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트 쿠튀르 문학과지성 시인선 539
이지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시읽기

노래책시렁 142

.

《오트 쿠튀르》

이지아

문학과지성사

2020.4.6.

.

.

- 그것은 속도와 힘으로 가득한 것이다. 놀리고 싶은 것들이 생길 때는 그 뒤에서 따라 했는지도 모른다. 가령 희망이거나 가능성, 아니면 상관없어 이런 말들 (들판 위의 챔피언/11쪽)

- 기존의 치과는 데이터에 기반해서 문제를 찾아내려고 했다. 그렇게 되면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고 다양한 오더를 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치과에 가지 않는 네온사인들은 무엇에 문제가 있나. (어떤 유괴 방식과 Author/26쪽)

.

.

‘오트 쿠튀르’란 프랑스말을 들으니, 프랑스에서 택시를 몰다가 우리나라로 돌아온 어느 분이 스물 몇 해 앞서 ‘똘레랑스’란 프랑스말을 읊고, 〈한겨레〉란 신문에 이 말을 끝없이 되풀이한 일이 떠오릅니다. 프랑스한테서 배우자는 뜻으로 프랑스말을 읊으셨겠으나, ‘너그러움’이나 ‘열린마음’이나 ‘어울림’이란 말을 읊으면 어린이도 함께 배울 만하겠지요. 비싼 옷이면 “비싼 옷”이라 하면 됩니다. 아름다운 옷이면 ‘아름옷’이나 ‘꽃빔’이라 하면 됩니다. 그러나 굳이 영어나 프랑스말이나 일본말을 만지작거리고 싶은 분도 있을 테지요. 《오트 쿠튀르》를 읽는 내내 이 가없는 말잔치로 글님 마음을 알아차려야 하는구나 싶어 더부룩했습니다. 문학이 되어야 하니 자꾸 말잔치가 되어야 할까요. 시란 이름을 붙여야 하니 줄기차게 덫을 깔아야 할까요. 하루를 놀듯이 노래하면 좋겠습니다. 노래란 어렵지 않습니다. 놀이도 어렵지 않아요. 시나 문학이 어려워야 할 까닭이 없고, 이래저래 덫을 놓거나 치레를 하거나 밑밥을 깔아야 하지 않습니다. 스스로 노래할 하루를 그리면서, 웃음눈물로 피어날 놀이 한 자락을 펼치면 됩니다. ㅅㄴㄹ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의 이야기는 끝이 났어요 내일 이야기는 내일 하기로 해요 걷는사람 시인선 14
길상호 지음 / 걷는사람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시읽기

노래책시렁 141

.

《오늘의 이야기는 끝이 났어요 내일 이야기는 내일 하기로 해요》

길상호

걷는사람

2019.9.30.

.

.

- 운문이와 산문이는 조금 전 / 월요일의 예감을 한 줌씩 핥다 잠들었어요 // 물그릇의 파문이 잠잠해지길 기다리며 나는 / 당신의 별이 만들어낸 아름다운 꼬리를 생각해요 (내일 모레 고양이/82쪽)


- 감자 한 바구니를 사는데 / 몇 알 더 얹어주며 덤이라 했다 // 모두 멍들고 긁힌 것들이었다 // 이 중 몇 개는 냉장고 안에서 썩고 말겠구나 생각하는 / 조금은 비관적인 파장 시간이었다 (덤/114쪽)

.

.

시집을 펼 적에는 이 책에 붙는 느낌글(비평)은 안 읽습니다. 도깨비 씨나락 까먹는 소리도 아닌 말치레가 가득하거든요. 노래를 샅샅이 뜯거나 헤아린다고 하는 이들은 으레 “시어의 조탁” 같은 말장난을 합니다. 어느 나라 어느 바닥에서 굴러먹던 ‘조탁’일까요? 이런 중국말을 써야 노래가 될는지요? 우리말로 하자면 ‘가꾸다, 가다듬다, 갈고닦다, 갈닦다, 곱새기다, 곱씹다, 깎다, 다듬다, 다루다, 다스리다, 되새기다, 되씹다, 만지다, 매만지다, 부리다, 새기다, 손보다, 손질하다, 쓰다, 어루만지다, 여미다, 엮다, 짓다, 지어내다, 추스르다’일 텐데요, 이 숱한 말마디를 알맞게 가리거나 살리거나 북돋우거나 다루지 않거나 못한다면, 무슨 노래가 될는지 아리송해요. 《오늘의 이야기는 끝이 났어요 내일 이야기는 내일 하기로 해요》를 읽으며 글님이 자꾸 “시어의 조탁”을 한다고 느낍니다. 굳이 ‘조탁’은 안 해도 됩니다. 그저 노래하셔요. 곁에 아이를 두고 함께 놀면서 노래하셔요. 곁에 푸름이랑 이야기하듯 노래하셔요. 어루만지는 손길이 아니라면 오늘도 모레도 쳇바퀴입니다. 하루를 되새기는 눈빛이 아니라면 노상 겉치레입니다. ㅅㄴㄹ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갈자갈 b판시선 36
표성배 지음 / 비(도서출판b)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시읽기

노래책시렁 140


《자갈자갈》

 표성배

 도서출판 b

 2020.6.16.



  하루를 짓는 노래는 어디에서 오나 하고 돌아보면 늘 우리 마음자리가 보입니다. 새벽부터 밤까지, 또는 밤부터 새벽까지 뭇새가 우리 보금자리에 찾아들어 노래합니다. 이 새가 얼마나 수다쟁이인지 몰라요. 문득 돌아보면, 제가 나고 자란 큰고장에서는 비둘기랑 갈매기랑 참새랑 왜가리가 섞여서 노래했다면, 이곳저곳 돌아 깃든시골자락에서는 뭇멧새가 얼크러져 노래합니다. 아무리 서울이더라도 새가 하늘을 가릅니다. 아무리 싸움터 한복판 총알이 춤추는 데라도 새가 곁에서 하늘을 가로질러요. 이 새를 알아보면서 노래에 귀를 기울일 만할까요? 《자갈자갈》에 흐르는 노랫사위에 귀를 쫑긋 세워 봅니다. 쉰 줄 나이에도 공장일꾼이어야 하고, 예순 줄 나이라면 이제 공장일꾼에서 물러나야 하는 삶길인 이 나라일 텐데요, 무엇을 하며 어떻게 살아갈 적에 노래가 되려나요. 우리 두 손은 이 땅에서 무엇을 하려고는 몸뚱이일까요. 돈을 벌어야 할 손인지,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릴 손인지, 아이를 어루만지거나 돌보는 손인지, 자동차를 몰거나 셈틀을 또닥거리는 손인지, 벼슬아치가 되려고 굽신대면서 내니는 손인지, 이 손을 똑바로 보면 좋겠습니다. ㅅㄴㄹ



강물이 몸을 흔들면 // 미루나무도 따라 몸을 흔들었다 // 물총새가 강물에 날개를 접으면 // 미루나무 가지도 간들간들 몸을 담갔다 (미루나무 사랑/30쪽)


들르기만 하면 / 어머니는 돼지고기를 볶으시고 / 밥을 꾹꾹 눌러 고봉으로 푸시고는 / 꼭 한 말씀 하신다 // 무겄다 싶꺼로 묵어라 (밥상 앞에서/4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배달일기 한티재시선 5
최진 지음 / 한티재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시읽기

노래책시렁 139


《배달 일기》

 최진

 한티재

 2016.3.19.



  국민학교·중고등학교를 다닐 적에는 틈틈이 어머니를 돕다가, 때로는 방학 동안 한두 달짜리 곁일로 신문을 돌렸습니다. 고등학교를 마친 뒤 몇 해 동안 신문돌리기는 살림일이 되었습니다. 신문을 돌리며 ‘신문 보는 이’를 만날 일이 없습니다. 신문값을 거둘 때에 비로소 문틈으로 빠꼼 마주합니다. 신문값이 얼마나 된다고 ‘집에 없는 척’하고 몇 달을 질질 끄는 분이 곧잘 있지만, 또 반 해치를 밀리다가 달아나는 분이 더러 있지만, 따뜻하게 끓인 차를 넌지시 내민 분이 이따금 있어요. 《배달 일기》는 짐을 사이에 놓고 사람하고 사람을 잇는 길에서 밥벌이를 하는 삶을 담아냅니다. 예전에는 우체국에서 도맡던 짐나르기를 어느덧 택배회사에서 거의 맡습니다. 잇는 길은 여럿입니다. 몸소 찾아가서 건네며 얼굴을 마주하는 길이 있고, 심부름을 맡기며 마음으로 띄우는 길이 있어요. 일자리나 밥벌이로 이 길을 바라보아도 되고, 삶자리나 살림자리로 이 길을 마주해도 됩니다. 잇는 줄 알기에, 이으면서 마음으로 피어나는 노래가 있기에, 말 한 마디는 새롭게 빛나고 얘기 한 토막은 새삼스레 아름답습니다. 경상북도 두멧시골을 담뿍 만납니다. ㅅㄴㄹ



이고 쫌 갖다 주소 // 수산댁이 할매가 / 둘째 손자 낳은 딸에게 / 서울로 쌀을 보내다 말고 / 묵은 빚이라도 갚는 듯이 / 택배비 위에 만 원 지폐 한 장 / 부산스레 얹는다 // 기사 양반 둘째가 희한하네 / 지난 장날 시장에서 내를 알아보고 / 할머니 저 할머니 알아요 / 저 할머니 집 가봤어요 / 하고는 내 손을 잡고 걷데 / 고춧가루 빻는다꼬 돈이 없어가 / 그날 용돈을 몬 줬니더 (빚/50쪽)


찾는 물건도 없는 꼬부랑 할매 / 할미꽃처럼 굽어 피어 / 제 집은 지나쳤다 지나오는 / 택배기사 붙들고는 // 약도 안 친 꼬추니더 / 쪼매 찍어 묵어 볼라니껴? (오기 웃골 할미꽃/8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풀꽃 경배 신생시선 41
원종태 지음 / 신생(전망)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시읽기

노래책시렁 138


《풀꽃 경배》

 원종태

 신생

 2015.6.25.



  저는 등단을 하지 않았고, 추천을 받지 않았습니다. 시를 써 달라고 하는 잡지사·신문사·출판사는 아직 없습니다. 따로 ‘시’를 쓴다기보다 ‘노래’를 씁니다. 이제껏 살아오며 만난 풀꽃나무를 떠올리고, 이 풀꽃나무를 품고 살아갈 아이들을 헤아리다가, 이 풀꽃나무하고 어깨동무할 이웃을 그리면서, 천천히 노래를 짓습니다. 바깥에서 누구를 만날 적마다 이웃님을 생각하며 노래를 엮고, 이 노래를 우리 아이들이 함께 나누기를 바라는 꿈을 글자락에 얹습니다. 이렇게 저렇게 열 몇 해를 추스른 노랫가락은 동시집이란 이름으로 둘 태어났습니다. 제 동시집을 읽은 이웃님은 곧잘 물어요. “시를 어떻게 쓰나요? 동시는 더 어렵지 않나요?” 저는 짧게 이야기합니다. “시를 쓰지 마시고요, 아이랑 사랑할 하루를 노래해 보시고, 이 노래를 글로 고스란히 옮겨 보셔요.” 《풀꽃 경배》를 읽다 보면, ‘시’가 꽤 많습니다. 시집이니 시가 많을까요? 그러나 곳곳에 시 아닌 ‘노래’가 있어요. 이 노래를 혀에 얹고는 뒤꼍에 서서 우리 집 나무를 쓰다듬으며 가락을 입혀 봅니다. 바람이 속삭이는 가락으로 노래를 듣고 부를 줄 안다면, 우리는 모두 시인입니다. ㅅㄴㄹ



농사는 절대 짓지마라 / 노가다는 하지마라 / 책상에 앉아서 펜데 굴리라 / 면서리가도 되어라 공부해라 // 공사판에 걸린 목장갑이 말을 걸어온다 // 아버지의 빈 도시락에는 늘 / 보름달 빵이 들어있었다 (목장갑/43쪽)


한 시간에 버스 한 대 올까말까 한 / 대금국민학교 앞 운동장 / 1학년이나 되었을까 샛노란 가방 메고 / 딸랑딸랑 달려온다 / 버스는 서고 풍뎅이 같은 발하나 걸치자마자 / 아저씨 저…도시락, 교실에 노코 았는데예… / 딸랑딸랑 어린학생 운동장을 다시 가로지르고 / 썬그라스 낀 운전사는 시동을 껏다 / 수양버들은 한없이 늘어졌다 (시동을 끄다/10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