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끝 거창 현대문학 핀 시리즈 시인선 18
신용목 지음 / 현대문학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숲노래 시읽기 2022.11.26.

노래책시렁 263


《나의 끝 거창》

 신용목

 현대문학

 2019.3.25.



  제 몸을 보면서 “운동 하셔요? 무슨 운동 하셔요?” 하고 묻는 분이 많습니다. 늘 빙그레 웃으며 “따로 ‘운동’을 안 해요. ‘집안일’을 하고, 걷고, 자전거를 타고, 풀꽃나무 곁에서 살고, 맨발로 숲을 걷고, 해바람비를 먹고, 등짐으로 책을 나릅니다.” 하고 얘기합니다. 나라를 아름다이 다스리려면 살림집부터 아름다이 다스리면 됩니다. ‘집’을 ‘살림집’으로 가꾸고 ‘숲집’으로 보듬을 적에, 저절로 ‘살림마을·숲마을’로 피어나고 ‘살림나라·숲나라’로 잇습니다. 《나의 끝 거창》을 읽었습니다. ‘운동’하던 지난날하고, 그무렵 어울리던 사람들 이야기가 흐릅니다. 지난날 겪고 보고 느끼고 맞아들이 쓴맛하고 생채기를 오늘날에도 고스란히 이어가는구나 싶은데, ‘바깥물결(사회운동)’을 쳐다볼 적에는 ‘속살림(집안일)’하고 등지게 마련입니다. 둘레에서 일어나는 얄궂은 모습에 눈감기는 어렵겠지요. 그러나 언제나 우리 보금자리가 먼저요, 이 보금자리에서 뛰놀며 웃고 노래할 아이들이 먼저입니다. “아이들을 돌보고 사랑할 살림을 누리려고 나라를 뜯어고치려는 길”이지 않을까요? 아이들을 등지거나, 아이들하고 어깨동무할 수수하며 쉬운 말을 잊은 채 ‘운동’만 한다면, 우리한테는 빈 껍데기만 남습니다.


ㅅㄴㄹ


전화해서 니 거서 뭐하노? 시 쓴다 카지 말고 빨리 와서 노동운동 해야 안 되겠나! / 말했었다 창원 간 날 / …… / 후배 창근이는, 이라크 전쟁 반대 인간 방패를 짜더니 나중엔 양심적병역거부로 수감되었다 (기념일/28쪽)


손 흔들기 좋은 창문을 달고 / 버스는 곧 도착할 것이다 멈출 것이다 멈춘 채, 앞의 차 한 대를 먼저 보내고 / 또 한 대를 보내고 (종점/9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규동 시전집
김규동 지음 / 창비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숲노래 시읽기 2022.11.26.

노래책시렁 265


《생명의 노래》

 김규동

 한길사

 1991.10.5.



  스스로 사랑인 사람은 예부터 마음을 나누었습니다. 스스로 사랑이 아니라면 ‘껍데기라는 몸’은 있되, ‘목숨이 없다’고 여겼습니다. 아이를 낳아 돌보는 어버이는 언제나 아이랑 한몸에 한마음으로 살림을 지으면서, 아이 삶결을 헤아리는 말씨를 가다듬습니다. 아이를 안 낳을 뿐더러 안 돌본다면, ‘나이는 먹’되, ‘어질거나 슬기롭지 않다’고 여겼습니다. 우리 집 아이가 없어도 이웃 아이에 마을 아이가 있습니다. 온누리 아이들이 있어요. 이 아이들을 한동아리로 바라보면서 사랑하는 숨결을 스스로 품지 않는다면, 모든 말글이나 몸짓은 겉치레입니다. 《생명의 노래》를 되읽습니다. 이제는 ‘생명의’ 같은 일본말씨를 떨칠 수 있는 글살림일까요? 글님은 늘 ‘어머니·어머님’을 그립니다. 모든 글은 어머니로 열고 어머님으로 닫는다고 할 만합니다. 어머니를 그릴 만하고, 텃마을(고향)에 가 보고 싶을 만합니다. 그런데 어머니도 예전에는 아이였고, 우리는 어느새 어버이(어머니·아버지) 자리에 서게 마련입니다. 태어난 곳만 아름답게 돌아볼 수 없어요. 발 닿는 모든 곳이 아름다이 피어나는 마을입니다. 노래는 놀이에서 나왔습니다. 놀이에서 노래가 나와요. 아이 마음으로, 아이 눈빛으로, 아이 마음을 펴기에 노래입니다.


ㅅㄴㄹ


깎인 나무토막처럼 / 어머님의 손은 차다 / 야위고 지친 그 손에 / 그러나 / 아름다운 조선은 침묵처럼 새겨져 있다 (어머님의 손/14쪽)


어머니 / 조금 쉬세요 / 가을날 옥수수대같이 / 가느다란 모습 하시고 / 무슨 일 그리도 많이 하시나요 / 백두산 가까운 곳 / 멀리 두만강이 흐르고 / 바라뵈는 건 산과 하늘뿐인 고향마을 (대신 할께요 어머니/8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종이학 한 쌍이 깨어날 때까지 푸른사상 산문선 7
이소리 지음 / 푸른사상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숲노래 시읽기 2022.11.26.

노래책시렁 267


《홀로 빛나는 눈동자》

 이소리

 한길사

 1991.4.30.



  술이라고 하면, 밥술(밥숟가락)이나 꽃술(꽃수술)을 먼저 떠올립니다. 어린이한테 술이란 밥살림하고 꽃살림하고 얽혀요. 어른들은 술이 ‘술술’ 넘어간다고 말합니다. 이 ‘술’이란, 물처럼 넘어가는 밥일 테고, 물로 삼는 꽃빛일 수 있습니다. 알맞게 누리는 길을 갈 적에는 무엇이든 넉넉하고 아름답습니다. 넘치는 길을 가면 죄 바보스럽고 멍청합니다. 밥보가 되거나 술보가 되면 스스로 무너져요. 《홀로 빛나는 눈동자》를 읽으면 술 얘기가 자주 나옵니다. 글쓴이는 나중에 ‘막걸리’ 이야기를 책으로 여미기도 합니다. 술에 빠져서 술만 읊는다고도 여길 만합니다. 하루 한 병하고 한 해 한 병은 얼마나 다를까요? 하루 한 모금하고 한 해 한 모금을 가만히 맞아들일 수 있을까요? 가만 보면, ‘민중문학’이라는 이름이든 ‘대중문학’이라는 이름을 달든, 온통 술판이나 노닥판입니다. 알맞게 누리는 길을 문득 곁들이는 일은 드물어요. 넘술에 막술입니다. 나라가 썩어빠졌고 벼슬꾼이 도둑놈이고 속이 부글부글하기에 거나하게 들이부어 다리가 후들거리고 넋이 나갈 노릇이라고 여길 수도 있습니다만, 다시 생각해 봐요. 아기를 돌보고 아이하고 살림을 지으려면 술냄새를 지워야 합니다. 해롱거리는 글은 스스로 치웁시다.


ㅅㄴㄹ


월급날 / 밀려오던 외상값 갚고 / 오랫만에 제법 큰소리 치며 / 동료들과 수입 삼겹살을 씹는다 / 화알활 타오르는 수입가스 불꽃 위에 / 치지직 익어가는 미제의 살덩이 / 대창 같은 젓가락으로 / 이리 뒤지고 저리 뒤지며 / 정신없이 쇳가루 쌓인 속을 채우면 / 어느새 우리 몸뚱이도 미제가 된다 (삼겹살을 씹으며/30쪽)


우리의 소원은 휴식 / 꿈에도 소원은 휴식 / 어제는 체육대회 연습잔업을 마치고 / 기가 막혀 마신 소주 몇 잔에 / 온몸이 홍시처럼 불어터졌지만 / 오늘은 국정 공휴일인 한글날 새벽 / 선진세상 앞당기는 공장으로 가야지 / 웃도리는 빨강색 / 바지는 청색으로 통일하라는데 (우리의 소원―한글날·2/49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개를 위한 노래
메리 올리버 지음, 민승남 옮김 / 미디어창비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숲노래 시읽기 2022.11.13.

노래책시렁 261


《개를 위한 노래》

 메리 올리버

 민승남 옮김

 미디어창비

 2021.3.15.



  저는 집에서 고양이도 개도 기르지 않습니다. 귀염짐승도 곁짐승도 두지 않습니다. 사람이건 짐승이건 저마다 제 숨결을 헤아리면서 스스로 살아가면서 어우러지면 아름다우리라 생각합니다. 다만, 시골이 아닌 서울(도시)에서 살아가는 분이라면, 또 시골에서 살되 혼자 쓸쓸하다고 여기는 분이라면, 얼마든지 귀염짐승이건 곁짐승이건 둘 만하리라 봅니다. 겉모습만 ‘사람·짐승’으로 다를 뿐, 둘은 마음으로는 같아요. 《개를 위한 노래》를 읽으며 ‘우리말로는 참 못 옮기는구나’ 하고 느꼈습니다. 우리한테는 우리말이 있는데 왜 일본말씨나 옮김말씨를 써야 할까요? 일본말씨나 옮김말씨를 멋부리듯 써야 노래(시)가 되지 않아요. 삶을 삶 그대로 바라보면서 적으면 노래입니다. 메리 올리버 님이 쓴 글이 노래라면, 늘 개를 곁에 두면서 함께 생각하고 바라보고 살아가는 마음이기 때문일 테지요. 이 수수한 삶을 수수한 숨결대로 살리면 넉넉합니다. 부디 멋을 부리지 마요. 사람 곁에 있는 숱한 짐승도 풀꽃나무도 멋일 수 없습니다. 다 다른 숨결일 뿐입니다. 저마다 다르기에 늘 새롭게 피어나는 눈빛을 읽는다면, 누구나 붓을 쥐어 글 한 자락 척척 적으면서 노래로 가꿀 만합니다. 삶을 안 쓰고 멋을 부리면, 노래란 없습니다.


ㅅㄴㄹ


당신은 동의하지 않을지도 몰라, 신경 쓰지 않을지도 몰라. / 그래도 / 만일 이 책을 들고 있다면 당신은 이걸 알아야 해. / 내가 사랑하는 이 세상의 모든―많고 많은― 광경들 / 그 목록의 꼭대기쯤에 / 목줄을 하지 않은 개들이 있다는 걸. (만일 당신이 이 책을 들고 있다면/14쪽)


대학에서 시를 가르칠 우아한 새 강의실을 / 내줬어. 한 가지만 지켜주세요. / 개는 데려오실 수 없어요. 그들이 말했어. / 계약서에 있어요, 내가 말했어. (난 그 사실을 분명히 해뒀거든.) (시 선생/37쪽)


#DogsSong #MaryOliver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북상징어사전 실천문학 시집선(실천시선) 194
하종오 지음 / 실천문학사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숲노래 시읽기 2022.11.8.

노래책시렁 258


《남북상징어사전》

 하종오

 실천문학사

 2011.9.20.



  어떤 총칼(전쟁무기)로도 아름길(평화)을 지키지 않습니다. 그러나 숱한 나라 우두머리는 자꾸 총칼을 새로 만들 뿐 아니라, 더 세고 무시무시한 총칼을 앞세우거나 자랑합니다. 북녘은 끝없이 총칼을 새로 만듭니다. 남녘도 매한가지입니다. 북녘은 새로 만든 총칼을 펑펑 쏘아올려 땅을 망가뜨리거나 바다를 더럽혀요. 남녘은 새로 만든 총칼을 여러 나라에 내다팔면서 ‘방산 수출’을 외치지요. 바다에 떨어뜨려 꽝꽝 터뜨리면 바다살림이 망가지는 줄 깨달으면서 북녘·남녘 모두 미친짓을 그만두라고 목소리를 내는 이는 어디에 있을까요? 《남북상징어사전》은 언뜻 ‘한겨레 두나라’가 손을 맞잡는 길을 그리는 듯하지만, 속을 보면 ‘돈이 없는 나라를 얕보는’ 마음이 짙게 흐르는구나 싶어요. “남한의 자본과 북한의 노동이 결합(24쪽)” 같은 말은 북녘은 돈도 머리도 없이 몸만 쓰면 된다는 마음이기에 읊습니다. 보셔요. 갈수록 남녘은 시골이 무너지고 몸쓰는 일을 하는 사람이 사라집니다. 논밭일도 뚝딱질(공장노동)도 온통 이웃일꾼(이주노동자)이 맡는 판이에요. 어깨동무(평화)를 이루려면 총칼뿐 아니라 우두머리·벼슬꾼을 치울 노릇입니다. 돈될 일을 따지지 말고, 살림을 손수 짓는 마음을 그리고 노래할 때입니다.


ㅅㄴㄹ


남한에서 살아남은 기업은 / 북한에서도 살아남는다는 신념을 가진 그, / 턱없는 낙관이기는 해도 / 남한의 자본과 북한의 노동이 결합하면 / 야외 광고판을 수두룩하게 세울 수 있다는 그, (광고기획자 하종오 씨의 구상/24쪽)


처지가 같아도 / 북한 출신 여인들과 베트남 출신 여인들은 마주치면 살짝 웃을 뿐/ 한데 어울리다가 남한 여인과 다른 티를 보이고 싶진 않았다 (춘하추동/137쪽)


우리나라 환경단체는

언제쯤 ‘환경지키기’ 목소리를 낼까?

바다에 때려박는

‘해상 풍력·태양광’이

바다를 얼마나 망가뜨리고 죽이는가에

입을 다무는 환경단체는

남북 군대가 바다에

미사일을 펑펑 쏘아대며 터뜨리는 짓에도

입을 다무는구나.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