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에 계신 낙타께
김성민 지음, 박요셉 그림 / 창비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문학비평 . 동시비평 2023.8.21.

노래책시렁 358


《고향에 계신 낙타께》

 김성민

 창비

 2021.1.15.



  글쓰기는 하나도 안 대단합니다. 걷기나 기기나 서기도 대단하지 않습니다. 말을 하거나 듣는 매무새도 대단하지 않습니다. 별을 올려다보는 눈길이나 멍한 눈빛도 대단하지 않습니다. 노래(시) 한 자락을 쓰거나 읽는 삶도 안 대단합니다. 이 모든 속빛을 보고 느끼고 안다면, 누구나 노래(시)를 쓰고 읽고 나눕니다. 이 모든 속빛을 안 보고 안 느끼고 모른다면, 누구나 허울을 쓰고 탈을 쓰고 용을 쓰고 악을 씁니다. 오늘날 숱한 ‘시’는 ‘허울쓰기·탈쓰기·용쓰기·악쓰기’입니다. 그저 ‘삶쓰기·하루쓰기·오늘쓰기·마음쓰기·생각쓰기·사랑쓰기·숲쓰기’를 하면 될 뿐인데, 자꾸자꾸 ‘쓰기(소비)’에 매달립니다. 네, 그래요. 오늘날 ‘성인시·청소년시·동시’는 죄다 ‘쓰기(소비)’입니다. ‘담기·열기·옮기기·그리기’에 ‘말하기·생각하기·나누기·사랑하기’도 아니고, ‘짓기(지음)’로는 터럭만큼도 안 다가섭니다. 《고향에 계신 낙타께》를 여러 벌 곱읽었습니다. 삶쓰기만 하면 되고, 하루쓰기를 하면 넉넉합니다만, 왜 자꾸 허울쓰기에 용쓰기를 해야 할까요? 왜 이렇게 꾸미고 붙이고 덧달아서 스스로 얽매여야 할까요? 뭔가 대단하거나 남다르거나 유난하거나 돋보이는 글감을 찾으려 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미리내(은하수)를 맨눈으로 보고도 고작 달가림(월식)을 꾸밈글로밖에 덧대지 못 한다면, 제발 ‘수수한 별 한 송이’를 가만히 지켜보는 별밤을 누리시기를 바라요. 별은 안 꾸며요.


ㅅㄴㄹ


해를 살짝 가린 / 지구가 // 달이랑 살포시 // 포개진 // 그날 밤 // 별들은 쪼그만 눈을 더 반짝 떴고 // 은하수는 괜히 한 번 출렁였대 (월식/35쪽)


비 오고 바람 붑니다 / 거미가 흔들흔들 매달려 있습니다 / 흔들흔들 매달려 있는 걸 보니 바닥도 없는 집인가 봅니다 (거미집 2/90쪽)


+


《고향에 계신 낙타께》(김성민, 창비, 2021)


동물원에 살지만 실은 적막 속에 있는 것 같아요

→ 짐승우리에 살지만 막상 고요히 갇힌 듯해요

→ 짐승터에 살지만 아마 말없이 잠긴 듯해요

5


무슨 기억을 되새김하고 있을까요

→ 무슨 하루를 되새길까요

→ 무슨 나날을 되새길까요

5


바위는 진화 중이에요

→ 바위는 거듭나요

→ 바위는 바뀌어요

→ 바위는 달라져요

14


한꺼번에 많이 마시는 건 소용없어

→ 한꺼번에 많이 마셔 봤자야

→ 한꺼번에 많이 마셔도 덧없어

16


준비됐어? 그럼 시작!

→ 다 됐어? 그럼 한다!

→ 됐어? 그럼 간다!

17


들어 있던 얼음이 꽤 작아졌어요

→ 든 얼음이 꽤 줄었어요

21


누군가는 침 뱉고 가고

→ 누구는 침 뱉고 가고

28


주전들 쉴 때 주전자 들고 있는 후보 선수 마음

→ 꼭두가 쉴 때 물동이 든 뒷사람 마음

45


달걀을 삶아 왔는데 인기 짱이었어

→ 달걀을 삶아 왔는데 다들 좋아해

→ 달걀을 삶아 왔는데 모드 반겨

56


흔들흔들 매달려 있는 걸 보니

→ 흔들흔들 매달린 모습을 보니

→ 흔들흔들 매달렸으니

90


나무가 나무의 씨앗을 심는 건

→ 나무가 나무씨앗 심으니

→ 나무는 나무씨앗 심으며

91


아주 오래전부터 날아오고 있었던 거지

→ 아주 오래오래 날아왔지

→ 아주 옛날부터 날아왔지

91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륵을 묻다 신생시선 50
김형로 지음 / 신생(전망)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문학비평 / 시쓰기 . 시읽기 2023.8.10.

노래책시렁 355


《미륵을 묻다》

 김형로

 신생

 2019.9.27.



  글을 쓰는 적잖은 분은 ‘경외’라는 한자말을 좋아하더군요. 그런데 ‘경외’를 쓰는 분은 ‘경외’만 써요. 다른켠에서는 ‘외경’이라는 한자말을 좋아하지요. ‘외경’을 쓰는 분은 또 ‘외경’만 씁니다. ‘경외(敬畏)·외경(畏敬)’이 앞뒤만 다른 한자말인 줄 알아챌 수 있을까요? 두 낱말이 다르다면 무엇이 다르고, 같다면 무엇이 같은 줄 알까요? 무엇보다도 ‘우리말’로 어떻게 손질해야 하는가를 헤아린 적이 있을까요? 《미륵을 묻다》를 읽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글을 쓰는 분들은 남다르게 뭔가 그려야 한다고 여길 적에 ‘○○법’이라는 덫에 스스로 가둡니다. ‘○○법’으로 쓰는 글은 하나같이 똑같고, 비슷한 낱말을 고르며, 뜬구름을 잡는 길로 헤매게 마련입니다. 그렇지만 ‘○○법’이 아닌 ‘삶쓰기·마음쓰기·사랑쓰기·생각쓰기’를 들려주거나 밝히거나 알리는 이웃은 매우 드물어요. 아무래도 ‘글을 쓸 적’에는 ‘쓰기’가 아닌 ‘○○법’이어야 한다는 굴레를 스스로 쓰는 셈일 텐데, ‘○○법’이라는 덫이자 굴레를 누구한테 읽히려는 마음일는지 스스로 물을 노릇입니다. ‘시인·평론가·교수’가 봐주기를 바라는 ‘○○법’에서 헤어나지 않는다면, 글도 노래도 삶도 이야기도 없습니다.


ㅅㄴㄹ


아버지가 제삿밥 드시면 내가 수저 든다 (잡채밥/17쪽)


허나 여자들의 여행은 곡선이더군요 (곡선이라는 꽃/22쪽)


살구꽃 활짝 핀 하늘 아래 / 한 무리 소녀들이 우르르 지나간다 (꽃이 꽃에게/41쪽)


+

《미륵을 묻다》(김형로, 신생, 2019)


여름 땡볕 속으로 걸어 들어가

→ 여름 땡볕을 걸어 들어가

18쪽


바깥으로만 바라보는 외경이다

→ 바깥으로만 높이며 바라본다

→ 바깥으로만 절하며 바라본다

→ 바깥으로만 온꽃으로 바라본다

→ 바깥으로만 놀랍게 바라본다

20쪽


허나 여자들의 여행은 곡선이더군요

→ 그러나 순이는 부드러이 다니더군요

→ 그런데 순이는 돌면서 오가더군요

22쪽


나이 먹으면 다 그렇지 치매는 무슨 치매

→ 나이 먹으면 다 그렇지 깜빡은 무슨 깜빡

→ 나이 먹으면 다 그렇지 아른은 무슨 아른

28쪽


살구꽃 활짝 핀 하늘 아래 한 무리 소녀들이 우르르 지나간다

→ 살구꽃 활짝 핀 하늘에 순이가 한 무리 우르르 지나간다

41쪽


인출한 그 돈을

→ 찾아온 돈을

→ 빼낸 돈을

56쪽


강의 배후로 갈대를 지목해 보자

→ 냇물 그늘로 갈대를 꼽아 보자

→ 가람 뒷빛으로 갈대를 찍어 보자

6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저문 강에 삽을 씻고 창비시선 16
정희성 지음 / 창비 / 197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문학비평 2023.8.9.

노래책시렁 352


《저문 강에 삽을 씻고》

 정희성

 창작과비평사

 1978.11.1.



  노래를 쓰고 싶으면 노래를 쓸 일입니다. 노래를 쓰고 싶다고 밝히면서 막상 ‘겉멋’을 쓰거나 ‘흉내’를 쓰거나 ‘글장난’을 쓴다면, 터럭만큼도 노래일 수 없습니다. 오늘날이나 지난날이나 앞날이나 매한가지예요. 노래를 바라면 오롯이 노래를 헤아리고 마음에 품으면서 쓸 일이에요. 그런데 지난날 글바치는 ‘임금바라기’를 썼어요. 오늘날 글쟁이는 ‘왼바라기·오른바라기(좌편향·우편향)’를 써요. 이들은 ‘겉(문학적 표현)’은 꾸밀 수 있을 테지만, 노래(시)가 아니라 ‘노닥(권력지향 부정부패)’으로 뒹굴 뿐입니다. 《저문 강에 삽을 씻고》는 ‘창비시선’으로 나온 노래책 가운데 드물게 둘레에 “그래도 조금 읽어 볼 만합니다” 하고 여쭙습니다. 이 꾸러미도 곳곳에 시늉이나 쳇바퀴나 수렁이나 젠체가 있습니다만, 이만큼 시늉·쳇바퀴·수렁을 눅이거나 누르고서 ‘말’을 ‘노래’에 담으려고 하는 글이 ‘책·시집’으로 못 나오는 오늘날이에요. 저물녘이나 저녁뜸이 뭔지 살갗으로 아는 분이 얼마나 될까요? 삽을 씻어서 말려 본 사람은 몇이나 있을까요? “목도장 이장” 이야기가 글(언론보도)로 나온 일은 드뭅니다. 2023년 ‘잼버리’가 ‘전라북도 썩은짓’하고 크게 맞닿은 줄 우리는 얼마나 헤아릴까요?


ㅅㄴㄹ


그때 전 일곱이었어요 / 처음으로 어머니 손을 잡고 / 창경원을 구경하던 그날 / 모든 것이 신기했어요 / 우리도 서울서 살자고 / 떼를 쓰다 맞던 일도 / 어머니, 저는 다 알아요 / 어머니의 거친 손을. / 속도 없이 저는 울기만 했고 / 그리고 모든 걸 잊었었지요 / 곰의 얼굴도 사자의 얼굴도 / 가엾은 사슴의 얘기도 잊었었지요 / 어머니도 저도 농사 일에 바빠 / 다 잊었지요 어머니 (어머니, 그 사슴은 어찌 되었을가요/10쪽)


아니다 친구여, 너의 正義가 사는 곳 / 이 푸른 하늘 아래 / 뜨거운 태양이 있고, 땅이 있고 / 너와 나 그리고 / 햇빛 위에 패어진 그늘도 있다 (친구여 네가 시를 쓸 때/40쪽)


+


《저문 강에 삽을 씻고》(정희성, 창작과비평사, 1978)


어머니의 거친 손을

→ 어머니 거친 손을

10쪽


그리고 모든 걸 잊었었지요

→ 그리고 모두 잊었지요

10쪽


비무장지대의 모든 산들이 일제히 무장을 하고 나선 칠흑의 밤이었네

→ 고요터 모든 멧골이 한꺼번에 총칼을 들고 나선 한밤이었네

→ 허허벌판 모든 메가 나란히 총칼을 들고 나선 까만밤이었네

16쪽


이 푸른 하늘 아래 뜨거운 태양이 있고

→ 이 파란하늘에 햇볕은 뜨겁고

→ 이 하늘은 파랗고 해는 뜨겁고

40쪽


몇 隻 파도가 밤마다 그의 잠을 덮치고 있다

→ 몇 겹 물결이 밤마다 그이 잠자리를 덮친다

→ 겹겹 너울이 밤마다 잠자리를 덮친다

48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런 의미에서 문학과지성 시인선 204
임후성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7년 7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노래책 / 시읽기. 문학비평 2023.8.2.

노래책시렁 354


《그런 의미에서》

 임후성

 문학과지성사

 1997.7.15.



  등으로 짐을 묵직하게 나르다가 곧잘 삐끗했습니다. 스무 살 적에도 서른 살 적에도 마흔 살 적에도, 또 쉰 살 적에도 매한가지입니다. 등짐이 무거워서 삐끗하지 않습니다. 마음을 찬찬히 기울이지 않았거나 문득 딴청을 하다가 삐끗합니다. 큰아이랑 함께 부엌에서 밥을 짓다가 아차 하면서 삐끗하는 날도 있습니다. 느긋이 움직이면서 밥을 지으면 될 노릇인데, 살짝이라도 서두르거나 바삐 움직이다가 삐끗하게 마련입니다. 《그런 의미에서》를 가만히 읽었습니다. 노래님은 1997년에 이런 꾸러미를 선보였군요. 1997년 7월은 참으로 더웠습니다. 저는 그즈음 강원 양구 멧골짝에서 50킬로그램에 가까운 등짐을 이고서 땀을 빼었고, ‘여름길(혹서기훈련·유격훈련)’을 한창 받는데, 우리 싸움터(군부대) 길잡이(중대장)는 길그림을 엉뚱하게 읽고서 한참 이 골 저 기슭을 잘못 넘으며 헤맸습니다. 그런데 이 길잡이는 애먼 우리들(일반 사병)한테 덤터기를 씌우더군요. ‘생명수당(격오지수당)’까지 더해도 병장이 고작 5만 원조차 안 되는 돈을 받고 구르던 그곳에서 “이 미친나라에서 미치지 않고서야 어찌 살아남을까?” 하고 한숨을 지었습니다. 글꽃(문학)은 어디에서 뭘 하는가요? 누가 쓰고 누가 읽는 글일까요?


ㅅㄴㄹ


심야의 카페에서 한물간 화장 짙은 / 얼핏 귀여운 데가 남은 여가수가 / 노래부른다 사람이 기다려도 / 삼개월은 오지 않는다 손님 중에 / 누구 계십니까 전화가 울리고 / 지금은 갈 수 없어 / 더 이상은 기다릴 수 없어요 (사생활/93쪽)


그런 의미에서, 닥치는 대로 산다는 게 패악은 아니다 / 널 위해주고 싶다. 엉덩이를 쳐들고 / 빈다. 마지막으로 한번만 더 하고 싶다는 막무가내의 / 까탈을 들어주게 되기를 // 하자는 대로 다 해줄게 / 더 있다 가 (그런 의미에서/114쪽)


+


《그런 의미에서》(임후성, 문학과지성사, 1997)


뾰족한 잎들 위에서 풍성하게 엉덩이 걸쳐 타오르는 燐光

→ 뾰족한 잎에 푸짐하게 엉덩이 걸쳐 타오르는 빛

→ 뾰족한 잎에 푸지게 엉덩이 걸쳐 타오르는 빛살

12쪽


오랜 퇴적층 같은 아랫도리는 쓸모 없어지고

→ 오랜 켜 같은 아랫도리는 쓸모없고

15쪽


견지해라 네가 맞다

→ 버텨라 네가 맞다

→ 밀어라 네가 맞다

→ 나아가라 네가 맞다

17쪽


아침의 준족이 날렵하게

→ 아침 다리가 날렵하게

→ 아침에 날렵하게

20쪽


일어나기 일보 직전까지 저걸 가만히 내버려둬야 한다

→ 일어나기 앞서까지 저대로 둬야 한다

→ 눈앞에서 일어나기까지 저대로 둬야 한다

→ 코앞에서 일어나기까지 가만히 둬야 한다

20쪽


가끔씩 한쪽 다리의 힘을 옮기며

→ 가끔 한쪽 다리 힘을 옮기며

68쪽


꼬리의 구름, 그런 환대는 걷는다는 것

→ 꼬리구름, 그렇게 반기는 걷는 길

→ 꼬리구름, 그리 반기는 걷는 하루

80쪽


제시간에 맞춰 부모 형제에게 돌아갈 것이다

→ 제때에 집에 돌아간다

→ 제때에 집으로 돌아간다

84쪽


대합실에서, 축 허물어져서

→ 맞이칸에서, 축 허물어져서

91쪽


하룻밤 투숙을 하고

→ 하룻밤 묵고

→ 하룻밤 머물고

105쪽


그런 의미에서, 닥치는 대로 산다는 게 패악은 아니다

→ 그런 뜻에서, 닥치는 대로 산대서 고약하진 않다

→ 그러니까, 닥치는 대로 살더라도 나쁘진 않다

114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무래도 수상해 문학동네 동시집 40
함기석 시, 토끼도둑 그림 / 문학동네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 시읽기. 문학비평 2023.7.23.
노래책시렁 301


《아무래도 수상해》
 함기석
 문학동네
 2015.11.27.


  얼핏 보면, ‘말장난’하고 ‘말놀이’는 ‘한끗’이 다른 듯싶습니다. 곰곰이 보면, ‘허울 = 장난’으로 가고, ‘살림 = 놀이’로 뻗습니다. ‘겉을 보기좋게 꾸미는 하루 = 허울 = 말장난’으로 굳고, ‘속(마음)을 알차게 가꾸는 하루 = 살림 = 말놀이’로 피어납니다. 《아무래도 수상해》에 흐르는 말장난을 어린이한테 들려준다면, 우리는 너무나 철없는 굴레입니다. ‘넝쿨장미’를 “녹색 복면을 한 도둑”이라고 여기는 텅텅 빈 마음으로 어떻게 꽃이며 풀이며 나무를 마주할 수 있을까요? 늘 ‘복면·도둑·전쟁·미움·분노’를 품은 탓에, 어린이하고 함께한다는 글인 동시를 이처럼 어이없는 말장난으로 치레하고야 말아요. 나룻(수염)을 깎을 적에 쓰는 칼(면도기)을 “이상한 곤충”으로 빗대는 철없는 말씨를 어린이한테 함부로 들려주어도 될까요? 어떻게 ‘벌레(곤충)’가 ‘이상’할 수 있나요? 사람은 높고 벌레는 낮다는 마음이 밑바닥에 있으니, 이런 글자락이 저절로 튀어나옵니다. 이러면서 ‘말장난’을 엮습니다. 온누리 모든 풀벌레는 저마다 다른 몸빛에 몸집에 살림으로 이 푸른별에서 저마다 다른 몫을 맡아요. 함부로 깔봐도 될 벌레란 없어요. 철들지 않은 채 읊는 장난글은 모두 털어낼 일입니다.

ㅅㄴㄹ

깊은 밤 / 녹색 복면을 한 도둑이 / 등에도 팔뚝에도 가시가 돋은 도둑이 / 손을 뻗어 담을 넘는다 (넝쿨장미/20쪽)

거울 앞에서 / 아빠가 면도를 한다 // 면도기는 수염을 먹고 사는 / 이상한 곤충 (전기면도기/42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