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과 교육 민음의 시 260
송승언 지음 / 민음사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시읽기 2022.1.1.

노래책시렁 209


《사랑과 교육》

 송승언

 민음사

 2019.9.23.



  사랑이 없으면 안지 않습니다. 사랑이 없는 채 안으려 한다면 엉큼질이나 추근질로 기웁니다. 사랑으로 안기에 그저 사랑이라 따뜻하면서 폭신하고 즐거우면서 아늑합니다. 사랑이 없이 안으려 드니까 싫고 지겹고 괴롭습니다. 그렇다면 어른은 아이한테 사랑을 얼마나 제대로 보여주거나 가르칠까요? 사랑을 사랑으로 들려주거나 속삭이는 어른은 몇쯤 있을까요? 총칼을 쥔 이는 사랑을 버린다는 뜻입니다. 벼슬이나 감투를 쓴 이는 사랑을 든진다는 뜻입니다. 총을 쥔 순이도 벼슬을 쓴 돌이랑 똑같이 사랑이 없습니다. 칼을 쥔 돌이도 감투를 쓴 순이랑 나란히 사랑이 없어요. 《사랑과 교육》을 가만히 읽으며 ‘안는 몸짓’을 자꾸자꾸 돌아봅니다. 가없이 사랑이기에 안으려 하나요? 사랑인 척하면서 안으려 하나요? 사랑을 배운 적 없이 무늬만 사랑으로 가나요? 사랑받아 태어난 숨빛인 줄 똑똑히 느끼면서 웃음하고 눈물로 안으려는 발걸음인가요? 사랑이라면 말을 돌리지 않습니다. 사랑이 아니기에 자꾸 말을 돌립니다. 사랑이라면 어린이랑 어깨동무하는 눈빛으로 말합니다. 사랑이 아니기에 어린이뿐 아니라 시골 할매가 못 알아듣는 말을 그저 읊습니다. 사랑은 못 가르칩니다. 사랑은 늘 누구나 저마다 스스로 짓는 별빛입니다.


ㅅㄴㄹ


네가 잘 때 나는 내 나이보다 오래된 책을 읽었고 / 네가 깨어났을 때 그 책에 대해 이야기해 주었다 (액자소설/16쪽)


패잔병들은 생각한다 우리는 졌다 왜 우리가 졌을까 우리가 질 리 가 // 없는데 패잔병들은 생각한다 본진으로 돌아가며 별이 뜨길 기다리며 / 예정된 포인트에서 / 예정된 조우가 있기를 기다리며 (별들이 퍼붓고 난 이후/44쪽)


.

.


어딘가 아쉬운

자꾸 말을 돌리며

무늬만 그리는 듯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비를 보는 고통 문학과지성 시인선 222
박찬일 / 문학과지성사 / 199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시읽기 2022.1.1.

노래책시렁 194


《나비를 보는 고통》

 박찬일

 문학과지성사

 1999.4.30.



  스스로 하고픈 대로 하기에 스스로 빛납니다. 스스로 하고프지 않으나 둘레에서 맡기거나 시킬 적에 한다면 스스로 빛나지 않습니다. 스스로 하고픈 대로 할 적에는 남이 보기에 썩 잘하는구나 싶지 않더라도 스스로 웃어요. 스스로 하고프지 않으나 둘레에서 맡기거나 시킬 적에는 남이 보기에 참 잘하는구나 싶더라도 스스로 웃지 않습니다. 《나비를 보는 고통》을 읽으며 웃음빛을 생각합니다. 옆에서 간질이거나 부추기기에 웃는 사람이 있지만, 그저 스스로 즐거워서 웃는 사람이 있습니다. 옆에서 웃도록 이끌 적에는 그곳에서 살짝 웃어 보일는지 모르나 오래가지 않습니다. 스스로 즐거워서 웃는 사람은 언제 어디에서나 괴로울 일이 없이 웃을 줄 압니다. 모든 목소리는 스스로 내기에 환합니다. 모든 목소리는 둘레에서 시키는 대로 하기에 어둡습니다. 모든 목소리는 스스로 찾아서 펴기에 빛나요. 모든 목소리는 마음에 없는 채 겉으로 드러내야 하기에 고단합니다. 노래님은 남(사회)이 세운 대로 따를 뜻은 적구나 싶습니다. 남(사회)이 하거나 보는 틀보다는 ‘그런 틀은 나한테는 안 어울려’ 하고 여기는구나 싶어요. 다만 ‘남이 세운 틀을 바라보고서야’ 스스로 갈 길을 찾는 듯한데, 이보다는 처음부터 손수 지으면 되겠지요.


ㅅㄴㄹ


옛날 옛날 사람들은 돼지를 먹었는데 요즈음 사람들은 돼지고기를 먹는다. (돼지! 그리고 비디오/12쪽)


어렸을 때부터 간첩 신고를 개조심만큼 많이 본 우리들 / 군대 가느냐 마느냐는 것이 젊었을 적 최대의 화두인 우리들 군대 경험이 최고의 확실한 경험인 우리들 (노르웨이 기행문/24쪽)


한국에서 한국 사람과 태국 사람이 권투를 할 때, 혹은 한국 팀과 일본 팀이 축구를 할 때, 한국이 한국을 응원하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 멀리서 온 손님보고 지라고 한다. 대놓고 지라고 한다. 나는 한국을 응원 안 하고 외국을 응원한다. 마음속으로, 외국이 이기면 기뻐하고 외국이 지면 슬퍼한다. (마음에 대한 보고서 6/6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들의 사랑가 창비시선 94
김해화 지음 / 창비 / 1991년 5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노래책 2021.12.28.

노래책시렁 204


《우리들의 사랑가》

 김해화

 창작과비평사

 1991.6.5.



  집짓는 곳에서 쇠막대를 잡는 일을 해온 발자취를 글로 옮긴 김해화 님은 노래책을 몇 자락 남깁니다. 《우리들의 사랑가》는 땀흘린 하루를 잇고 새로 이어도 헤어나지 못하는 가난살림을 그립니다. 땀을 노래한 글은 아름답습니다. 다만, ‘문학’이 아닌 ‘글’이기만 하다면, ‘시’를 쓰려는 생각이 아닌, ‘삶’을 ‘노래’하려는 생각이라면, 땀글(노동문학)은 이슬처럼 반짝입니다. 땀흘려 일하는 하루이니, 땀을 그대로 옮기면 됩니다. 글바치처럼 꾸미거나 보태야 하지 않습니다. 주먹을 불끈 쥐는 목소리를 내야 하지 않습니다. 이른바 ‘노동문학’이라는 이름을 얻으려고 하면 글도 노래도 망가집니다. ‘노동문학을 하려고 노동자로 지내는 사람’이 있다면, 얼마나 얼빠진 짓일까요? 그런데 땀글을 땀글로 읽지 않는 이들이 많아요. 말꾼(평론가)은 ‘땀흘려 일하지 않는 자리에 있으면서 땀글을 놓고서 이리 따지고 저리 잽’니다. 말꾼 가운데 삽일(막노동)뿐 아니라 집안일을 해본 이는 몇이나 될는지요? 김해화 님이 여민 땀글은 갈팡질팡합니다. ‘일하는 사람 눈길대로 쓰면 넉넉한’데 자꾸 ‘노동문학이 되려는 글치레’로 가려 합니다. 글쟁이도 글바치도 만나지 않으면서 땀흘리기만 했다면 얼마나 빛났을까 싶더군요.


ㅅㄴㄹ


누구를 위해 집을 짓는가, 45평 54평 / 1,200세대, 이 아파트를 짓고 나면 / 우리들의 마을은 마을 밖으로 밀려나 (13층 위에서/89쪽)


“함께 좀 가시죠.” / 따라 들어간 곳 / 컴퓨터 조회 끝에 / 15년 전 앞뒷마을 패싸움나 벌금낸 것 끄집어내 / “전과자로군. 깡패 아냐?” / 저희들 멋대로 가방을 뒤지며 / “노가다 치고 우범자 아닌 놈들 없어.” / “어쭈, 노동법 해설이라? 놀고 있네.” / 이 책 저 책 들춰보고 노트도 떠들어보고 / “불온유인물 같은 것 없나 잘 봐. 노동법 들먹이는 놈들 치고 빨갱이 아닌 놈들 없으니까.” (칼쿠리/146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리산 갈대꽃 창비시선 69
오봉옥 지음 / 창비 / 1988년 7월
평점 :
품절


숲노래 시읽기 2021.12.28.

노래책시렁 206


《지리산 갈대꽃》

 오봉옥

 창작과비평사

 1988.7.1.



  나라(정부)에서는 말을 자꾸 뒤집으면서 바늘(예방주사)을 맞고 또 맞고 다시 맞으라고 합니다. 숱한 사람들이 죽어나가도 나라는 입을 싹 씻습니다. 나라가 입을 씻더라도 글바치(지식인·작가)라면 입을 씻지 말 노릇입니다. 그러나 입을 여는 글바치는 어디에 있을까요? 더구나 이 나라는 2022년부터는 ‘백신패스 딩동’을 밀어붙입니다. 사람들이 웃을 일이 없기에 웃기려고 벌이는 바보짓일까요? 사람들이 스스로 목소리를 내지도 않을 뿐더러 촛불을 들 생각이 없어 보이니, 일본과 박정희가 총칼로 억눌렀듯 신나게 짓밟으려는 셈일까요? 《지리산 갈대꽃》을 내놓은 노래님은 한때 ‘국가보안법을 어긴 탓에 가싯길을 걸어야’ 했다지만, 이제는 열린배움터에서 길잡이 노릇을 합니다. 둘로 갈린 나라가 하나로 돌아가기를 바라는 뜻을 글(시)에 담던 지난날 글돌이(남성 작가)를 보면, 하나같이 ‘이쁜 북녘 순이를 안고 핥고 부비는 줄거리’를 적었습니다. 요즈음 눈길로만 엉큼질을 글에 담은 셈이라고 느끼지 않습니다. 지난날 눈길로도 거북합니다. ‘-더란다’ 같은 말씨처럼 구경하는 자리에 선 글바치란, 갈라치기로 미움(분노)을 일으켜 서로 싸우도록 내모는 글줄이란, 왼켠도 오른켠도 똑같이 나라 떡고물을 받아온 길입니다.


ㅅㄴㄹ


늙은 애비 헛간에서 죽었더란다 / 두 섬 쌀마지기 숨겼다고 쪽발이놈 죽였더란다 / 고운 아내 골방에서 죽었더란다 / 벌건 대낮에 강간하고 양키놈이 죽였더란다 (지리산 갈대꽃―아버지 10/22쪽)


이웃나라 북한여자와 결혼을 했어 / 굳이 누가 시키지 않아도 / 우린 이 옷 저 옷 팽개치고 속살로 만났지 / 아픈 허리 휘어감고 밤새 뒹굴었어 / 무에 더 필요 있을까 / 달덩이 같은 방뎅이 이렇게나 푸짐한데 / 요건 분명 외국산이 아니었지 / 한라에서 백두까지 몇천번 핥아도 / 다시다시 엉기고 싶은데 (난 너의 남편이야/12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통일비빔밥 - 동시집 아동문학 보석바구니 9
신현득 지음, 이호백 그림 / 재미마주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2021.12.10.

노래책시렁 205


《통일비빔밥》

 신현득 글

 이호백 그림

 재미마주

 2019.6.15.



  나하고 다른 네가 서로 하나로 가려면 어떡해야 할까요? 둘은 틀림없이 다른데 어떻게 할 적에 하나일까요? 다른 둘은 하나일 수 없습니다. 다르거든요. 다른 사람을 틀에 짜맞춘다면 억지로 하나로 가겠지요. 그러나 틀·짜맞춤·억지는 서로 안 즐겁습니다. 서로 괴롭습니다. 남녘·북녘은 일본·미국·중국·러시아 입김 탓에 갈린 나라로 걸어왔다지요. 하나인 터전이 뜬금없이 갈리고 말았으니 아프고 멍들었습니다. 그렇다면 생각할 일입니다. 순이돌이(일반인·백성)가 잘못했을까요? 아니지요. 우두머리가 잘못했을까요? 네, 그렇습니다. 잘못한 이들은 ‘통일’이란 이름을 내세우지만, 정작 ‘하나’가 무엇인지 안 살펴요. 이는 글바치도 매한가지입니다. 나라힘을 쥔 이도, 글힘을 부리는 이도, 살림빛이나 사랑하고 등진 ‘겉발림말’만 외쳤습니다. 《통일비빔밥》을 읽으며 노래님이 ‘구경눈’으로 글을 쓰는구나 하고 짙게 느낍니다. ‘엄마 손’이 몇이어야 하나 구경하지 말고, ‘아빠 손’으로 집일하고 집살림을 하면 됩니다. 말장난을 멈추고 아기를 돌보는 아버지로 살면 이런 글은 안 씁니다. 총칼나라(군사독재)하고 사이좋게 지낸 발자취로 ‘동심천사주의 통일만세’를 외친들, 참사랑하고 어깨동무랑 멀기만 할 뿐입니다.


ㅅㄴㄹ


엄마께 손이 몇 개면 좋을까? / 밥 짓다가 아기 울 때 / 두 개 손으론 너무 부족해. // 엄마 어디쯤에서 / 아기 보는 손 한 쌍이 / 쏙, 나왔다가, 일 마치고 / 쏙 들어갔음 좋겠어. // 바쁜 엄마께는 / 빨래하는 손, 뜨개질하는 손이 / 따로 따로 있었음 해. (엄마는 손이 부족해/22쪽)


전쟁을 하고도 / 통일이 되지 않자, / 강아지 이름을 통일이라 하다가 / 송아지 이름을 통일이라 지었다 // …… ‘통일벼’로 보릿고개 내쫓고 / 한강에다 기적을 불러오고도 / 통일이 아득했다. 그러자 // …… 통일그릇에 나눠서, / 통일숟가락으로 / 통일비빔밥을 맛나게 나눠 먹고, / 그 힘으로 다시 외친다. // 통일을 믿자, 믿어라! / 통일에 힘을 모으자, 모아라! / 우리 이 소원, 통일을 이루자! (통일비빔밥/92∼93쪽)

.

.

‘통일벼’로 보릿고개를 내쫓았다니.

어처구니없어도

이렇게 어처구니없을 수 있을까.


엄마 손이 잔뜩 있어야 한다고?

엄마만 아기를 보고 일만 하나?

어이없어도

이토록 어이없을 수 있는가.


‘어린이문학 어른'이란 이름으로 보여주는

딱한 민낯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