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에서 연애를 꺼내다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랑의 시
민용태 엮음 / 고즈윈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숲노래 시읽기 2022.10.31.

노래책시렁 254


《時間의 손》

 민용태 글

 문학사상사

 1982.12.10.



  서울은 사람이 밀리고 밟히지만, 아직도 시골은 어린이·푸름이를 서울바라기(in Seoul)로 내몹니다. 이제 우리나라에서 서울을 뺀 거의 모든 고장이며 시골에서 ‘사람받이(인구유입)’를 하려고 해마다 엄청나게 돈을 쏟아붓는데, 정작 어린배움터·푸른배움터는 아이들을 서울로 떠나보내는 얼거리예요. 앞뒤 어긋난 모습을 바로잡거나 다스리려는 나라지기·고을지기는 영 안 보입니다. 그런데 시골이나 작은고장 어버이부터 아이들을 서울로 내보내야 훌륭한 노릇이라고 여겨요. 《時間의 손》을 오랜만에 되읽으며 글님 예전 모습이 떠오릅니다. 이 노래책에서 글님 스스로 “나는 꽤 미남이다”라 밝히기도 합니다만, 이이가 한국외대에서 젊은이를 가르치는 ‘교양 강좌’에 그렇게 순이(여학생)가 많이 듣고, 돌이(남학생)는 얼씬도 안 했어요. 저는 이이가 어떤 글바치인 줄 느꼈기에 이이한테서 뭘 들을 마음이 없었는데, 멋모르고 들어간 돌이는 앞에서 창피한 꼴을 보고서 달아났어요. 순이는 치마를, 더구나 짧은치마를 입고 들으면 셈값(점수)을 더 주는 짓으로 이름이 높았습니다. 서울바라기, ‘in Seoul’, ‘서울에 있는 대학교’는 다 뭘까요?


ㅅㄴㄹ


체구는 작지만 나는 꽤 미남이다. / 내 집에는 여자들이 끊일 날이 없다. / 물론, 조용한 날도 없다. 그러나, // 이번 상대는 돈 많은 과부다. / 인천서 만난 생명의 은인이다. / 처음 한때는 돈 궁한 줄 모르고 살았다 … 어떻든 / 나의 性은 자존심보다 강하다. / 내 위치가 아래건 위건 / 벌거벗은 내 육체는 하체를 축으로 / 팽이처럼 / 곤두선다. (아이 러브 유/35∼36쪽)


무작정 방공호로 끌고 들어간 것은 어머니였다 / 밖에는 우르릉 쾅쾅…… / 나는 숨이 막혀 울려고 했다. / 그때 내 목을 쥔 건 어머니였다. / 나는 내 손으로 내 입을 막았다. // 산은 푸르러서 좋았다. / 딸기는 달콤해서 좋았다. … 아버지는 사변통에 / 책을 다 읽어버렸다고 한숨이시다. / 나는 사변 후에 / 서부활극의 재미를 알았다. (하모니를 위하여/45∼46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서울바라기, ‘in Seoul’, ‘서울에 있는 대학교’

이 모두를 걷어치우는 첫걸음을

이제부터라도 내딛어

애꿎은 젊은넋이

이슬로 사라지는 일이 없도록

마음을 기울이는

어른다운 어른이 늘기를 빌 뿐이다.


쓸쓸하면서 안 쓸쓸한 일 하나.

민용태란 이가 교수 노릇을 하던 그무렵

또래나 뒷내기한테

“꼭 미니스커트를 입고 그놈 강의를 들어야 해?”

하고 물으니

“너는 점수 못 따니 시샘하는구나?”

하면서

짧은치마에 살을 훤히 드러내는 차림으로

민용태란 교수가 연 교양강좌를

강당이 꽉 차도록 들으러 몰리더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푸른 돌밭 한티재시선 17
최정 지음 / 한티재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숲노래 시읽기 2022.10.31.

노래책시렁 255


《푸른 돌밭》

 최정

 한티재

 2019.11.11.



  손으로 심어서 손으로 돌보고 손으로 거두면 얼마나 얻느냐고 핀잔하기 일쑤입니다. 빙그레 웃으면서 “많이 거두어 많이 먹어야 즐겁나요?” 하고 대꾸합니다. 오늘날 시골살림은 ‘흙을 안 만져도 서울(도시)에서 톱니바퀴(부속품) 노릇을 할 심부름꾼’을 잔뜩 거느리려는 나라 얼개를 그대로 드러냅니다. 시골에서 살림을 손수짓는 사람은 한 줌만 두고서, 몽땅 서울로 긁어모아서 풀꽃나무도 들숲바다도 잊어버리도록 내몰아요. 서울에 가득한 잿빛집(아파트)에서는 나물도 없고 열매도 없습니다. 잿더미에서는 싹이 안 틀 뿐 아니라 풀벌레도 새도 지렁이도 없습니다. 돈벌이는 많으나 살림이 없고, 삶이란 온통 다툼판이며, 사랑을 등진 나날이라 할 만해요. 《푸른 돌밭》은 책이름처럼 푸르게 돌밭인 곳을 차근차근 일군 나날을 옮긴 노래입니다. 더 빠르게도 더 느리게도 아닌, 오직 스스로 몸결하고 마음결을 헤아리는 하루를 되새기면서 적은 글줄입니다. 시골사람은 바보가 아닌 시골빛을 품은 사람입니다. 시골은 서울하고 먼 외딴 데가 아닌, 살림을 손수지으며 사랑을 스스로 노래하는 터전입니다. 우리는 아이들한테 뭘 보여주고 가르치는가요?


ㅅㄴㄹ


뭐, 청송이라구? 교도소? // 아니, 소나무가 많아 청송이래 / 별빛조차 푸른빛이야 (무섭지 않아?/20쪽)


너무 아늑해서 / 미련 없이 평생 잠든 척 / 번데기로 살고 싶었는지도 몰라 (번데기/11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똥 누고 가는 새
임길택 글, 조동광 그림 / 실천문학사 / 2014년 6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노래책 2022.10.26.

노래책시렁 237


《똥 누고 가는 새》

 임길택 글

 조동광 그림

 실천문학사

 1998.12.5.



  마을 할매 여럿이 몰래 우리 집 뒤꼍 담을 타고 들어와서 감을 훔쳤습니다. 이러면서 “저 감을 왜 안 따요? 땅에 떨어져 터지니 아까워삐네.” 하더군요. “감을 사람만 먹나요? 저희는 감을 먹고 싶을 적에 한두 알씩만 따고, 새가 먹도록 가만히 둡니다. 새한테 주는 밥을 훔쳐가지 마셔요. 할매네에도 감나무가 있는데 왜 담을 타고 넘어와서 훔쳐가나요? 우리 집 감을 먹고 싶다면 앞문으로 들어와서 두 알만 달라고 하셔요.” 하고 얘기했습니다. 마을 할매는 아뭇소리를 못 합니다. 《똥 누고 가는 새》를 처음 읽은 지 어느새 스물 몇 해가 흘렀습니다. 아니, 이 노래책을 처음 장만한 지 스물 몇 해입니다. 흙으로 일찍 돌아간 임길택 님 글을 다시 읽기까지 제법 걸렸습니다. 떠난 분은 더 글을 남길 수 없기에 책만 장만해 놓고서 오래도록 물끄러미 바라보았어요. 새삼스레 되읽다가 생각합니다. 왜 갈수록 시골조차 ‘까치밥’이란 이름을 잊을까요? 감나무 한 그루는 사람한테만 열매를 내주지 않아요. 직박구리한테도, 참새랑 딱새랑 콩새랑 딱새한테도, 까마귀랑 까치한테도, 물까치랑 할미새한테도, 개미랑 벌나비랑 지렁이한테도 열매를 내줍니다.


ㅅㄴㄹ


손톱 밑에 / 까만 때가 낀다. // 손가락 곳곳 / 풀에 베이고 / 풀물이 든다. // 적삼에선 / 풀풀 쉰내가 나고 // 여기저기 / 훤히 훤히 / 길이 트인다 (여름/34쪽)


올 같은 감 흉년 / 또다시 올까? // 몇 개만 달린 감 / 그냥 두었다. // 꽃으로 보려고 / 따질 않았다. (감/54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상의 거처 창비시선 100
김남주 지음 / 창비 / 199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숲노래 시읽기 2022.10.21.

노래책시렁 239


《사상의 거처》

 김남주

 창작과비평사

 1991.11.25.



  요새 ‘김남주’라는 노래님을 곁에 두는 분이 드문 듯싶습니다. 떠난 지 제법 된 노래님을 굳이 떠올릴 까닭이 없을 수 있으나, “김남주 안 읽기”에는 여러 속뜻이 흐릅니다. 이를테면 ‘리얼리스트’란 영어를 읊는 글바치(지식인)가 많은데, 그들 가운데 누가 잿빛집(아파트) 아닌 오르막길 작은 골목집에 깃들어 하루를 보낼까요? ‘다큐멘터리 작품을 만들’려고 가난한 사람을 찾아가는 리얼리스트는 많습니다만, 정작 스스로 가난한 살림을 꾸리는 이는 드물어요. ‘안 가난한 사람이 만드는 다큐멘터리 작품’은 ‘가난한 살림살이’를 얼마나 제대로 그릴까요? 《사상의 거처》에 〈똥파리와 인간〉이라는 대단한 노래 한 자락이 실렸습니다. 안치환 님이 가락을 입히기도 한 노래입니다. “똥 없이 맑고 깨끗한 데”에서 살거나 “돈 없이 가난하고 한적한 데”에 가서 살림하지 않고서야, 함부로 붓을 쥐지 말 노릇이라고 생각합니다. 가멸찬(부자) 살림이기에 글을 안 써야 하지 않아요. 가멸찬 살림이라면 가멸찬 그대로 쓰면 되는데, ‘가멸찬 주제’에 ‘가난한 흉내’를 내니, 이 나라는 온통 거짓글판입니다. 가멸차기에 창피하지 않아요. 꾸미거나 거짓말을 하기에 창피합니다. “생각이 있는 곳(사상의 거처)”을 볼 노릇입니다.


ㅅㄴㄹ


바닷가가 처음이라는 내 친구는 / 낙조의 파도에 사로잡혀 몸둘 바를 모르고 / 농부의 자식인 내 가슴은 제방 이쪽 / 가뭄에 오그라든 나락잎에서 애를 태운다 // 뿌리가 다르고 지향하는 바가 다른 / 가난한 시대의 가엾은 리얼리스트 / 나는 어쩔 수 없는 놈인가 구차한 삶을 떠나 / 밤별이 곱다고 노래할 수 없는 놈인가 (가엾은 리얼리스트/16쪽)


인간은 돈이 많이 쌓인 곳에 가서 / 무리지어 웅성거리며 산다 그곳이 어디건 / 범죄의 소굴이건 아비규환의 생지옥이건 상관 않고 // 보라고 똥 없이 맑고 깨끗한 데에 가서 / 이를테면 산골짜기 옹달샘 같은 데라도 가서 / 아무도 보지 못할 것이다 떼지어 사는 똥파리를 // 보라고 돈 없이 가난하고 한적한 데에 가서 / 이를테면 두메산골 외딴 마을 깊은 데라도 가서 / 아무도 보지 못할 것이다 무리지어 사는 인간을 (똥파리와 인간/104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리창에 이마를 대고 창비시선 27
이가림 지음 / 창비 / 1981년 5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노래책/숲노래 시읽기 2022.10.21.

노래책시렁 238


《유리창에 이마를 대고》

 이가림

 창작과비평사

 1981.5.30.



  요새는 아이들이 말을 못 배우고 글을 배웁니다. 예부터 아이들은 말을 배우면서 마음을 가꾸는 길을 스스로 노래로 돌보고 무럭무럭 자랐어요. 오늘날 아이들은 말하고 동떨어지면서 글을 꾸미는 하루에 길들어요. 《유리창에 이마를 대고》는 퍽 잘 꾸민 글입니다. 반드레레하게 손질해 놓은 글입니다. 이렇게 꾸미거나 손질한 글이기에 ‘시’라는 이름을 붙이는구나 싶습니다. 이처럼 꾸미거나 손질한 글은 나쁠 수 없습니다. 그저 ‘꾸민 글’이나 ‘손질한 글’에 그칠 뿐입니다만, ‘문학’으로 가르치거나 배우는 자리에서 들려주거나 외우더군요. 왜 배움판(학교·강의)에서는 ‘꾸민 글’이나 ‘손질한 글’만 들려주거나 외우거나 따라쓰도록 할까요? 왜 삶글이 아닌 꾸밈글을 베껴쓰기(필사)를 시키거나 할까요? 왜 살림글이 아닌 꾸밈글에만 ‘문학’이란 껍데기를 씌울까요? 모든 ‘글자랑(문학상·백일장)’은 덧없습니다. 누구나 날마다 삶을 이야기하면 넉넉할 뿐이요, 이 이야기를 옮기면 고스란히 글입니다. 자랑할 삶이 아니니, 자랑할 글이 아닙니다. 말(국어)과 노래(문학)는 셈겨룸(시험문제)으로 다룰 수 없고, 가르칠(강의) 수 없습니다. 스스로 삶을 가꾸는 사람은 스스로 삶을 노래합니다. 삶이 없으니 멋을 찾더군요.


ㅅㄴㄹ


나를 짓밟아다오 제발 / 수세식 변소에 팔려 온 이 비천한 몸 / 억울하게 모가지가 부러진 채 / 유리컵에나 꽂혀 썩어가는 외로움을 / 이 눈물겨운 목숨을, 누가 알랴. / 말라비틀어진 고향의 얼굴을 만나면 / 죽고 싶다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 슬픈 전라도 계집의 죄, / 풀꽃들만 흐느끼는 낯익은 핏줄의 벌판은 / 이미 닳아진 자를 받아주지 않는다. (오랑캐꽃 1/26쪽)


가시내야, 가시내야 / 우리도 예전엔 / 한개 고운 피리였단다 / 가느랗게 心琴 울리는 피리였단다 (피리타령/46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