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꽃 당신이 올 때 사과꽃 시선 3
신현림 지음 / 사과꽃 / 2019년 2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2023.1.24.

노래책시렁 268


《사과꽃 당신이 올 때》

 신현림

 사과꽃

 2019.2.25.



  남한테 이러구러 잔소리를 해본들 달라질 일이 없습니다. 남한테 따질 까닭이 없이 내가 나한테 사랑노래를 들려주면서 스스로 피어나면 됩니다. 노래(시)란 남한테 자랑하거나 보여주려는 글가락이 아닙니다. 글꽃(문학)이란 남한테 읽히려고 멋부리는 글자락이 아닙니다. 언제 어디에서나 스스로 마음에 사랑씨앗을 심으면서 생각을 밝혀 나부터 꽃으로 피어나기를 바라는 하루를 살아낸 자취를 가만히 담거나 옮기기에 노래요 글꽃입니다. 《사과꽃 당신이 올 때》은 제자리걸음조차 아닌 뒷걸음을 드러냅니다. 신현림 님이 큰고장(대도시)이 아닌 시골로 터전을 옮겨 풀꽃나무를 이웃삼고 해바람비를 동무삼는다면 글결이 활짝 피어나리라 생각합니다. 큰고장에 깃들어 서울곁에 머물 적에는 어쩔 길 없이 서울바라기로 머뭅니다. 서울마실을 안 해야 한다는 뜻이 아니에요. 서울바라기 아닌 숲바라기일 적에 말꽃이 깨어나고, 이 말꽃이란 마음꽃이게 마련입니다. 마음꽃을 말꽃으로 읊을 줄 안다면, 말꽃은 저절로 글꽃으로 옮아갑니다. 꾸밀 까닭이 없이 온하루가 노래꽃입니다. 다만, 서울도 부릉이(자가용)도 잿집(아파트)도 버려야 합니다. 글을 쓰고 노래를 부르고 싶다면, 누구나 숲을 품는 숲순이에 시골돌이로 살림을 지으면 됩니다.


ㅅㄴㄹ


인생 대부분을 건물에서 사는 우리가 / 우주, 인생 전체를 어찌 느낄 수 있을까 / 중심을 가지고 세상을 잘 볼 수 있을까 / 뼈 빠지게 일하는 몸은 / 왜 이리 쉼 없이 돌아가는 공장일까 (지금 울고 싶은 곳/37쪽)


나는 촛불을 왜 들었나? / 묻게 되는 나날이다 / 한국바퀴가 잘 구르지 않아 / 하늘 위에서 타고 있었다 / 물과 밥그릇을 놓칠까 봐 의협심은 (체게바라와 걷던 시간/47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 문장 문학과지성 시인선 504
김언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2023.1.23.

노래책시렁 270


《한 문장》

 김언

 문학과지성사

 2018.1.8.



  다른 사람은 그저 다릅니다. 다르기에 ‘다르다’라 할 뿐입니다. 둘레에서는 한자말로 ‘유별·구별·개별’이나 ‘특별·특이·특수’나 ‘차·차이·차별’로 나타내곤 하지만, 그저 ‘다르다’일 뿐입니다. 글만 보며 글만 쓰는 사람이라면, 글이 굴레이곤 합니다. 말을 담는 글인 줄 읽으면, 글결이 조금 다릅니다. 마음을 담은 말을 옮긴 글인 줄 읽으면, 글빛이 조금 납니다. 살림하는 마음을 담은 말을 옮긴 글인 줄 읽으면, 글자락이 살아납니다. 사랑으로 살림하면서 마음에 숲을 담는 말을 옮기는 글로 씨앗을 심으려는 생각까지 읽으면, 비로소 이웃하고 나누면서 노래하는 글로 나아갑니다. 《한 문장》을 읽었습니다. 몇 벌 되읽다가 접었습니다. 글을 글로만 뚝딱거리면 이 나라에서는 보람(훈장·상패)을 주곤 합니다. 글에 숲빛이나 마음꽃이나 살림길을 얹으면 이 나라에서는 알아보지 않거나 파묻곤 합니다. ‘문학’도 ‘시’도 아닌 ‘노래’를 부르면서 ‘놀이’를 ‘노늘(나눌)’ 줄 아는 눈망울을 틔우기를 바라요. 우리말이 왜 우리말인 줄 처음부터 새롭게 배우고서 다섯 살 시골아이 눈망울로 한 마디를 읊을 적에 비로소 노래가 깨어납니다. 먹물로 길들이는 글은 늘 굴레입니다. 먹빛 아닌 숨빛을 담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나는 슬퍼하고 있고 슬퍼지고 있고 슬프고 있고 그래서 슬프다. (있다/10쪽)


참치집에 예약을 했다. 조용한 방을 부탁했다. 조용한 방에서 참치가 나왔다. 조용한 참치는 끝없이 나왔다. 우리들 입속으로 들어가서 더 조용해졌다. 꿀꺽 삼키는 소리도 조용해졌다. 참치는 조용히 나와서 조용히 사라졌다. 간만의 대화도 간만에 나와서 조용해졌다. (참치/73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옷 생각 브로콜리숲 동시집 32
신재섭 지음, 구해인 그림 / 브로콜리숲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동시읽기 2023.1.7.

노래책시렁 281


《시옷 생각》

 신재섭

 브로콜리숲

 2022.1.20.



  우리가 쓰는 말은 하늘에서 왔습니다. 하늘을 바라보면서 바람빛을 읽고 햇빛을 살피고 별빛을 헤아린 사람들이 스스로 지었거든요. 우리가 쓰는 말은 들숲에서 왔습니다. 들숲을 이룬 흙을 읽고 풀꽃을 살피고 나무를 헤아린 사람들이 손수 지었어요. 우리가 쓰는 말은 오늘 태어났습니다. 아이를 낳아 돌보는 어버이가 문득 사랑을 새롭게 알아보면서 짓고, 어버이랑 한집살림을 누리는 아이가 시나브로 사랑을 새롭게 돌아보면서 함께 지었어요. 《시옷 생각》을 쓴 분도 이 노래책을 읽을 어린이도 으레 잿집(아파트)에 살겠거니 싶습니다. 요새는 잿집 아닌 데에 사는 사람이 드물고, 시골조차 잿집이 우르르 올라옵니다. 어린이가 다니는 배움터도 잿집을 닮아요. 지난날 배움터는 시골집스레 ‘마당 있는 살림집’을 닮았다면, 오늘날 배움터는 서울스레 ‘마당 없고 전자제품 넘치는 잿집’을 닮습니다. 이러다 보니 ㅅ을 살피는 글도 서울스럽고, 개구리도 들숲이 아닌 싱싱칸(냉장고)에서 찾는 글이 태어납니다. 잿집은 잿빛입니다. 잿집에서는 씨앗이 싹트지 않습니다. 잿집에 깃들면 하늘도 흙도 바람도 별도 바라볼 틈이 없습니다. 이제는 잿집을 훌훌 털고서 어린이하고 맨손 맨발 맨몸으로 들판에 서야 비로소 어른스러우리라 봅니다.


ㅅㄴㄹ


우리 집 냉장고에 / 개구리가 살아요 // 개록개록 개고르르 개고르르 / 밤낮으로 울어요 // 겨울이 되자 몸을 떨며 / 캐륵캐륵 캐르르 캐르르 울어요 (개구리 냉장고/30쪽)


옷, 깃발, 햇살, 날갯짓, 빗방울 …… // 시옷이 들어간 말에는 바람이 스치는 것 같아 / 내 머릿결 쓸어 주는 엄마의 손가락빗처럼 (시옷 생각/72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짜장면이 오면 상상의힘 동시집 7
김찬곤 지음, 정연주 그림 / 상상의힘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노래책시렁 280


《짜장면이 오면》

 김찬곤 글

 정연주 그림

 상상의힘

 2019.1.20.



  일본사람이 엮은 ‘童詩’라는 일본 한자말을 한글로만 바꾸어 ‘동시’로 씁니다. 일본말 ‘아동문학’을 ‘어린이문학’으로 바꾸는 데에만 얼추 100해가 걸렸으니 ‘노래꽃’으로건 다른 우리말로건 ‘동시’를 고치자면 꽤 멀었을는지 모릅니다. 이름이 대수롭지 않다고 여긴다면, 처음부터 끝입니다. 이름이 대수로운 줄 알아야, 아이한테 아무 이름이나 안 붙일 뿐 아니라, 아이한테 아무 말이나 안 하고, 아이 둘레에서 아무 짓이나 안 하는 ‘참어른’으로 살림을 짓습니다. 《짜장면이 오면》은 ‘동시집’이지만, 이보다는 글님 어린날 생채기하고 멍울을 고스란히 옮기면서 ‘다시 아이로 살면서 새롭게 바꾸고픈 마음’을 드러내는 꾸러미라고 느낍니다. 그런데 굳이 옛날로 돌아가야 바꿀 수 있지 않아요. 오늘 이곳에서 새롭게 하루를 가꾸면서 ‘우리 스스로 어른빛’을 노래하면 됩니다. 가랑잎이 떨어져 주어야 씨앗을 맺고, 꽃송이가 떨어져 주어야 열매를 맺어요. ‘떨어짐’은 두렵지도 슬프지도 않습니다. 지난날 어머니가 흠씬 두들겨팬 일이 흔했으나, 우리는 오늘 포근손길로 새롭게 살면 돼요. 깨진 무릎도 멍든 마음도 스스로 낫습니다.


ㅅㄴㄹ


하지만, / 떨어진다는 것은 언제나 / 두렵고 / 슬픈 일이다. (떨어진다는 것은/48쪽)


동생과 싸웠다. / 한 대 맞으면 두 대 때리고 / 두 대 맞으면 세 대 때리고 / 오늘은 지고 싶지 않았다. / 나는 동생보다 세 살이나 많은 오빠이니까. // 어머니가 문을 열고 들어왔다. / 동생은 코를 씩씩 불었다. / 어머니는 나를 보고 화부터 냈다. / 둘을 번갈아 보지도 않았다. (오빠인 나와 동생인 너/8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꽃 찾으러 간다 실천문학 시집선(실천시선) 228
장문석 지음 / 실천문학사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노래책시렁 279


《꽃 찾으러 간다》

 장문석

 실천문학사

 2014.12.5.



  ‘글’을 쓴다고 해도 울타리가 높다는 분이 있으나 ‘시’라고 하면 울타리를 엄두조차 못 내는 분이 있습니다. ‘노래’를 부르자 해도 담이 높다는 분이 있지만 ‘문학’이나 ‘예술’이라 하면 담이 아찔하다는 분이 있습니다. 우리말로 ‘글·노래’라 하면 썩 안 높다고 여기고, 한자말로 ‘시·문학·예술’이라 하면 썩 높다고 여기더군요. 그러나 어느 말로 가리키든 똑같습니다. 바라보는 마음만 다릅니다. 《꽃 찾으러 간다》는 ‘시·문학·예술’로 매만지면서 묶은 꾸러미라고 느낍니다. 잔뜩 매만져서 길들인 티가 물씬 흐릅니다. 오늘날은 이렇게 써야 시요 문학이고 예술이라 할 테지요. 그러나 ‘조로서도(鳥路鼠道)의 잔도’나 ‘행화촌(杏花村) 살구막’처럼 치레하는 꾸밈새를 ‘글’이라 해도 되려나 모르겠습니다. ‘시·문학·예술’이라는 옷을 입힌다면 아무래도 ‘노래’일 수는 없겠구나 싶습니다. 그저 글을 써서 서로 띄우고 받으면서 누리기에 즐겁습니다. 그저 노래를 부르면서 주고받으면서 마음을 북돋우면 아름답습니다. 이제라도 글을 쓰기를 바라요. 이제부터 노래하기를 바랍니다. 꾸며야 시가 된다면, 시는 없어도 됩니다. 치레해야 문학이나 예술이 된다면, 문학이나 예술은 부질없습니다.


ㅅㄴㄹ


그 향내를 더듬을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조로서도(鳥路鼠道)의 잔도가 전혀 두렵지 않았던 것을 (차마고도 1/13쪽)


행화촌(杏花村) 살구막에 들어 젓가락 장단 걸판지게 놀다나 갈까 (차마고도 3/16쪽)


형님 생신을 핑계로 간만에 만난 우리 4남매, 생선회 몇 접시 거나하게 포식하고는 짧은 인사치레로 뿔뿔이 흩어지는데 / 덜컥! 다가선 서산마루에 살점을 모두 발린 생선 한 마리가 붉은 숨 헐떡이며 길게 누워 있을 때 (지청구/12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