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미운 날 보리 어린이 25
오승강 지음, 장경혜 그림 / 보리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숲노래 동시읽기

별빛아이 곁에서 길어올린 노래꽃



《내가 미운 날》

 오승강 글

 장경혜 그림

 보리

 2012.10.8.



도움반에 와서 / 이태나 공부해도 / 글자를 못 깨치는 아이들에게 / 이놈 돌머리들아 / 선생님이 한마디 하신 뒤로 / 아이들은 다툽니다. // 서로 제 머리가 / 더 단단한 돌머리라고 / 말다툼을 합니다. // 책상에 머리를 / 쾅쾅 박기도 하고 / 서로 박치기를 하기도 합니다. // 선생님 머리에도 / 박치기를 하면서 (돌머리 다툼/17쪽)



  아이들이 툭탁거립니다. 아이들은 툭탁질을 어디에서 배웠을까요? 바로 책이나 영화에서 배웁니다. 책이나 영화는 이야기를 엮으려고 줄거리를 짤 적에 으레 툭탁질을 바탕으로 해요. ‘툭탁질’이라고 하는 어린이가 알아들을 만한 말을 썼습니다만, 이 툭탁질은 싸우는 짓(전쟁)뿐 아니라 얽히는 모습(갈등)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책이나 영화는 사람들 눈을 끌려고 툭탁질을 어떻게 풀어내어 서로 하나가 되느냐 하는 실마리를 보여주려 하다 보니 때로는 좀 센 툭탁질을 보여주고, 우스꽝스러운 툭탁질도 보여주지요. 아이들은 실마리가 풀리는 길도 지켜보겠지만, 툭탁질에 마음이 끌리기도 합니다.


  아이들이 툭탁거릴 적에 나무랄 수 없습니다. 아이들은 그저 본 대로 배워서 고스란히 따라할 뿐이거든요. 이때에는 차분히 지켜보면서 새로운 이야기를 어버이나 어른 스스로 짜서 들려줍니다. 그런데 타이르는 말은 자칫 꾸지람이나 길고 따분한 수다가 될 수 있어요. 어떤 이야기를 짜서 들려주면 좋을까 하고 생각하다 보니 노래꽃이 떠오르더군요. 그냥 시나 동시가 아닌 ‘노래꽃’이란 이름으로 열여섯 줄을 짤막히 간추려서 들려주자고 생각했습니다.



과자 한 봉지 / 교실에 들고 와서 // 동무들 보는 앞에 / 혼자서는 못 먹어 // 동무들에게 / 한 움큼씩 나눠 주었습니다. / 내 몫도 없이 / 모두 나누어 주었습니다. (과자 한 봉지/24쪽)


도움반에 온 날 / 남들 보기 부끄럽다고 / 엄마 아빠 얼굴에 먹칠했다고 / 나는 어머니에게 맞았습니다. (도움반에 온 날/42쪽)



  좀처럼 오순도순 지내지 못한다 싶은 날에는 ‘오순도순’이란 이름으로 노래꽃을 써요. “북적이는 여름날 논 못 / 시끌시끌 노래판 여는 / 개구리 이 곁에 / 풀밭 풀벌레 // 물결치는 가을철 들판 / 쏴륵촤륵 춤판 짓는 / 나락에 참새에 / 햇발은 더욱 그윽”처럼 먼저 여덟 줄을 열고서 “펑펑대는 겨울빛 마을 / 사근사근 고요판 이룬 / 눈송이 눈사람 눈길 / 바람이랑 곰이랑 새근 // 도란도란 풀씨가 이야기 / 오순도순 깨어나 또 얘기 / 소근속닥 기지개 다시 모여 / 봄숲은 가만가만 어우러지지”처럼 여덟 줄을 마감합니다.


  엽서 크기만큼 작은 쪽종이에 이렇게 열여섯 줄을 연필로 적어서 아이들한테 건넵니다. 아이들은 이 이야기밥을 소리내어 읽어 봅니다. 저도 아이들 뒤를 이어 새삼스레 소리내어 읽어 줍니다.


  열여섯 줄 노래꽃은 얼마나 힘을 낼까요? 글쎄, 저도 잘 모릅니다. 다만 하나는 뚜렷이 느껴요. 아이들은 어버이나 어른이 저희한테 어떤 이야기밥을 들려주는가를 마음으로 알아차립니다. 어버이나 어른이 저희한테 쓰는 말을 고스란히 마음에 새겨서 나중에 반드시 씁니다. 어버이가 아이한테 “너 그러지 말랬지!” 하고 나무라면, 아이는 저보다 어른 동생이나 다른 동무한테 “너 그러지 말랬지!” 하고 똑같이 소리지르지요. 어버이가 아이 곁에서 나무를 보며 “아아, 참 아름답네. 곱네. 사랑스럽네.” 하고 속삭이면 아이는 나중에 다른 사람을 마주하는 어느 자리에서 “참 아름답네요. 곱네요. 사랑스럽네요.” 같은 말을 문득 읊습니다.



아이들이 / 우리를 / 바보라고 합니다. // 선생님들도 / 우리를 / 바보라고 합니다. // 아이들이 / 우리 선생님을 / 바보라고 합니다. // 선생님들도 / 우리 선생님을 / 바보라고 합니다. (바보/56쪽)



  동시라기보다는 노래꽃인 《내가 미운 날》(오승강, 보리, 2012)이 있습니다. 흔히 이 책을 동시집으로 여길 테지만, 굳이 동시라는 틀에 얽매지 않아도 되리라 생각합니다. 말 그대로 시쓴님 오승강 님은 삶을 노래하며 꽃으로 피우듯이 한 줄씩 적어 내려갔구나 싶거든요.


  퍽 오래도록 멧골마을 분교에서 샘님(교사)으로 일하던 오승강 님은 별빛칸(특수 학급)을 맡아서 별빛아이를 맡아서 돌보는 길을 걸었다고 해요. 이때 겪거나 마주한 배움살림을 가만가만 노래처럼 여미어 《내가 미운 날》을 묶었다지요.



공부하다가도 / 동무가 오줌 누러 가면 / 우리는 모두 벌떡 일어나 / 오줌 누러 갑니다. // 동무가 물 마시러 가면 / 모두 물 마시러 가고 / 손 씻으러 가면 / 모두 손 씻으러 갑니다. (참지 못합니다/88쪽)



  ‘별빛칸’이나 ‘별빛아이’ 같은 이름을 쓰는 분은 아직 없지 싶습니다만, 《내가 미운 날》을 읽는 내내 ‘특수 학급’도 ‘장애아’도 아닌, 참으로 별빛 같은 마음인 아이들이 별빛 같은 하루를 별빛 같은 어른 곁에서 누리네 하고 느꼈어요.


  학교 안팎을 돌아보면 ‘일반인·일반 학급’이나 ‘장애아·장애 학급(특수 학급·특수반)’으로 가르는데요, ‘일반인’이란 이름도 ‘특수반’이란 이름도 몹시 어설프거나 어정쩡하지 싶습니다. 무엇이 ‘일반’이거나 ‘특수’일까요? 아이를 이런 이름으로 갈라도 될까요? 아이들이 어릴 적부터 이런 이름을 익숙하게 받아들여도 아름다울까요?



서울 아이 유리는 이상한 아이. / 냇가에 아무렇게나 놓여 있는 / 큰 바위를 보며 / 이건 천만 원짜리다 말합니다 …… 그때마다 우리는 크게 웃었습니다. / 돌도 나무도 풀도 모두 돈으로 보는 / 그것도 우리는 생각할 수 없는 / 많은 돈으로 보는 유리를 / 우리는 이상한 아이라고 불렀습니다. // 서울에서는 정말 그렇다고 / 자기 집 마당에 그런 것을 사 키운다고 / 유리는 자꾸 말하지만 / 아무도 믿어 주지 않았습니다. / 그런 것을 돈 주고 사는 / 유리 아버지까지 / 우리는 이상한 사람이라 여겼습니다. (이상한 아이/116∼117쪽)



  노래꽃 ‘이상한 아이’를 읽으며 무릎을 쳤습니다. 그래요, 참으로 그렇습니다. 오늘 우리는 모든 것을 돈으로 따지는 얄궂은 물결에 크게 휩쓸린 삶입니다. 돌 하나조차, 나무 한 그루마저, 값으로 이래저래 따집니다. 이제 다들 아무렇지도 않게 페트병에 담은 물을 먹는샘물이란 이름을 붙여서 마십니다만, 흐르는 냇물을 길어서 마시지 않고 페트병에 담아서 마시는 얼거리는 참으로 얄궂지 않을까요? 흐르는 결대로 맑은 물이 우리 몸에 좋다면, 온갖 공장이 나라 곳곳에 기계설비를 들여서 맑은 물을 페트병에 담아서 파는 일을 하도록 부추길 노릇이 아닌, 나라 어느 냇물이든 맑도록 다스려서, 나라 어느 곳에서도 맑은 냇물이며 샘물을 ‘그냥(거저로)’ 누릴 수 있는 터로 가꿀 노릇이 아닐까요?


  깊은 숲에 들어가면서도 페트병에 담은 물을 챙기는 분이 많아요. 싱그러운 골짝물을 코앞에 두고서 페트병 물을 홀짝이는 분이 많아요. 우리는 어느새 이렇게 길들었을까요? 우리는 언제 이 길든 버릇을 바꿀 만할까요?



강아지풀은 강아지풀 / 망초꽃은 망초꽃 / 서울에서도 / 영양에서도 / 제 얼굴 / 제 이름은 잊지 않아요. (씨앗은 알고 있어요/139쪽)



  경상도 영양은 깊디깊은 멧골입니다. 이 깊디깊은 멧골에서 하루빨리 벗어나서 서울이든 대구이든 안동이든 나아가야 ‘성공’으로 여기는 목소리가 많거나 크다고 합니다. 그런데 오승강 님은 바로 이 깊디깊은 멧골이야말로 아름다운 터전이라고 여겨, 이 멧골자락 분교 어린이하고 어깨동무를 하며 젊은 날을 보냈다고 해요. 나중에는 별빛아이랑 손을 맞잡고 늘그막을 보냈다고 합니다. 이제 샘님(교사)으로서 배움터를 떠났다고 하는데요, 앞으로는 어떤 어린이를 마주하면서 초롱초롱 눈빛으로 노래꽃을 길어올리는 어른이란 길을 가실는지 궁금합니다.


  어디에서나 강아지풀이요 망초꽃이듯, 어디에서나 노래꽃으로 눈부실 이야기 한 자락을 기다립니다. 어디에서나 햇볕이요 바람이듯, 어디에서나 아름다운 사랑이요 즐거운 노래가 될 글 한 줄을 새록새록 새깁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사전을 쓰는 사람.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을 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독자 펄북스 시선 1
박남준 지음 / 펄북스 / 2015년 8월
평점 :
품절


숲노래 시읽기

노래책시렁 104


《중독자》

 박남준

 펄북스

 2015.8.1.



  힘이 없는 까닭은 서울에 살기 때문에 시골에 살기 때문도 아닙니다. 스스로 힘이 없기 때문입니다. 힘이 나는 까닭은 누가 나를 사랑하거나 아끼기 때문도 누가 나를 미워하거나 꺼리기 때문도 아닙니다. 스스로 힘을 내기 때문입니다. 글 한 줄에 사랑이 감돈다면 왜 감돌까요? 글 한 줄에 미움이 서린다면 왜 서릴까요? 오로지 우리 마음에 따라 글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중독자》를 읽다가 “시인 김남주 생각”을 가만히 되읽고 곱새깁니다. 시쓴님 스스로 “말이었나 막걸리였나” 하고 헤맬 만큼 시쓴님 글자락에 힘이 없는 줄 알기는 하되 똑바로 보지는 못하던 지난날이었다고 털어놓습니다. 그런데 있지요, 글에 힘이 없으면 어떻고, 글에 힘이 있으면 어떨까요? 힘이 없으면 없는 대로 그러한 삶이란 뜻이요, 힘이 있으면 있는 대로 이러한 삶이란 소리입니다. 그저 시쓴님 삶을 글자락에 고이 담아냈을 뿐이니, 그리운 그분 곁에서 ‘글에 히말태기가 없다기보다 삶에 히말태기가 없어서’ 하고 한마디를 툭 뱉고서, 이 삶에 새로 힘을 북돋우려고 멧골로 들어가서 풀이며 꽃이며 나무한테서 기운을 받으려고 한다고 덧붙이면 어떠했으랴 싶습니다. 모든 기운은 스스로 길어올리지만 풀·꽃·나무는 늘 우리를 도와주거든요. ㅅㄴㄹ



손을 들어 가리키면 꽃이 피어나고 / 눈을 내리 굽어보면 슬픔과 기쁨과 / 사랑으로 젖어가는 춤 / 내 안에, 내 밖에 / 파릇파릇 다가오며 반짝이고 있어요 (춤/82쪽)


전주, 지금은 없어진 술집에서였지 / 그거 기억해요? 새카만 얼굴로 / 어퍼컷처럼 날리던 펀치 / 야 너 요새 그렇게 히말태기 없는 시를 쓰냐 / 다 기어들어가는 대답이었나 / 난 이제 산속에 살잖아 / 말이었나 막걸리였나 (보고 싶네, 시인 김남주 생각/8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물쇠가 철컥 열리는 순간 창비청소년시선 3
조재도 지음 / 창비교육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시읽기

노래책시렁 103


《자물쇠가 철컥 열리는 순간》

 조재도

 창비교육

 2015.9.18.



  가을이라고 나무를 심지 말라 할 수 없습니다. 가만 보면 숲짐승은 바로 가을에 나무심기를 해요. 다만, 사람처럼 어린나무 옮겨심기를 하지 않습니다. 숲짐승하고 새는 나무씨인 열매를 숲 곳곳에, 때로는 들이나 마당이나 뒤꼍에 살포시 묻습니다. 이 나무씨인 작은 열매는 겨우내 천천히 땅이란 품에 안겨 아주 찬찬히 뿌리를 내리지요. 여러 해에 걸쳐 조그맣게 줄기를 올린 뒤에, 얼추 열 해쯤, 때로는 열대여섯 해나 스무 해가 지나고서 꽃을 피웁니다. ‘청소년 시’라 하는 《자물쇠가 철컥 열리는 순간》을 읽다가, 시집 이름이기도 한 ‘자물쇠가 철컥 열리는 순간’ 끝자락을 읽으며 한참 갸웃갸웃했습니다. 가을에 심은 나무가 어떻게 봄에 꽃을 피우는지 아리송합니다. 어린나무를 심는다 하더라도 이듬해 봄에 꽃을 피우기란 참으로 빠듯해요. 서둘러도 너무 서두르는 셈입니다. 어린나무를 옮겨심더라도 꽃을 보거나 열매를 얻으려면 여러 해를 기다리기 마련입니다. ‘청소년 시’라 할 적에는 푸름이한테 힘이 되어 주려는 글자락일 테고, 푸름이가 마음에 품는 꿈씨나 사랑씨가 곱게 깨어나기를 바라는 뜻을 얹는 글빛이겠지요. 그렇다면, 섣불리 청소년 시를 안 쓰면 좋겠습니다. 부디 열대여섯 해는 삭이고서 시를 써 주셔요. ㅅㄴㄹ



그러니 기다려 주세요 / 너무 재촉하지 말아 주세요 / 가을에 심은 나무는 / 봄이 되어야 꽃 피울 수 있잖아요 (자물쇠가 철척 열리는 순간/71쪽)


동물이나 사람이나 / 힘 대결 한다 (힘 대결/7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는 살아있다 문학의전당 시인선 248
안혜경 지음 / 문학의전당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시읽기

노래책시렁 101


《비는 살아 있다》

 안혜경

 문학의전당

 2017.2.15.



  새벽 다섯 시 사십 분 무렵 마을 어귀로 나가서 ‘한가위맞이 마을 치우기’를 함께합니다. 한가위하고 설날을 앞두고 으레 하는 마을 치우기인데, 앞으로는 이 일을 할 수 없으리라 느낍니다. 마을 분들 나이는 해마다 늘어나고, 몸도 해마다 지치실 테니까요. 반 나절을 같이 치우면서 생각합니다. 굳이 어르신이 힘들게 마을 치우기를 할 노릇이 아니라, 한가위나 설에 이녁 젊은 딸아들이 미리 찾아와서 마을 치우기를 하면 될 일 아니겠느냐고. 묏자리 풀베기뿐 아니라 마을일도 거들고서 마을잔치를 함께하면 좋지 않겠느냐고. 《비는 살아 있다》에 흐르는 노래는 ‘사무실에서 바라보는 빛’입니다. 쌓인 종이더미 사이에서도 잎빛을 느끼고, 비내음을 느낍니다. 쌓인 종이더미를 다루면서도 하루가 어떻게 흐르는가를 살피고, 어제오늘을 가로지르는 바람결을 헤아립니다. 시골에서 살아도 파랗게 눈부신 하늘을 못 볼 수 있어요. 시골 어린이하고 푸름이가 그렇습니다. 서울에서 살아도 푸르게 싱그러운 들을 누릴 수 있어요. 텃밭이나 꽃밭을 가꾸거나, 서울 곳곳에 있는 풀밭이나 나무 곁에 서면 큼큼 풀내음을 먹을 만합니다. 버스나 전철을 타고 움직이면서도 나비를 볼 수 있어요. 트랙터에 경운기를 몰면 풀벌레 노래를 못 들어요. ㅅㄴㄹ



쌓여 있는 서류더미에 / 가벼운 이야기는커녕 / 사무실 창문 밖은 비가 내리고 / 컵 속에 뿌리내린 쑥갓은 / 마치 달빛 속에 있는 듯 / 매달린 생각들을 펼쳐 보이니 (겨울비/44쪽)


분명 / 은행나무가 울부짖었다 / 긴 복도를 타고 첨벙거렸다 / 창문을 쾅쾅 흔들기도 하면서 (사무실 창문/4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시 시작하는 나비 최측의농간 시집선 7
김정란 지음 / 최측의농간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시읽기

노래책시렁 100


《다시 시작하는 나비》

 김정란

 최측의농간

 2019.4.25.



  마음이 있는 사람이라면 무엇이든 합니다. 다만, 이 마음이 아름다움일 적에는 아름일을 하고, 이 마음이 미움일 적에는 미움일을 하겠지요. 마음에 심은 생각을 고스란히 몸으로 풀어낸다고 할까요. 누구를 살뜰히 보듬으려는 손길을 뻗는 생각을 심기에, 이 생각대로 마음이 자라, 몸으로 옮겨요. 누구를 매섭게 미워하려는 눈길을 도사리는 생각을 묻기에, 이 생각대로 마음이 꿈틀대며, 몸으로 해냅니다. 상냥한 손으로 어루만지든, 거친 눈을 부라리든, 모두 우리 생각이 그대로 흐르는 마음이 몸에 나타나는 결이지 싶습니다. 새롭게 옷을 입은 《다시 시작하는 나비》는 노란 빛깔로 깨어났습니다. 새삼스럽구나 싶어 찬찬히 펴니, 지난날에 처음 나온 《다시 시작하는 나비》는 이렇게 거듭나려고 오랫동안 겨울잠에 들은 셈이네요. 봄을 부르는 노랑일 수 있어요. 가을이 피어나는 누렁일 수 있습니다. 봄에 맑은 노란빛일 수 있고, 가을에 푸짐한 누런빛일 수 있습니다. 노랗게 꽃을 피우면서 밝은 봄빛처럼 노래가 흐릅니다. 누렇게 알알이 익으면서 해사한 가을빛처럼 노래가 영급니다. 노래님 마음 한켠에서 자라던 조그마한 숨결은 나무 품에서 오래오래 꿈을 키우더니 온누리에 활짝활짝 웃음하고 눈물을 내려놓습니다. ㅅㄴㄹ



당신의 어깨는 좁은 뜨락이다. / 꽃이 피어 있다. (당의 어깨/13쪽)


내가 모든 여행길의 돌짝밭에서 돌아올 때 / 조심스러운 비상으로 // 다시 시작하는 나비 (나비의 꿈/3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