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픔이 없는 십오 초 문학과지성 시인선 346
심보선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노래책시렁 175


《슬픔이 없는 십오 초》

 심보선

 문학과지성사

 2008.4.18.



  여태까지 살며 가장 오래 앓은 적은 언제인가 하고 떠올리니 지난 한 달이지 싶다가, ‘아니야, 코고름(축농증)으로 마흔 해를 앓았잖아’ 하는 말이 속에서 흘러나옵니다. 시골살림을 지으면서 코고름을 거의 잊고 삽니다. 큰고장에 그대로 머물며 그곳 일터에서 시키는 일을 꼬박꼬박 하고 품삯을 받아 집삯을 내는 살림이었다면 아마 코고름을 떨치는 길을 스스로 못 찾았으리라 느낍니다. 문득 돌아보면, 코고름을 씻던 그즈음, 도깨비(귀신)를 맨눈으로 보아온 마흔 해를 내려놓을 수 있었어요. 둘이 나란히 제 둘레에서 빙빙 돌며 마음으로 억누르고 몸으로 짓누르던 지난날입니다. 더 아프거나 덜 아픈 몸앓이는 없습니다. 다 다르게 아프지만 다 똑같이 지겨우면서 고맙습니다. 지쳐 쓰러지거나 나가떨어지는 동안에 마음하고 몸을 새롭게 새기거든요. 앓아누우며, 숨이 막혀 어쩔 길을 모르며, 밤새 잠들지 못하며, 뜻밖에 아주 고요히 빛길을 따라 생각을 가누곤 합니다. 《슬픔이 없는 십오 초》를 펴면 노래님 나름대로 뒤척이는 나날이 흐릅니다. 알쏭달쏭한 말 사이 불거지는 “늙은 창녀”에서 우뚝 멈춥니다. 노래님은 삶에서 “늙은 창녀”를 어떻게 마주했을까요. “잠자리에서 살을 섞다 떨군 거웃”은 사랑 아닌 살섞기일 테지요.



잿빛 담벽에 줄줄이 드리워졌다 밤이 오면 / 고대 종교처럼 그녀가 나타났다 곧 사라졌다 / 사랑을 나눈 침대 위에 몇 가닥 체모들 / 적절한 비유를 찾지 못하는 사물들 간혹 (아주 잠깐 빛나는 폐허/18쪽)


그저 막막한 하늘이라 치고 어여 잠이나 자거라 나는 아직도 슬픔에 남몰래 집착하여 자목련 고양이 명멸 등의 낱말들이 내 유아독존의 길을 늙은 창녀처럼 막아서네 그것 말고는 위풍당당 숭그리당당 유쾌하게 길을 걷지만 가끔 (그녀와의 마지막 테니스/140쪽)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맑은 하늘을 보면 창비시선 90
정세훈 지음 / 창비 / 1990년 11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노래책

노래책시렁 173


《맑은 하늘을 보면》

 정세훈

 창작과비평사

 1990.11.25.



  곁에 두고 거듭거듭 새겨읽고픈 책은 가득한데 주머니가 가난한 저한테 헌책집은 새롭게 빛나는 이슬방울 같았습니다. 어느 분은 ‘이슬’이 뭐 값지냐고 할 테지만, 저로서는 뭇돈보다 이슬이야말로 빛나는 숨결이라고 여깁니다. 풀꽃나무랑 숲을 축이는 이슬이란 얼마나 아름답고 사랑스러운가요? 누가 읽고서 내놓든, 미처 못 읽힌 채 버려지든, 이 모든 책을 그러모아 손질해서 건사한 헌책집은 ‘이슬집’이었어요. 들풀한테 힘이 되고 나무한테 벗이 되는 이슬을 책이란 무늬로 품은 곳이 헌책집이지 싶습니다. 《맑은 하늘을 보면》을 쓴 노래님은 이제 더는 뚝딱터(공장)에서 일하지 않는 듯합니다. 이제는 꽤 높은 벼슬을 얻은 듯하더군요. 한창 ‘일돌이’로 지내던 노래님네 아이들이 입을 ‘새 헌옷’을 곁님이 몇 보따리 얻었을 적에 가슴이 축 처지셨다는데, ‘헌옷 = 손길이 닿은 옷’이요 ‘헌옷 = 이웃 아이들이 사랑으로 입다가 물려주는 옷’이겠지요? 아이들이 아버지한테 들려준 꽃같은 ‘새말’을 늘 마음에 건사하면 좋겠습니다. 책 하나를 돌려읽으면서 어느 누구도 ‘헌책을 돌려읽는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아름책’을 돌려읽지요.



이것도 입어보고 / 저것도 입어보던 / 우리집 아이들은 // 말없이 / 쳐다만 보는 / 축 처진 내 가슴에 // 새옷 같은 / 한마디를 / 던져줍니다. // “아빠, 미안해하지 말아요.” (헌옷/23쪽)


내가 다니는 공장은 / 도시 B형 업종 // 매연 악취에다 / 분진이 날리는 유해 업태 // 글 쓰는 벗님 / 방문 와서는 / 일찍 죽고 싶느냐 따지길래 // 나에게는 / 일찍 죽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 당장 먹고 사는 것이 문제라 하였네. (문제/117쪽)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 조촐한 것들이 - 내일을 여는 시 32
안준철 지음 / 내일을여는책 / 2001년 5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노래책

노래책시렁 172


《세상 조촐한 것들이》

 안준철

 내일을여는책

 2001.5.25.



  열린배움터에서 가르치기에 글을 잘 쓰지 않습니다. 어린배움터나 푸른배움터에서 가르치기에 글을 쓸 틈이 나지 않습니다. 가르치는 사람은 배움터에 일을 나가지 않아도 여느 삶자리나 마을에서 늘 가르칩니다. 글을 쓰는 사람은 걸어다니면서도 쓰고, 흔들리는 버스에서도 쓰며, 아이들을 재우는 이부자리에서 한 손을 살며시 뻗어 몇 줄을 쓰고는 같이 잠들기 마련입니다. 《세상 조촐한 것들이》를 읽다가, 이 노래책을 여민 노래님이 2001년부터 스무 해가 지난 뒤에 이 노래책을 다시 펴면 어떤 생각이 들까 궁금합니다. 스무 해 앞을 내다보면서 오늘 이야기를 오늘에 맞게 수수하게 풀어내는 길은 어디에 있을까요? 스무 해 앞서를 돌아보면서 오늘 이야기를 새롭게 엮는 길은 어디에 있나요? 노래님 글동무처럼 모두 비운 맨몸으로 멧골에 들어가 이레쯤 보내어도 좋으리라 생각해요. 글동무랑 나란히 멧골살이를 해도 좋겠지요. 버스에서 자리를 얻은 할머니는 어떻게 고맙다고 나타내야 할까 생각하다가 이녁 손으로 조그맣게 기운을 나누어 주려 합니다. 저도 이런 일을 꽤 겪었는데 “할머니, 그냥 제 기운을 더 받고 튼튼히 지내셔요” 하고 말했어요.



어느 날 시내버스 안에서 / 내게 자리를 양보 받은 할머니 한 분이 / 버스 손잡이를 잡고 있는 내 손을 / 슬그머니 어루만지시더니 / 손을 쥐었다 놓았다 하신다 (손/26쪽)


구례에 사는 박 선생에게 / 방학동안의 안부도 물을 겸 / 문학 모임 소식도 전할 겸 / 전화를 걸었더니 / 오늘 산에서 내려올 거라고 / 그의 아내가 내게 전해준다 / 산, 산에서 내려올 거라고 / 지금 그는 산에 있다고 / 어제도 그제도 / 산 속에 있었다고 / 오늘 내려올 거라고 (산/63쪽)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무튼 씨 미안해요 창비시선 347
김중일 지음 / 창비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노래책시렁 170


《아무튼 씨 미안해요》

 김중일

 창비

 2012.4.25.



  모든 사람이 두세 가지를, 서너 가지를, 열스무 가지를, 온 가지를 다 잘 해낸다면 어떠할까 하고 생각해 봅니다. 누구나 무엇이든 다 잘 해내어도 멋진 터전이 될 만합니다. 누구나 무엇이든 썩 잘 해내지 못할 적에도, 그러니까 한 사람이 고작 한 가지만 잘 해내어도 즐거운 터전이 될 만해요. 어느 사람은 한 가지조차 못 하는구나 싶어도 사랑스러운 터전이 될 테고요. 아기를 잘 돌볼 줄 몰라도 됩니다. 아기를 사랑하면 돼요. 글을 잘 쓸 줄 몰라도 좋습니다. 글을 사랑하면 돼요. 풀꽃나무나 숲이 어떤 마음인가 읽지 못해도 좋지요. 그저 풀꽃나무하고 숲을 사랑하면 넉넉합니다. 《아무튼 씨 미안해요》를 쓴 노래님은 왜 꾸벅꾸벅해야 할까요. 누구한테 꾸벅꾸벅하는 몸짓일까요. 고요히 숨을 돌리면서 오늘을 바라보면 좋겠습니다. 두 손에 두 가지를 다 쥐려고 하기보다는, 두 손이 텅텅 비어도 외려 넉넉할 수 있으니, 손에서 힘을 빼면 좋겠어요. 때로는 힘있게 나아가도 좋을 텐데, 굳이 힘을 넣으려 하지 않아도, 우리가 이 별에서 숨을 쉬며 살아가는 동안에는 늘 힘이 흘러나와요. 부드러이 흘러나오는 힘만으로도 얼마든지 노래입니다.



우리는 우리를 벗어나지 못하는 걸까? 이제 난 이렇게 날개까지 버젓이 달았는데, 수천 개의 초록 혀를 빼문 마로니에 그늘이 작고 깊은 못을 만들고 있다. (황색 날개를 달고 우리는/90쪽)


한국어로 점잖게 표현하자면, ‘아주 근사’하죠. 말해 뭐합니까. 나의 1977년식 파밀리아레. (품/107쪽)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혼자 타오르고 있었네 창비시선 187
조태일 지음 / 창비 / 199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노래책시렁 171


《혼자 타오르고 있었네》

 조태일

 창작과비평사

 1999.7.5.



  이 사람이 바로 그 사람이 맞나 하고 헷갈릴 때가 있습니다. 예전에 만나며 어울릴 적에는 보거나 느끼지 못한 모습으로 가득하기에 고개를 갸웃하지요. 그러나 둘은 같은 사람입니다. 우리는 누구나 끝없이 달라지니까요. 좋은 쪽으로든 궂은 쪽으로든. 《혼자 타오르고 있었네》를 읽으며 하품을 했습니다. 《국토》를 선보인 그분이 쓴 글이 맞나 하고 자꾸 해적이를 다시 들췄습니다. 그렇지만 두 노래책은 같은 노래님이 썼고, 이름은 같은 노래님이되 하나는 ‘꿈을 바라보는 밑바닥’에서 썼다면, 다른 하나는 ‘대학교수가 되어 잿빛집(아파트)에 높이 들어앉은’ 채 쓴 대목이 다릅니다. 삶이 다르니 글이 다르고, 삶이 다르니 눈빛이 다르며, 삶이 다르니 생각이 다르기 마련입니다. 호미를 쥐고 흙바닥에 앉은 사람이랑, 씽씽이를 몰며 흘깃 보는 사람이랑 생각이며 삶이며 눈빛이 같을 수 없습니다. 다달이 차곡차곡 들어오는 일삯을 누리는 삶이랑, 글 한 줄에 피땀을 들이는 삶이랑, 글길이 같을 수 없을 테지요. 등 따숩고 배부른 살림이 나쁠 턱이 없습니다. 누구나 등 따숩고 배부르게 살길 빕니다. 그리고 언제나 새롭게 빛나는 눈·손·발이길 빌어요.



시멘트벽으로 둘러싸인 / 안방 창가, / 화분에 어리디어린 고추 모종 / 한개 옮겨 시어놨더니, (안방에서 고추 열리다/19쪽)


나의 처녀작은 ‘백록담’, / 삼행짜리 시조풍의 / 이 처녀는온데간데없다 (처녀작/40쪽)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