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을 쓴다

 


  바람이 고요한 날 햇살이 따사로우면 한겨울에도 한겨울 아닌 봄과 같구나 하고 느낀다. 바람이 매서운 날 햇볕마저 구름에 가리고 빗방울까지 들으면 한봄에도 한봄 아닌 겨울과 같구나 하고 느낀다.


  며칠 동안 바람이 세차게 불었다. 세차게 부는 바람은 우리 마당가 후박나무 가지를 뒤흔들 뿐 아니라 동백나무 새 꽃봉우리까지 뒤흔든다. 이 바람에 꽤 많은 꽃봉우리가 떨어진다. 활짝 피어난 꽃봉우리가 떨어지고, 이제 막 터지려던 꽃봉우리가 떨어진다. 퍽 일찍 꽃봉우리 터뜨리고 나서 시든 녀석도 떨어진다.


  우리 집 뒤꼍에서 자라는 매화나무는 다른 집보다 훨씬 늦게 꽃봉우리를 터뜨린다. 가지마다 촘촘하게 피어난 꽃송이를 올려다보면서, 우리 집에서 매실을 잔뜩 얻을 수 있겠네 하고 생각했는데, 이 된바람을 여러 날 겪고 보니, 매실로 달리려 하다가 그만 여물지 못한 채 바람에 떨어지는 알맹이도 꽤 되겠다고 느낀다. 매실을 얻는다면, 바람을 견딘 매실을 얻는 셈이요, 매실을 누린다면, 바람을 고스란히 맞아들인 매실을 누리는 셈이다.


  논둑을 걷는 내 몸을 휘감아 나를 멀리 날려 보내려 하던 바람을 떠올린다. 작은 아이들은 논둑을 걷다가 이 바람을 맞았다면 그만 논바닥으로 폴싹 자빠졌을까. 늙은 할머니 할아버지는 이 모진 바람에도 마늘밭 김매기를 하다가 그만 아이구야 하면서 옆으로 풀썩 넘어지기도 할까. 드센 바람이 온 마을을 휩쓰는 동안 들새와 멧새 지저귀는 소리를 듣지 못한다. 새들은 대단한 바람이 감돌 적에는 잔뜩 웅크리고 서로서로 기대면서 포근한 햇살과 살가운 바람이 되기를 기다릴까. 새들은 대단한 바람이 휘몰아칠 적에 이 바람을 따라 하늘 높이 휘휘 돌면서, 가벼운 몸뚱이를 바람한테 맡기며 너른 마음이 될까.

  산들바람도 좋고, 칼바람도 좋다. 한들바람도 좋고, 마파람과 하늬바람도 좋다. 바람이 뚝 그친 아침녘 노랗게 빛나는 해를 바라본다. 이른아침부터 새들 노랫소리 가득하다. (4345.4.4.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논둑꽃 글쓰기

 


  논둑에 덩그러니 한 송이 노랗게 꽃송이 터뜨린 꽃은 유채꽃일까. 또는 갓꽃일까. 한 송이 또는 두어 송이 때로는 여러 송이가 한 곳에 무리지어 노랗게 꽃봉우리 터뜨린다. 줄지어 피어나는 꽃송이가 아니라 한다면, 씨앗 한 알이 바람을 타고 날다가 이리로 떨어졌으리라. 또는 작은 들새 깃털에 유채씨가 묻어 곳곳에 퍼졌을는지 모른다.


  가만히 생각해 본다. 바람결에 실려 곳곳에 한두 씨앗 퍼지며 노랗게 피어나는 유채꽃이나 갓꽃은 어떠한 꿈을 안았을까. 작은 들새 깃털에 살짝 묻어 멀리멀리 날아가다가 톡 떨어져 뿌리를 내리고는 노랗게 꽃봉우리 터뜨리는 유채꽃이나 갓꽃은 어떠한 사랑을 나눌까.


  아스팔트 덮인 시골길 끝자락에 용케 뿌리를 내린 숱한 들꽃과 들풀을 본다. 시멘트로 덮은 논도랑 구석 미처 시멘트로 덮지 않은 자리에 용하게 뿌리를 뻗은 숱한 들꽃과 들풀을 본다. 시멘트 도랑이라 하더라도 흙 몇 줌 들러붙은 데 있으면, 이런 자리에까지 들꽃과 들풀이 깃든다.


  흙은 어디에서고 수많은 목숨한테 좋은 보금자리 노릇을 한다. 흙은 어디에서나 수많은 목숨이 새로 숨을 이을 수 있도록 좋은 밥을 내어준다. 둘째를 품에 안고 논둑을 걷다가 살짝 논둑에 앉아서 함께 노란 꽃을 바라본다. 보송보송한 흙을 밟을 수 있는 논둑이 고맙다. 흙논둑에서 노란 꽃송이 아이하고 나란히 바라볼 수 있는 나날이 즐겁다. 예쁜 아이들과 살아가며 예쁜 꿈을 꾼다. 예쁜 살붙이와 얼크러지며 예쁜 사랑을 빚는다. (4345.4.3.불.ㅎㄲㅅㄱ)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nine 2012-04-03 06:06   좋아요 0 | URL
애기똥풀 아닌가요??

숲노래 2012-04-03 07:31   좋아요 0 | URL
애기똥풀은 꽃이 저렇게 모여 나지 않아요 ^^;;;
꽃 모양도 살짝 다르고, 무엇보다 잎사귀가 달라요~~

hnine 2012-04-03 17:54   좋아요 0 | URL
그런가요? ^^
저도 유채꽃인가 봤더니 꽃봉오리 모양이 유채꽃과 다르네요. 잎 모양을 보면 갓꽃 같기도 하고, 아이쿠, 궁금해라. 알아내셔서 저 가르쳐주세요~

숲노래 2012-04-05 02:02   좋아요 0 | URL
애기똥풀은 워낙 꽃잎과 풀잎과 줄기가 남달리 생겨서
한 번 보면 척 알아챌 수 있어요.
그리고 키가 곧게 크지는 않고 옆으로 퍼지곤 해요.

이른봄 부르는 들꽃은 생김새가 엇비슷하며
이름 다른 풀이 많아
잘 모르겠지만,
저희도 한 해 두 해 살아가며
익숙해지리라 믿어요~
 


 쓸 수 있을 때에 쓰는 글

 


  씨앗을 심어야 할 때에 씨앗을 심습니다. 똥을 누어야 할 때에 똥을 눕니다. 밥을 먹어야 할 때에 밥을 먹습니다. 나는 글을 써야 할 때에 글을 쓰고, 사진을 찍어야 할 때에 사진을 찍습니다.


  심어야 할 때에 씨앗을 심는 사람은 아름답습니다. 누어야 할 때에 똥을 누는 사람은 시원합니다. 먹어야 할 때에 밥을 먹는 사람은 배부릅니다. 써야 할 때에 글을 쓰는 사람은 즐겁습니다. 찍어야 할 때에 사진을 찍는 사람은 빛납니다. (4345.3.31.흙.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사진을 말하는 글쓰기

 


  사진을 말하는 글을 쓰며 생각한다. 내 둘레뿐 아니라 이 나라, 나아가 지구별에서 ‘사진을 말하는 글쓰기’를 하는 사람이 너무 없기 때문에 내가 이 글을 쓰는가 하고 곰곰이 생각한다.


  사진을 말하는 글쓰기를 하는 사람이 ‘너무 없다’는 말은 옳지 않다. 꽤 많다. 참 많다. 그러나, 내가 바라거나 기다리는 ‘삶을 사랑하는 사람’으로서 사진을 말하는 글쓰기를 즐기는 사람은 좀처럼 찾아보기 어렵다.


  사진을 찍는 사람들부터 ‘삶을 사랑하는 사람’이 되어 사진을 찍는지, 그냥 사진기를 들며 멋을 부리려 하는지 돈을 벌려 하는지 알쏭달쏭하기까지 하다. 그런데, 사진기를 든 사람들뿐인가. 붓을 들거나 연필을 든 사람 가운데에도 ‘삶을 사랑하는 사람’으로 거듭나지 않고서 붓을 들거나 연필을 드는 사람이 많지 않은가.


  꼭 책을 내야 하지 않고, 굳이 책을 읽어야 하지 않다. 삶을 느끼면 넉넉하고, 삶을 읽으면 아름답다. 삶을 헤아리지 않는 가슴으로는 글 한 줄에 사랑을 싣지 못한다. 삶을 누리지 못하는 넋으로는 그림 한 장에 사랑을 꽃피우지 못한다. 삶을 나누지 못하는 몸가짐으로는 사진 한 장에 사랑을 그리지 못한다.


  나는 ‘사진을 말하는 글쓰기’를 한다. 사진을 찍는 사람이든 사진을 읽는 사람이든, 부디 즐겁게 ‘삶을 사랑하는 사람’으로 보내는 하루가 얼마나 아름다운가를 예쁘게 깨닫기를 꿈꾸면서 글을 쓴다. 내 글은 사진을 말하면서, 사진을 바라보는 사람들이 좋아할 꿈을 말한다. 내 글은 사진과 책을 말하면서, 사진과 책을 손에 쥐는 사람들이 이룰 이야기를 말한다.


  빗소리를 들으며 글을 쓴다. 내 글에는 빗소리가 담긴다. 햇살을 쬐면서 글을 쓴다. 내 글에는 햇살이 깃든다. 두 아이 놀며 자지러지는 웃음을 느낀다. 내 글에는 아이들 웃음이 스민다. 옆지기가 마련한 좋은 밥을 먹는다. 내 글에는 좋은 밤내음이 풍긴다.


  글도 그림도 노래도 춤도 모두 사랑 어린 이야기 그득그득 넘실거리기를 꿈꾼다. 사진 한 장마다 고운 사랑이 함초롬히 피어날 수 있기를 꿈꾼다. (4345.3.30.쇠.ㅎㄲㅅㄱ)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페크pek0501 2012-03-30 17:29   좋아요 0 | URL
"삶을 헤아리지 않는 가슴으로는 글 한 줄에 사랑을 싣지 못한다. " - 아, 이 글에 찔리고 가요. ㅋㅋ 새겨 두겠습니다.

숲노래 2012-03-30 21:44   좋아요 0 | URL
그저 이 한 가지만 있으면
누구나 즐겁게 살아갈 수 있어요.
 


 글 하나 쓰기란

 


  내 마음속에서 곱게 피어나는 사랑이 하나 있으면, 글 하나는 언제 어디에서라도 내 마음껏 홀가분하게 쓸 수 있습니다. 내 마음속에서 곱게 피어나는 사랑이 아무것 없다면, 아무리 고즈넉하거나 한갓진 데에서라도 글 한 줄조차 쓸 수 없습니다. (4345.3.27.불.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