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얼굴이 도착하지 않았다 창비시선 477
이설야 지음 / 창비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시읽기 2022.9.24.

노래책시렁 246


《내 얼굴이 도착하지 않았다》

 이설야

 창비

 2022.5.27.



  스스로 안 겪으면, 말하거나 느낄 수 없습니다. 누가 남긴 글·책이나 그림·빛꽃(사진)을 보며 이야기를 꾸리는 분이 부쩍 늘어나는데, 글이나 그림만으로도 그곳에 마음으로 날아가서 겪을 수 있겠지요. 다만, 마음으로 날아가지 않고서 그냥 따오기만 하거나, 몸으로 겪지 않은 삶을 문득 옮기려 한다면, 자꾸 꾸밈말을 하게 마련입니다. 마음에 피어나기에 생각이고, 생각을 소리로 옮기기에 말이고, 말을 누구나 눈으로 읽도록 그렸기에 글입니다. 말을 옮겨 글이고, 생각을 옮겨 말이고, 마음을 옮겨 생각인데, 마음에 피어나는 생각은 저마다 스스로 겪는 삶에서 태어납니다. 그러니까 글을 쓰고 싶다면 스스로 삶을 지으면 됩니다. 대단한 삶이나 초라한 삶은 없어요. 놀라운 삶도 덧없는 삶도 없습니다. 그저 오늘 이 삶을 스스로 고스란히 받아들여 사랑하면, 누구나 글님이요 노래님입니다. 《내 얼굴이 도착하지 않았다》를 읽으며 글님 하루를 그립니다. 어린 날 언니가 다니던 ‘심지 음악감상실’을 저도 열일고여덟 살에 가 보았습니다. 내가 듣고 싶은 노래 한 자락을 쩌렁쩌렁 울리는 소리로 그곳에 띄엄띄엄 앉은 사람들하고 함께 들으니 며칠 동안 온몸이 지잉 울리더군요. 모든 하루는 언제나 노래입니다. 노래이기에 삶입니다. 


ㅅㄴㄹ


공실이 많은 빌딩과 빌딩 사이 어두운 골목길 / 바람도 길을 잃고 헤매고 있었다 / 달빛이 찢어지고 있었다 / 유리창이 깨지고 있었다 (심지음악감상실/17쪽)


영수증을 재활용 종이로 알았다 / 내가 분류하고 나열한 생의 종목들 / 하나같이 구질구질한 쓰레기였다 (감열지/5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멋진 하나
강기화 지음, 홍종훈 그림 / 동시YO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2022.9.18.

노래책시렁 252


《멋진 하나》

 강기화 글

 홍종훈 그림

 동시요

 2021.12.1.



  우리를 둘러싼 모든 숨결은 빛납니다. 빛나지 않는다면 목숨이 아니요, 목숨이 아니라면 죽음덩이나 먼지예요. 빛나는 숨결을 느끼거나 바라보지 않기에 자꾸 총칼을 지어내는 벼슬아치요 어른들입니다. 반짝이는 목숨을 배우거나 마주하지 못 하기에 그만 어리석은 벼슬아치나 못난 어른을 흉내내는 어린이입니다. 우리가 어른이라면 어린이한테 어떤 터전을 물려줄 적에 즐거우면서 아름답고 사랑스러울까요? 우리가 어른답다면 어린이한테 어떤 글을 들려주고 읽힐 적에 사랑스러우면서 아름답고 즐거울까요? 《멋진 하나》는 귀염글(동심천사주의)에 기대지 않으려 하고, 배움수렁(입시지옥)을 굳이 다루려 하지 않는구나 싶지만, 빛나는 숨결한테 마음으로 묻거나 이야기를 해보고서 쓴 글은 아니로구나 싶어 아쉽습니다. “잎사귀가 입이라면 얼마나 시끄러울까”라니, 잎사귀한테 이런 얘기를 하면 잎사귀는 얼마나 서운한 나머지 시들시들할까요? 말놀이하고 말장난은 다릅니다. 놀이는 노래로 나아가지만, 장난은 재주부리기를 거쳐 따돌림과 죽음길로 갑니다. 별자리를 짐승뜰(동물원) 테두리로 바라보는 눈길도 아쉽습니다. 이제 울타리를 좀 벗읍시다.


ㅅㄴㄹ


잎사귀가 입이라면 / 얼마나 시끄러울까 // 잎사귀는 귀라서 / 잘 들어주는 귀라서 // 새가 노래하러 오나 봐 / 가끔은 울고 가나 봐 (잎사귀/15쪽)


…… 사육사는 헤라클레스 해설사는 켄타우르스 / 울타리 없는 동물원이야 // 오늘 밤 / 별빛 동물원에 놀러올래? (별빛 동물원/24쪽)


미운 오리 새끼라고 / 모두 백조가 되는 건 아니래 // 우리 아빠는 / 미운 오리 새끼였는데 / 재밌는 오리가 되었어 // 우리 엄마는 / 미운 오리 새끼였는데 / 씩씩한 오리가 되었어 (미운 오리 새끼/60쪽)

.

.

얄궂은 말씨는 손질하자


눈물 속에 푹 잠겨 있을 거야

→ 눈물에 푹 잠길래

→ 눈물에 푹 잠기겠어

→ 눈물에 푹 잠기고 싶어


웃긴 오리가 되는 중이야

→ 웃긴 오리가 되지

→ 웃긴 오리가 되어 가지


하얀 도화지에 색칠할 게 많아졌다

→ 하얀종이에 그릴 빛깔이 많다

→ 하얀종이에 이모저모 그려야지

→ 하얀종이에 다 그릴래


거리두기 2단계 거리두기 3단계

→ 틈새두기 2걸음 틈새두기 석걸음

→ 떨어지기 2칸 떨어지기 석칸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철조망 조국 창비시선 97
이동순 지음 / 창비 / 1991년 9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노래책 2022.9.18.

노래책시렁 250


《철조망 조국》

 이동순

 창작과비평사

 1991.9.20.



  어릴 적부터 쇠가시울타리(철조망)를 어디서나 보았습니다. 인천 바닷가는 몽땅 쇠가시울타리로 둘렀고, 곳곳에 수두룩한 만듦터(공장)도 쇠가시울타리를 두르고, 다섯겹(5층) 나즈막한 잿빛집(아파트)도 쇠가시울타리를 두르고, 모든 배움터(초·중·고등학교)도 쇠가시울타리를 두르고, 골목으로 이은 집 가운데 쇠가시울타리를 두른 집이 많고, 유리병을 깨서 날카로운 조각을 담에 박은 집도 많았습니다. 그런데 쇠가시울타리를 높고 두껍게 두른 곳일수록 더 도둑이 들지 싶더군요. 바로 이곳이 넘볼 곳이라고 알리는 꼴인 쇠가시울타리랄까요. 《철조망 조국》을 읽으며 적잖이 숨막혔습니다. 엇갈리며 으르렁거리는 우리나라 민낯을 들여다보기에 숨막힌다기보다, 목소리만 높은 글자락이 숨막힙니다. 벼슬(정치권력)을 거머쥔 이들은 남녘도 북녘도 안 깨끗합니다. 흙을 일구는 수수한 사람들은 영호남이라서 다투지 않습니다. 붓을 휘두르는 이들이야말로 남·북녘으로 엇갈려 다투고, 영호남으로 맞물려 싸워 왔지 싶어요. 걷어낼 쇠가시울타리란 첫째로 벼슬이요, 둘째로 붓이요, 셋째로 돈·이름·힘이요, 넷째로 끈(학연·지연·혈연)입니다. 호미조차 쥐지 않은 맨손에 맨발로 풀밭을 디디고 서서 만날 때라야 아무런 울타리가 없습니다.


ㅅㄴㄹ


함께 지내며 서로 깔보거나 깎아내리지도 않고 / 한 나무에서 비바람 겪고 열매 맺어 / 이렇게 한 껍질 속에 다정하게 들앉은 품이 / 어쩌면 우리 통일조국의 모습과 이리도 꼭 같은지 (쌍밤/29쪽)


사방겹겹 빙 둘러쳐 답답하다 엔담이라 / 함석으로 높이 세운 붉게 녹슨 저 양철담 / 한번 가면 다시 못 볼 교도소라 벽돌담아 / 내 땅 속의 남의 땅 된 미군부대 꼬부랑담 / 담 중에도 가장 흉한 가시쇠줄 철조망담 / 남북간 영호남에 서로 막는 쌀쌀한 담 (담타령/7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끝끝내 너는 창비시선 53
나종영 지음 / 창비 / 1975년 10월
평점 :
절판


숲노래 노래책 2022.9.18.

노래책시렁 251


《끝끝내 너는》

 나종영

 창작과비평사

 1985.10.10.



  지난날 글(문학·비평)을 쓰는 이들은 으레 흙지기(농사꾼)를 치켜세웠으나, 스스로 흙지기로 살려고 서울(도시)을 떠나 시골로 가는 일은 아예 없다시피 했습니다. 오늘날 글을 쓰는 이들은 흙지기나 흙살림은 딱히 마음에 없고, 스스로 흙을 만져야겠다는 생각을 안 하는 채 서울 잿빛집(아파트)에 살면서 이따금 시골로 놀러갑니다. 《끝끝내 너는》은 1985년에 나옵니다. 2025년 눈길로 읽으면 어떨까요? 흙을 품으며 살아가기에 ‘흙사람’일 뿐, “흙의 사람”이지 않습니다. 흙빛으로 살며 흙말을 하는 사람은 “말이 서투를”까요? 백남준은 말이 안 서투르고 일본사람을 짝으로 맞이했기에 손가락질을 받아야 할까요? 흙사람을 노래하고 싶다면 스스로 흙빛을 품으면서 흙살림을 옮겨적으면 됩니다. 뉴욕이나 뉴저지를 비아냥거리려 한다면, 이 나라 서울하고 부산도 비아냥거려야 맞습니다. 광주도 너무 커다라니, 전남 작은시골로 깃드는 삶길을 헤아릴 노릇입니다. 낫을 쥘 일도 보습을 챙길 하루도 아닌 채 “낫과 보습”을 섣불리 앞세우기만 한다면, 정작 흙사람 곁에 서거나 어깨동무를 하지 않은 채, 서울살이(도시생활)에 젖은 글을 자꾸자꾸 쓰기만 한다면, 흙말은 어디로 가야 할까요. 들말은, 숲말은, 바닷말은, 멧말은?


ㅅㄴㄹ


낫과 보습을 가진 / 흙의 사람 되었으면 싶다 / 그의 말은 서투르나 / 우리들의 가슴을 따스하게 하고 / 가진 것 없으나 / 한줌 흙을 일구어 / 땀 흘리는 사람들이 함께 웃고 사는 / 우리가 제대로 누울 땅을 / 일으키리라 (詩/9쪽)


워커힐 빌라에서 그는 말했다 / 비 뿌리는 한강을 바라보면서 원더풀 / 지구를 반 바퀴 돌아 멀고 먼 곳 / 뉴저지의 아름다운 호반을 생각하는 그는 / 20세기의 신화를 파는 예술 / 비디오 아트에 대해서 말했다 / 한 잔의 토마토 쥬스와 한 조각 후렌치 토스트로 / 아침 식사를 마친 그는 / 전쟁통의 고국을 떠나 뉴욕이나 쾰른 그리고 비사바덴에서 / 일본인 아내 구보다 시게꼬와 함께 누릴 수 있는 / 천 퍼센트의 자유에 대해서 말했다 / 거침없이 피아노를 두들겨 부수고 (백남준/24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착하게 살아온 나날 민음사 세계시인선 리뉴얼판 31
조지 고든 바이런 외 지음, 피천득 옮김 / 민음사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2022.9.8.

노래책시렁 247


《착하게 살아온 나날》

 조지 고든 바이런 외

 피천득 옮김

 민음사

 2018.6.1.



  책집에서 책을 장만하는데 책집지기가 책을 힐끗 보다가 풋 하고 웃음을 터뜨린 일은 꼭 두 판입니다. 처음은 《밥벌이의 지겨움》을 살 적인데, 책집지기 할배는 “지가 밥벌이를 얼마나 해봤기에 지겹다고 말해?” 하고 대뜸 한마디했습니다. 다음은 《착하게 살아온 나날》을 살 적으로, 책집지기 할매는 “착하게? 착하게 산 사람이 다 얼어죽었나?” 하고 불쑥 한마디했습니다. 저는 그저 책을 장만해서 읽을 마음이었는데, 예순줄을 훌쩍 넘긴 두 책집지기님이 책을 쓴 사람이 붙인 책이름을 보고서 어이없어 너털웃음에 핀잔을 하시기에 퍽 놀랐습니다. 그러고 보면, 다른 책집지기님도 애써 말을 삼갔지만, 책이름을 보고 말없이 “허허허!”라든지 “제가 책을 팔기는 합니다만 이런 책은 ……” 한 적이 제법 있어요. 피천득 님이 이웃나라 노래를 우리말로 옮긴 지 제법 된 줄 알고, 이 책에 실은 노래는 진작 읽기는 했습니다. 다 읽은 노래를 굳이 산 까닭은 딱 하나예요. 옮긴이가 새로 쓴 머리말이 알쏭달쏭할 만큼 오락가락했거든요. 총칼로 쳐들어온 일본이지만, 이 일본한테 사로잡힌 이 나라 글꾼이 수두룩한 민낯에, 배부른 살림이었으면서 글로만 가난을 노래한 두동진(모순) 모습은 하나도 안 착하거든요.


ㅅㄴㄹ


나는 열다섯 살 무렵부터 일본 시인의 시들 그리고 일본어로 번역된 영국과 유럽의 시들을 읽고 시에 심취했습니다. (옮긴이 말/5쪽)


우리나라에도 시인이 참 많은데, 나는 그들에게 이런 말을 들려주고 싶습니다. 시인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다름 아닌 자존심이라고 말입니다 … 불행하게도 우리나라의 시인들 중에는 권력 앞에 굴종하고 위정자들에게 의탁한 시인들이 있습니다. 이익을 바라서 순정을 파는 것은 시인의 도리가 아닙니다 … 사실, 나는 안정적인 삶을 살아왔습니다. 글을 써서 이름도 얻었고 대학교수도 했습니다. 그런데 나는 이런 사실이 너무도 송구스럽습니다. (옮긴이 말/7쪽)


※ 고칠 말씨

백설이 희다면은 그의 살갗 검은 편이

→ 눈이 희다면은 그이 살갗 검기를

→ 흰눈 곁이면 그사람 살갗 검도록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