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게 다가온 모든 시간
양해남 지음 / 눈빛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진책시렁 48


《내게 다가온 모든 시간》

 양해남

 눈빛

 2018.12.20.



  그림은 붓질을 차곡차곡 하면서 태어납니다. 사진은 단추질을 자꾸자꾸 한대서 태어나지 않습니다. 어느 한때에 빈틈이 없도록 찰칵 하고 누르고서 사진기를 내려놓을 줄 알아야 비로소 사진이 태어납니다. 오직 한 칸에 하나로 이야기를 담아내자면 숱한 단추질 끝에 하나를 추리기도 하지만, 바로 하나를 한 칸으로 얻기까지 숨을 죽이고 기다리거나 살핀 끝에 문득 사진기를 쥐어 찰칵 하고 찍고서 내려놓곤 합니다. 소설로 펴는 이야기는 차곡차곡 즐거리를 보태고 이어서 엮는다면, 시로 펴는 이야기는 알맞게 맺거나 끊어야 합니다. 더 많은 줄거리나 말마디가 아닌, 꼭 그만큼 있어야 할 몇 마디로 들려주는 이야기가 시예요. 《내게 다가온 모든 시간》은 사진 한 자락에 시 한 자락을 모두어 이야기를 폅니다. 삶 한 자락을 두 갈래로 보여주되, 꼭 이만큼이면 넉넉하다 싶도록 한 걸음씩 나아갑니다. 우리한테 다가온 모든 때를 아우르되, 한 줄 두 줄로 끝맺습니다. 우리가 다가서는 모든 길을 돌아보되, 한 걸음 두 걸음으로 멈춥니다. 사진을 찍으려면 시를 써야겠습니다. 시를 쓰려면 사진을 찍어야겠습니다. 이러면서 삶을 사랑해야겠지요.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의 고건축 5 - 너와집
강운구 사진 / 광장 / 1979년 6월
평점 :
절판


사진책시렁 40


《내설악 너와집》

 강운구 사진

 김원 글

 광장

 1978.11.1.



  사진으로 찍거나 그림을 그려 남깁니다. 사진도 그림도 아니라지만 마음에 새겨서 두고두고 물려주거나 물려받습니다. 똑같이 남길 수 있으나, 굳이 똑같이 흐르지 않기도 합니다. 어버이한테서 물려받은 말씨를 토씨 하나까찌 똑같이 쓸 수 있고, 몇 가지를 살짝 바꾼다든지 새로운 말씨를 보탤 수 있습니다. 집짓기나 옷짓기나 밥짓기에서도 예부터 물려받은 그대로 따를 수 있고, 조금씩 손보거나 새롭게 더할 수 있어요. 《내설악 너와집》이라는 사진책이 있기에 1970년대 끝자락에 설악산 골짜기에 깃든 너와집이 어떤 살림이었는가를 어림할 만합니다. 가만히 돌아보면 그무렵에도 사진 찍는 이는 많았으나, 살림집 한켠을 두고두고 지켜보며 담는 손길은 드물었지 싶어요. 멧자락을 찍는 이는 많아도 ‘멧자락 살림집’을 찍는 이는 적었다고 할 만해요. 더 돌아본다면 그무렵에는 너와집이 사그라들지만, 오늘날에는 골목집이 사그라들어요. 너와집도 골목집도 ‘살림집’입니다. 수수한 살림이에요. 이 수수한 살림을 ‘살림짓는 바로 오늘 이 자리’에서 ‘살림짓는 수수한 손’으로 ‘무지개빛 마음’이 되어 담는 눈썰미가 있다면 더없이 아름답습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사진읽기/사진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빵과 강아지
구와하라 나쓰코 지음, 박문희 옮김 / 디자인이음 / 201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진책시렁 39


《빵과 강아지》

 구와하라 나쓰코

 박문희 옮김

 디자인이음

 2014.7.15.



  좋아하기에 곁에 둡니다. 좋아하니 언제나 즐깁니다. 좋아하니 어디에 가든 눈에 확 들어옵니다. 좋아하니 바로 느끼거나 알며, 좋아하니 꿈나라에서도 만납니다. 빵하고 개를 좋아하는 어느 분이 두 가지를 나란히 놓고 사진을 찍습니다. 어느 하나만 찍을 수 없어 늘 둘을 나란히 두고 사진을 한 장씩 남깁니다. 사진으로 담은 빵은 곧 배로 들어갑니다. 개는 빵을 먹고 나서도 곁에 있습니다. 다시 사진을 찍고 싶어 새롭게 빵을 굽고, 빵을 다 구우면 개가 빵 곁에 있는 모습을 새삼스레 찍습니다. 《빵과 강아지》는 찍은이 스스로 언제나 곁에 두는 두 가지를 어우러 놓은 이야기꾸러미라 할 수 있습니다. 그저 좋아하는 대로 살면서 다른 눈치를 살피지 않습니다. 좋으니 이대로 넉넉하다고 여깁니다. 개하고 살고, 빵을 굽고, 사진을 찍고, 때때로 글을 쓰는 이웃님은 모두 마음에 들 테니 이대로 죽 흐르리라 느낍니다. 그런데 어쩐지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똑같다는 느낌이 짙습니다. 틀림없이 빵을 새로 구워서 찍는데, 제 눈에만 안 새롭게 보일는지 모르겠으나, 그냥 그렇습니다. 개가 집에만 있으니 시큰둥한지, 제가 빵을 썩 안 좋아하는지 알쏭합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사진읽기/사진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Haystack Rock Mystery and Murder at the Cannon Beach Hotel (Paperback)
Pierre Toutain-Dorbec / CSF Publishing / 2015년 11월
평점 :
품절


사진책시렁 38


《NEPAL》

 Pierre Toutain

 ubspd

 1986.



  아이들한테 사진기를 물려줍니다. 제 손길이 탄 사진기는 오래오래 썼기에 퍽 낡지만, 아이들이 마음껏 다루면서 저희 눈으로 새롭게 바라보는 이야기를 담는 곁살림이 됩니다. 아이들은 ‘사진기를 물려받는다’는 대목을 짙게 느낍니다. 새것이든 헌것이든 대수롭지 않습니다. 새것을 받았어도 손길을 살며시 타면 이내 헌것이에요. 겉모습은 새것이나 헌것으로 가를 터이나, 속내로는 사진기일 뿐입니다. 이는 어버이가 물려주는 사랑도 매한가지예요. 어버이는 새사랑이나 헌사랑 아닌 사랑을 물려줍니다. 사진기로 들여다보는 모습도 즐겁거나 사랑스러운 우리 모습이자 이웃 살림입니다. 《NEPAL》이란 사진책에 깃든 모습은 오래된 네팔 모습일까요, 아니면 오늘에도 고이 흐르는 네팔 살림일까요. 사진을 찍은 분은 ‘머잖아 사라질 모습’을 담았을까요, 아니면 ‘오늘 즐겁게 가꾸는 살림’을 담았을까요. 찍는 사람도 그대로이며, 찍히는 사람도 그대로입니다. 때를 살펴 어제하고 오늘로 가릅니다만, 지나간 날이기에 사라지지 않고, 다가올 날이기에 새롭기만 하지 않습니다. 어제도 새롭습니다. 오늘도 지나갑니다. 사진으로 담을 빛은 사랑 하나입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사진읽기/사진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극곰
노베르트 로징 글.사진, 이순영 옮김 / 북극곰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사진책시렁 37


《북극곰》

 노베르트 로징

 이순영 옮김

 북극곰

 2012.2.25.



  마음에 들기에 가까이 갑니다. 마음에 있기에 살며시 다가섭니다. 마음을 읽기에 손을 내밀고, 마음을 알기에 가만히 품습니다. 글 한 줄을 쓰자면, 글감을 놓고 마음으로 만나야 합니다. 사진 하나를 찍자면, 사진감을 놓고 마음으로 동무해야 합니다. 글감이 될 숨결하고 마음을 나누지 못할 적에는 글이 흐르지 않아요. 사진감이 될 이웃님하고 마음을 섞지 않을 적에는 사진이 태어나지 않아요. 《북극곰》을 보면 북극곰을 사진으로 담아내면서 북극곰 한살림을 꼼꼼하게 이야기로 붙입니다. 사람이 아닌 이웃님을 마주하려고 바지런히 북극곰 한살림을 배웠을 테고, 책이나 글이나 영상으로 만난 북극곰을 두 눈으로 코앞에서 마주하는 동안 ‘책에 없는 삶’을 온몸으로 맞아들였겠지요. 사람을 찍든 돌을 찍든 곰을 찍든 우리 마음을 열고서 다가설 줄 알아야지 싶습니다. 사진을 찍고 나서는 사진기를 내려놓고서 사진으로 찍혀 준 이웃 숨결이 어떤 마음인가를 찬찬히 읽고 듣고 맞아들여야지 싶습니다. 사진찍기란 더 나은 그림을 꿰어맞추는 짓이 아닙니다. 사진찍기란 사랑스러운 이웃한테 다가서면서 따스히 주고받는 눈길이면서 몸짓입니다. 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사진읽기/사진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