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의 거처 창비시선 100
김남주 지음 / 창비 / 199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숲노래 시읽기 2022.10.21.

노래책시렁 239


《사상의 거처》

 김남주

 창작과비평사

 1991.11.25.



  요새 ‘김남주’라는 노래님을 곁에 두는 분이 드문 듯싶습니다. 떠난 지 제법 된 노래님을 굳이 떠올릴 까닭이 없을 수 있으나, “김남주 안 읽기”에는 여러 속뜻이 흐릅니다. 이를테면 ‘리얼리스트’란 영어를 읊는 글바치(지식인)가 많은데, 그들 가운데 누가 잿빛집(아파트) 아닌 오르막길 작은 골목집에 깃들어 하루를 보낼까요? ‘다큐멘터리 작품을 만들’려고 가난한 사람을 찾아가는 리얼리스트는 많습니다만, 정작 스스로 가난한 살림을 꾸리는 이는 드물어요. ‘안 가난한 사람이 만드는 다큐멘터리 작품’은 ‘가난한 살림살이’를 얼마나 제대로 그릴까요? 《사상의 거처》에 〈똥파리와 인간〉이라는 대단한 노래 한 자락이 실렸습니다. 안치환 님이 가락을 입히기도 한 노래입니다. “똥 없이 맑고 깨끗한 데”에서 살거나 “돈 없이 가난하고 한적한 데”에 가서 살림하지 않고서야, 함부로 붓을 쥐지 말 노릇이라고 생각합니다. 가멸찬(부자) 살림이기에 글을 안 써야 하지 않아요. 가멸찬 살림이라면 가멸찬 그대로 쓰면 되는데, ‘가멸찬 주제’에 ‘가난한 흉내’를 내니, 이 나라는 온통 거짓글판입니다. 가멸차기에 창피하지 않아요. 꾸미거나 거짓말을 하기에 창피합니다. “생각이 있는 곳(사상의 거처)”을 볼 노릇입니다.


ㅅㄴㄹ


바닷가가 처음이라는 내 친구는 / 낙조의 파도에 사로잡혀 몸둘 바를 모르고 / 농부의 자식인 내 가슴은 제방 이쪽 / 가뭄에 오그라든 나락잎에서 애를 태운다 // 뿌리가 다르고 지향하는 바가 다른 / 가난한 시대의 가엾은 리얼리스트 / 나는 어쩔 수 없는 놈인가 구차한 삶을 떠나 / 밤별이 곱다고 노래할 수 없는 놈인가 (가엾은 리얼리스트/16쪽)


인간은 돈이 많이 쌓인 곳에 가서 / 무리지어 웅성거리며 산다 그곳이 어디건 / 범죄의 소굴이건 아비규환의 생지옥이건 상관 않고 // 보라고 똥 없이 맑고 깨끗한 데에 가서 / 이를테면 산골짜기 옹달샘 같은 데라도 가서 / 아무도 보지 못할 것이다 떼지어 사는 똥파리를 // 보라고 돈 없이 가난하고 한적한 데에 가서 / 이를테면 두메산골 외딴 마을 깊은 데라도 가서 / 아무도 보지 못할 것이다 무리지어 사는 인간을 (똥파리와 인간/104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리창에 이마를 대고 창비시선 27
이가림 지음 / 창비 / 1981년 5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노래책/숲노래 시읽기 2022.10.21.

노래책시렁 238


《유리창에 이마를 대고》

 이가림

 창작과비평사

 1981.5.30.



  요새는 아이들이 말을 못 배우고 글을 배웁니다. 예부터 아이들은 말을 배우면서 마음을 가꾸는 길을 스스로 노래로 돌보고 무럭무럭 자랐어요. 오늘날 아이들은 말하고 동떨어지면서 글을 꾸미는 하루에 길들어요. 《유리창에 이마를 대고》는 퍽 잘 꾸민 글입니다. 반드레레하게 손질해 놓은 글입니다. 이렇게 꾸미거나 손질한 글이기에 ‘시’라는 이름을 붙이는구나 싶습니다. 이처럼 꾸미거나 손질한 글은 나쁠 수 없습니다. 그저 ‘꾸민 글’이나 ‘손질한 글’에 그칠 뿐입니다만, ‘문학’으로 가르치거나 배우는 자리에서 들려주거나 외우더군요. 왜 배움판(학교·강의)에서는 ‘꾸민 글’이나 ‘손질한 글’만 들려주거나 외우거나 따라쓰도록 할까요? 왜 삶글이 아닌 꾸밈글을 베껴쓰기(필사)를 시키거나 할까요? 왜 살림글이 아닌 꾸밈글에만 ‘문학’이란 껍데기를 씌울까요? 모든 ‘글자랑(문학상·백일장)’은 덧없습니다. 누구나 날마다 삶을 이야기하면 넉넉할 뿐이요, 이 이야기를 옮기면 고스란히 글입니다. 자랑할 삶이 아니니, 자랑할 글이 아닙니다. 말(국어)과 노래(문학)는 셈겨룸(시험문제)으로 다룰 수 없고, 가르칠(강의) 수 없습니다. 스스로 삶을 가꾸는 사람은 스스로 삶을 노래합니다. 삶이 없으니 멋을 찾더군요.


ㅅㄴㄹ


나를 짓밟아다오 제발 / 수세식 변소에 팔려 온 이 비천한 몸 / 억울하게 모가지가 부러진 채 / 유리컵에나 꽂혀 썩어가는 외로움을 / 이 눈물겨운 목숨을, 누가 알랴. / 말라비틀어진 고향의 얼굴을 만나면 / 죽고 싶다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 슬픈 전라도 계집의 죄, / 풀꽃들만 흐느끼는 낯익은 핏줄의 벌판은 / 이미 닳아진 자를 받아주지 않는다. (오랑캐꽃 1/26쪽)


가시내야, 가시내야 / 우리도 예전엔 / 한개 고운 피리였단다 / 가느랗게 心琴 울리는 피리였단다 (피리타령/46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피어라 돼지 문학과지성 시인선 480
김혜순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숲노래 시읽기 2022.10.21.

노래책시렁 248


《피어라 돼지》

 김혜순

 문학과지성사

 2016.3.3.



  허물을 벗기 어렵다고 말하지만, 어렵다고 여기는 둘레 마음을 스스로 받아들이니까, 스스로 어려운 척입니다. 고치에 들어가면 깨어나기 어렵다고들 하는데, 고치에 깃들어 잠드는 까닭은 모든 옛모습을 고스란히 내려놓고서 나비로 태어나려는 꿈인 터라, 잘 했건 못 했건 다 놓아야 하는데 그만 안 놓으려 하니 나비로 못 깨어날 뿐입니다. 남이 불러 주는 이름에 젖으면 스스로 지을 이름을 잊습니다. 치켜세우거나 깎아내리거나 대수롭지 않아요. 남이 내 삶을 누리지 않아요. 내가 남 삶을 즐기지 않아요. 나는 오로지 나인 줄 느끼고 알면 됩니다. 《피어라 돼지》는 스스럼없이 터뜨리는 말과 숨결과 목소리와 발걸음이 환하게 드러납니다. 이렇게 말을 하고 숨결을 드러내며 목소리를 밝히고 뚜벅뚜벅 걸어갈 줄 아는 노래님이 우리나라에 있구나 싶어 놀랍습니다. 다만, 아직 바깥(사회·문단·언론·독자)에 얽매이는구나 싶어요. 굳이 바깥을 쳐다보면서 목소리를 내거나 움직여야 하지 않아요. 입방아를 찧건 말밥에 올리건 왜 쳐다봐야 할까요? 글밭(문단)에 기웃거리거나 달책(문학잡지)에 글을 실어야 노래님일 수 없습니다. 언제나 스스로 오늘을 노래하는 사람이기에 노래님입니다. ‘시인’이 아니라면 누구나 ‘노래’를 합니다.


ㅅㄴㄹ


사실 이 나이의 여자가 사랑한다고 말하는 것은 / 우리나라에선 죄를 짓는 일과 같습니다 / 수박에게나 말해야 하는 것입니다 / 사랑이라고 하는 세상의 저속을 생각해봅니다 (수박은 파도의 기억에 잠겨/79쪽)


적어주는 대로 읽어대는 코리안 앵커처럼 / 이해도 피해도 없는 종잇장에 박힌 평평한 말씀 …… 울며불며 애원해도 척결! 척결! / 모릅니다, 제 소관이 아닙니다 / 질문은 받지 않습니다, 라고 외치는 걸 가장 좋아하는 / 국어사전 고양이가 펼쳐주는 납작한 말씀 (국어사전 아스퍼거 고양이/19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슴을 재다 푸른사상 시선 150
박설희 지음 / 푸른사상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숲노래 시읽기 2022.10.21.

노래책시렁 253


《가슴을 재다》

 박설희

 푸른사상

 2021.11.10.



  사람들 누구나 노래(시)를 쓸 노릇이라고 생각합니다. 지난날에는 누구나 노래를 썼고 불렀고 지었고 나누었습니다. ‘지난날 누구나’라 할 적에는 임금·벼슬아치·글바치를 뺀 모든 사람입니다. 임금·벼슬아치·글바치는 우리말을 안 쓰고 중국말을 읊고 한문을 적었습니다. 붓힘을 쥔 이들한테는 노래가 없이 이름(명예)·돈(재산)·힘(권력)만 흘렀습니다. 붓·먹·벼루·종이를 구경조차 못 하던 수수한 사람들은 흙·풀꽃나무·비바람·해·별·바다·숲을 품으면서 손수 살림을 짓고 삶을 누리며 사랑을 나누었기에, 아이를 낳아 돌보는 나날을 고스란히 노래로 옮겨서 일하거나 놀거나 쉬거나 늘 새롭게 피어났습니다. 《가슴을 재다》를 읽었습니다. ‘글’이라는 허물을 내려놓을 수 있다면 노래로 피어나리라 봅니다. ‘문학’이라는 고치에서 나올 수 있다면 노래가 되리라 봅니다. ‘시’라는 이름을 벗을 수 있다면 바로 노래로 나아가리라 봅니다. 남을 구경한 모습을 옮길 적에는 노래하고 멉니다. 그리 멀잖은 지난날 누구나 부르고 나누며 아이들이 물려받아 새로 부르던 노래는, 늘 스스로 짓는 삶을 스스로 바라보면서 울고 웃은 오늘입니다.


ㅅㄴㄹ


지구가 내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면 / 휘파람소리일 거야 / 마실 나온 청년처럼 / 설렘과 감탄을 실은 휘파람 (휘파람/40쪽)


길 한복판에 있던 장끼가 / 자동차를 뒤늦게 발견하고 / 허둥지둥 길을 가로질러 // 달린다, 새가, 장끼가, / 날개를 접고 / 길짐승처럼 마구 달린다 (위기/68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주 선 나무
유경환 지음, 이혜주 그림 / 창비 / 200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시읽기 2022.9.24.

노래책시렁 245


《마주 선 나무》

 유경환

 창작과비평사

 2002.11.30.



  〈조선일보〉에서 글꾼(기자)으로 일했기에 나쁜 사람일 수 없습니다만, 서슬퍼렇던 나날 그곳에서 일삯을 받은 사람을 좋게 보기는 어렵습니다. 더구나 문화부장·편집부장·논설위원을 하면서 우두머리(대통령)를 비롯한 힘꾼(권력자)하고 사이좋게 지낸 이가 노래꽃(동시)을 썼다면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까요? 더구나 이 노래꽃을 ‘창비어린이(창작과비평사)’에서 선보였다면, 펴냄터가 넋이 나갔다고 밝히거나 ‘윤석중 동심천사주의를 어린이한테 펴야 한다’는 뜻을 밝혔다고 여길 만해요. 《마주 선 나무》를 읽으면 “때묻은 깃발”이라든지 “나만이 아는 그리운 노래”라든지 “1학년 그 귀여운”처럼 도무지 어린이스러울 수 없는 눈길을 엿볼 만합니다. 아이를 귀염둥이로 내려다보는 ‘귀염글(동심천사주의)’이자, ‘어른만 느끼는 옛생각(추억)에 잠긴 글치레’입니다. 아이들은 “때묻은 깃발”을 말하지 않을 뿐 아니라, “그리운 노래”를 읊을 때가 아니에요. 신나게 땀흘리며 뛰놀며 노래를 쩌렁쩌렁 외칩니다. 누구나 글을 쓸 노릇이요, 어느 곳에 몸을 담갔어도 나쁠 수 없습니다. 그저 구경하는 마음이나 몸짓은 구경스런 글에 스스로 갇히고, 구경할 뿐이기에 자꾸 꾸미고 치레하고 덧바릅니다. 그만 구경하고 삶자리로 갑시다.


ㅅㄴㄹ


기차 / 지나간 뒤 // 때묻은 / 깃발처럼 // 흩날린다. (뒷모습/14쪽)


층계를 내려올 땐 / 가슴 속 / 노래가 / 찰랑대지요 // 나만이 아는 / 그리운 노래를 / 심심할 땐 혼자서 / 부르지요. (혼자 노는 아이/26쪽)


깃발처럼 나부끼는 잎 / 마음껏 뻗어 기지개 켜던 팔 // 1학년 그 귀여운 두 귀에 / 얼마나 옛얘기 담아 줄 수 있을까 (나무의자/118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