 사진 한 장을 얻었으니, 이제 사진을 더는 안 찍어도 됩니까?


  세계 사진 역사를 밝히는 수많은 사진가들은 참으로 놀랍다 싶은 사진을 찍어서 나누어 줍니다. 어떤 이는 참으로 놀랍다 싶은 사진이 ‘처음이자 끝’입니다. 어떤 이는 참으로 놀랍다 싶은 사진이 ‘날마다 걷는 걸음걸이 가운데 하나’입니다. 사진을 어떻게 찍고 싶은지 스스로 생각해야 합니다. ‘멋진 한 장’을 찍으면 더 안 찍어도 될 사진일까요? 멋진 노래 한 가락을 지었으면 더 노래를 안 불러도 될까요? 멋진 글을 한 꼭지 썼으면 더 글을 안 써도 될까요? 맛난 밥을 한 끼니 지었으면 이제 더 밥을 안 짓고 안 먹어도 될까요?


  가슴이 찡하도록 떨리는 사진 한 장을 얻었다면, 이 사진은 내 기나긴 사진길 가운데 ‘오늘 하루’를 밝히는 즐거운 열매입니다. 오늘 하루 열매를 먹었으니 이튿날에도 열매를 먹을 수 있기를 빌어요. 모레와 글피에도 새로운 열매를 먹고 활짝 웃을 수 있기를 빌어요. 4347.9.9.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 찍는 눈빛 43. 내가 너한테 다가설 적에



  마음에 쏙 드는 동무한테 다가설 적에 어떻게 하는지 생각해 봅니다. 무척 아끼는 동무하고 이야기를 나눌 적에 어떻게 하는지 헤아려 봅니다. 사랑하는 할머니 할아버지 어머니 아버지 동생 언니 누나 오빠한테 어떻게 마주하는지 되뇌어 봅니다.

  어떻게 하는가요? 내가 마음으로 아끼는 동무와 이웃한테 어떻게 하지요? 사랑스러운 한집 사람들하고 어떻게 말을 섞지요? 동무가 하는 말을 사이에 싹둑 끊나요? 이웃한테 다짜고짜 한참 내 말만 늘어놓나요?

  사진을 찍는 매무새는 ‘내가 가장 아끼고 좋아하며 사랑하는 사람’을 마주하는 매무새여야 한다고 느낍니다. 언제나 이러한 밑마음이어야 한다고 느낍니다. 사진으로 찍힐 사람을 아끼거나 좋아하거나 사랑하지 않으면서 어떻게 사진을 찍을까요?

  그런데, ‘사진을 찍는 내’ 눈높이나 눈길에 맞추는 아낌이나 좋아함이나 사랑이어서는 안 됩니다. ‘사진으로 찍히는 네’ 눈높이와 눈길을 헤아리고 살필 줄 아는 아낌이나 좋아함이나 사랑이어야 합니다.

  오순도순 이야기를 나누려면 서로 넉넉한 마음이어야 합니다. 도란도란 이야기꽃을 피우려면 서로 즐거운 마음이어야 합니다. 알콩달콩 이야기잔치를 누리려면 서로 따사로운 마음이어야 합니다. 사진기를 손에 쥐고 ‘사진으로 찍힐 사람’을 바라보거나 마주할 적에는, 늘 내 마음이 넉넉하면서 즐겁고 따사로울 수 있어야 합니다.

  넉넉하지 않은 마음으로 사진을 찍으면 어떻게 될는지 생각해 보셔요. 즐겁지 않은 마음으로 사진을 찍으면 어떤 모습이 나타날는지 생각해 보셔요. 따사롭지 않은 마음으로 사진을 찍으면 누가 이 사진을 보면서 반갑다고 할는지 생각해 보셔요.

  꽃을 사진으로 찍는 사람은 꽃을 밟거나 함부로 꺾는 사람이 아닙니다. 꽃을 아끼고 사랑하며 보살필 줄 아는 사람이 꽃을 찍습니다. 골목을 사진으로 찍는 사람은 골목이웃이 어떻게 지내는지 모른 척하거나 등돌리는 사람이 아닙니다. 골목을 사진으로 찍는 사람은 골목동네 사람들을 이웃으로 여기면서 늘 즐거이 어깨동무를 하는 사람입니다. 언제나 마음을 활짝 열고 서로서로 마주할 수 있기를 바라요. 4347.9.7.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 찍는 눈빛 42. 사진은 어디에서 오는가



  사진은 우리 마음에서 옵니다. 우리 마음에 있는 이야기가 사진으로 태어납니다. 사진이란 무엇인가 하고 밝히는 길은 늘 이 하나입니다. 우리 마음에 있는 이야기가 태어나는 사진인 줄 느끼거나 깨닫거나 알 수 있으면, ‘사진 배우기’를 다 마친 셈입니다. 사진강의를 듣기 앞서 이를 알았다면 굳이 사진을 배워야 하지 않습니다. 다 아는데 무엇을 배울까요. 다만, 사진기라고 하는 기계를 다룰 줄 모르니, 기계 다루는 솜씨는 배울 수 있겠지요.


  무슨 말인가 하면, 기계 다루는 솜씨만 배워서는 사진을 찍을 수 없다는 뜻입니다. 사진을 가르치려는 사람은 기계 다루는 솜씨만 알려주는 ‘사용 설명서’ 노릇이 아닌, ‘삶을 밝히는 길잡이’ 구실을 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우리 마음에 없는 이야기는 사진으로 못 찍습니다. 마음에 없는데 어떻게 찍을까요. 마음에 없으니 알지 못합니다. 알지 못하는 이야기는 느끼지 못해요. 느끼지 못하는 이야기는 마주하거나 바라보지 못합니다.


  생각해 보셔요. ‘가난’을 모르는 사람은 가난한 사람이 옆에 있어도 알아차리거나 느끼지 못해요. ‘웃음’을 모르는 사람은 둘레에서 여러 사람들이 웃고 떠들어도 알아차리거나 느끼지 못해요. 풀벌레를 모르는 사람은 풀숲에서 풀벌레가 노래하더라도 그 노랫소리가 풀벌레가 들려주는 소리인 줄 알아차리거나 느끼지 못합니다.


  사진은, 이야기를 찍습니다. 사진을 찍고 싶다면, 이야기가 있어야 합니다. 이야기가 없다면, 사진기를 다룰 줄 알아도 사진을 못 찍습니다. 그러니까, 사진기를 손에 쥐기 앞서, 나한테 이야기가 있는가 없는가 살필 노릇입니다. 사진으로 담을 이야기가 있는가 없는가에 따라 ‘사진 배우는 즐거움’을 누리느냐 못 누리느냐가 달라져요.


  잘 생각할 노릇입니다. 내 마음에 이야기가 없는 사람이라면, 글쓰기를 배워도 글을 못 쓰고, 그림그리기를 배워도 그림을 못 그려요. 언제나 이야기가 맨 먼저입니다. 그리고, 이야기는 삶에서 비롯합니다. 그러니까, 내 삶을 읽을 때에 내 마음에 깃든 이야기를 읽을 수 있고, 내 마음에 어떤 이야기가 있는가를 제대로 읽을 때에, 사진을 한 장 찰칵 하고 찍을 수 있습니다. 나는 시골마을에서 지내며 파랗게 눈부신 하늘을 날마다 기쁘게 누리기에, 이 기쁨이 우러나오는 마음을 사진으로 고맙게 옮깁니다. 4347.9.7.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 찍는 눈빛 41. 내가 생각하는 사진



  내가 생각하는 사진은 내가 생각하는 삶입니다. 내가 생각하는 사진은 내가 사랑하는 삶입니다. 내가 생각하는 사진은 내가 꿈꾸는 삶입니다. 내가 생각하는 사진은 내가 걸어가는 삶입니다.

  나는 늘 내 사진을 찍습니다. 마땅한가요? 안 마땅한가요? 내 사진이 아닌 남 사진을 내가 찍을 수 없습니다.

  그런데, 아주 많은 분들은 ‘스스로 내 사진 찍기’를 하지 않습니다. 남이 찍은 사진을 가만히 흉내내기에 바쁜 사람이 너무 많습니다. 멋져 보인대서, 예뻐 보인대서, 좋아 보인대서 …… 자꾸자꾸 ‘남이 찍는 사진에 휩쓸리는’ 사람이 많습니다.

  스스로 배우려는 뜻에서 ‘남이 찍는 사진’처럼 ‘나도 따라서 찍어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남이 찍는 사진을 따라서 찍는들 하나도 못 배웁니다. 왜냐하면, 흉내내기는 늘 흉내내기로 그칠 뿐 아니라, 흉내내기가 몸에 배기 때문입니다.

  된장국을 끓여도 남이 하는 대로 똑같이 못 끓입니다. 걸레를 손으로 복복 비벼 빨아서 방바닥을 훔쳐도, 남이 하는 대로 똑같이 못 합니다. 걸음걸이를 생각해 보셔요. 사람들은 저마다 다 다르게 걸어야 합니다. 키가 다르고 몸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남이 걷듯이 똑같이 따라 걸을 수 없어요. 키가 크면 키가 큰 대로 걷고, 키가 작으면 키가 작은 대로 걷습니다. 누구 걸음이 예쁘거나 누구 걸음이 못나지 않습니다.

  내 사진은 내가 스스로 생각할 때에 ‘내 사진’입니다. 스스로 내 사진을 ‘내 눈길’로 바라볼 수 있어야, 내 둘레에 있는 ‘다른 사람 사진’을 제대로 읽을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 사진을 바라보면서 ‘사진읽기’가 안 된다면, 그러니까 다른 사람들 사진을 하나하나 바라보면서 ‘이 사진에 깃든 넋이나 마음은 무엇일까’ 하는 대목을 느끼지 못한다면, 내가 찍는 내 사진에 깃든 내 넋이나 마음이 무엇인지 스스로 못 느끼고 말아요.

  그런데, 내 사진을 찍자면 내 삶이 있어야 합니다. 내 삶을 아직 세우지 못한 사람은 내 사진을 못 찍습니다. 다만, 스스로 내 삶을 아직 못 세웠다면 ‘스스로 삶을 못 세운 모습’을 꾸밈없이 사진으로 담을 수 있어요. 그러나, 언제까지나 ‘삶을 못 세운 모습’만 사진으로 찍는다면 갑갑합니다. 재미없습니다. 세우지 못한 삶을 사진으로 담으려 하더라도, 살짝 담고 그치셔요. 이제는 삶을 세워야지요. 이제는 삶을 열어야지요. 이제는 삶을 가꾸고 누리며 사랑해야지요. 사진을 가꾸고 누리며 사랑해야지요. 4347.9.2.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 찍는 눈빛 40. 웃고 싶나요, 울고 싶나요



  내 마음이 가는 대로 사진을 찍습니다. 웃고 싶은 사람은 스스로 웃으면서 사진을 찍습니다. 울고 싶은 사람은 참말 스스로 울면서 사진을 찍습니다. 다른 사람들이 왁자지껄하게 웃거나 떠드는 곳에 있기에 웃음이 쏟아지는 사진을 찍지 않습니다. 다른 사람들이 꺼이꺼이 울거나 무겁게 가라앉은 곳에 있기에 울음이 쏟아지는 사진을 찍지 않아요.

  왁자지껄하게 떠드는 곳에 있어도 울음이 나는 사진을 찍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사진찍기는 마음찍기이기 때문입니다. 마음을 찍는 사진이니, 나한테서 느낀 울음이든 이웃 누군가한테서 느낀 울음이든, 울음을 읽었으면 울음을 찍습니다.

  경상도 밀양에서 송전탑 때문에 시골 할매와 할배가 오래도록 싸워야 합니다. 이곳에 가면 어떠할까요? 눈물이나 울음만 있을까요? 이곳에 있는 웃음이나 기쁨은 무엇일까요? 싸움 한복판에서도 우리는 얼마든지 웃음을 찾을 수 있습니다. 아니, 힘겹게 싸우는 사람들을 버티는 밑힘이란 바로 웃음입니다. 밀양 할매와 할배뿐 아니라 밀양 아지매와 아재는 이녁 삶자리를 사랑하고 아낍니다. 이녁 삶자리를 안 사랑하거나 안 아낀다면 송전탑이야 아무렇게나 들어오든 말든 아랑곳하지 않겠지요. 이녁 삶자리를 사랑하거나 아끼기에 송전탑 따위가 함부로 못 들어오도록 가로막으려는 뜻에서 싸울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이녁 삶자리에서 늘 웃고 노래하고 춤추고 사랑하는 삶이 있다는 뜻입니다. 사진을 찍는 사람은 바로 이러한 빛과 넋과 삶과 꿈과 이야기를 찬찬히 헤아려서, 밀양에서 참으로 그윽하면서 아름다운 ‘웃음 사진’을 일굴 수 있습니다.

  무엇을 읽겠습니까? 어떤 마음을 읽겠습니까? 무엇을 읽어서 무엇을 찍겠습니까? 어떤 마음을 읽어서 어떤 사진을 찍겠습니까?

  스스로 살피고 생각해야 합니다. 내 마음을 스스로 깨달아야 합니다. 내 마음과 함께 우리 이웃과 동무가 어떤 마음인지 어깨를 겯고 헤아려야 합니다. 사진은, 내 이웃과 동무를 찍는 아름다운 이음줄입니다. 4347.9.2.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