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 굽는 시간 문학의전당 시인선 198
전태련 지음 / 문학의전당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2021.4.19.

노래책시렁 184


《빵 굽는 시간》

 전태련

 문학의전당

 2015.5.29.



  글쓰기에는 스승이 없습니다. 스승이 왜 있어야 할까요? 밥짓기나 살림하기나 소꿉놀이에도 스승이 없습니다. 스승이 무슨 쓸모일까요? 글쓰기에는 오직 ‘글동무’가 있습니다. 밥짓기나 살림하기에도 오로지 ‘밥동무·살림동무’가 있어요. 더 잘 쓴 글이 없고, 더 잘 지은 밥이 없습니다. 늘 스스로 즐겁게 가꾸면서 언제나 서로 반가이 맞이하는 글이요 밥이며 살림입니다. 《빵 굽는 시간》을 읽는 내내 노래님은 왜 노래를 글로 옮길까 하고 돌아보았습니다. 글멋을 굳이 부릴 까닭이 없이 오늘 스스로 맞아들이는 삶을 고스란히 적으면 될 뿐입니다. 맛난 밥도 멋진 밥도 차릴 까닭이 없이 오붓하게 나눌 밥을 지으면 될 뿐이에요. 그러나 우리는 ‘이름난 글’이라든지 ‘알려진 글’에 얽매여 정작 우리 삶을 놓치기 일쑤입니다. 이름이 나거나 잘팔리는 그들이 어떤 글을 써서 책을 내든 말든 아랑곳하지 않아야 비로소 ‘우리 이야기’가 ‘우리 노래’로 피어납니다. 마을마다 소꿉놀이랑 고무줄놀이가 달라요. 고장마다 사투리가 있고, 고을마다 스스로 놀이뿐 아니라 살림을 손수 지어서 누립니다. 멋을 부리고 싶다면 먼저 눈을 감아요. 눈을 감고서 멋을 부려 봐요. 눈감은 채 보는 멋이란 무엇일까요? 겉멋 아닌 속멋을 볼 일입니다.


ㅅㄴㄹ


햇살만 몇 섬, 가득 부려놓은 / 길고양이도 그냥 지나가는 / 산 속 빈집, 반쯤 허물어진 담장 가 / 감나무 한 그루 가지가 휘어질 듯 감을 달고 있다 (폐가의 가을/30쪽)


가을 산에 들면 온통 빵 굽는 냄새 / 하느님이 커다란 화덕에 은근한 장작불 피워 / 온 산에 빵 구우신다 (빵 굽는 시간/7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푸른 편지 창비시선 433
노향림 지음 / 창비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2021.3.30.

노래책시렁 178


《練習機를 띄우고》

 노향림

 연희

 1980.4.25.



  밥을 먹으려면 뭘 해야 할까요? 밥을 지어야 할 테지요. 밥짓는 일꾼을 두거나 밥집에 시켜야 할 테고요. 먹고 싶은 대로 씨앗을 심어서 가꾸고 거둘 수도 있어요. 밥을 먹는 길은 여럿인 만큼, 밥살림을 꾸리는 사람은 저마다 다른 오늘을 겪고 느끼고 생각하면서 하루를 짓습니다. 글을 쓰려면 뭘 어떻게 해야 할까요? 글을 써야겠지요. 입으로 읊는 말을 옮겨쓰는 심부름꾼을 두거나 길잡이가 될 스승을 곁에 둘 수 있어요. 잘 썼구나 싶은 글을 읽으면서 배울 수 있고, 어떤 글도 안 읽고서 스스로 지은 삶에 맞추어 이야기를 풀어낼 수 있어요. 스스로 어떤 글을 바라는가에 따라 저마다 다르게 글살림을 가꾸기 마련입니다. 《練習機를 띄우고》는 1980년에 나왔고, 노래님은 1970년에 〈월간문학〉에 글을 내면서 시인 이름을 얻었다고 합니다. 거의 모두라 할 시인은 책에 글을 내거나 스승이 이끌어 주는 길을 걷습니다. 이렇게 글을 쓰는 길이 틀림없이 있습니다. 이러한 글이 시집이란 이름으로 나오며 문학으로 읽힙니다. 다만 손수 짓는 살림은 잘 드러나지 않습니다. 낱말을 엮으면서 반짝거리는 틀은 세울 만하지 싶으나, 사람들이 저마다 하루를 사랑으로 살아가는 살림꽃하고는 퍽 먼 나라 글잔치이지 싶습니다.


ㅅㄴㄹ


일부가 망가진 草幕이 잡풀 속에 들어 있다. // 그 속에도 바람이 부는지 / 근처의 나무들이 손을 / 허우적이고 있다. // 허우적이는 손 끝에 / 자꾸 어둠이 부스러지고 있다. (風景/69쪽)


육이오 사변이 끝났을 때 / 木浦市 竹橋洞 근처 // 석탄가루를 뒤집어 쓴 / 개망초 하나 / 밟혀서 혼이 나간 그가 // 살아 있다는 기적으로 / 끄슬린 얼굴 내밀고 웃었다. (記憶 1/11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 나에게도
백기완 지음 / 푸른숲 / 1996년 11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노래책 2021.3.30.

노래책시렁 183


《젊은 날》

 백기완

 화다

 1982.3.15.



  호로로롱삣쫑 하고 노래하는 새가 있습니다. 제 귀에는 이처럼 들려서 이렇게 노랫소리를 옮깁니다. 큰아이가 이 새는 어떤 이름이냐고 묻습니다. 고장마다 다르게 이름을 붙이는 새라서 큰아이더러 스스로 느끼는 대로 생각해서 이름을 붙여 보라고 말합니다. 새를 헤아리면 언제나 사람들 스스로 이름을 붙여요. 누가 붙이지 않고, 따로 알리지 않아요. 새를 마음으로 마주하고 사랑으로 동무하는 눈빛으로 이름을 붙입니다. 《젊은 날》은 2021년에 흙으로 돌아간 백기완 님이 처음으로 선보인 노래책입니다. 책이름 그대로 “젊은 날”에 어떤 꿈을 그리고 사랑을 속삭이면서 하루를 지었는지를 풀어놓고, ‘나이가 제법 들었으나 아직도 젊은 넋으로 꿈꾸면서 사랑하고 싶다’는 뜻을 엮습니다. 어찌 보면 투박합니다. 이래저래 피가 끓습니다. 그리고 수수합니다. 새는 어떻게 노래할까요? 새가 노래를 하듯이 글을 쓰면 우리 글빛에는 하늘빛 숨결이 흐르리라 생각해요. 개구리는 어떻게 노래하지요? 개구리가 노래를 하듯이 글을 여미면 우리 글꽃은 풀꽃이 되고 나무꽃이 되며 숲꽃이 되는구나 싶어요. 못난 꽃도 잘난 꽃도 없습니다. 못난 글도 잘난 글도 없어요. 스스로 피어나면 모두 글이요, 스스로 노래하면 그대로 노래(시)입니다.


ㅅㄴㄹ


그렇다 / 백번을 세월에 깎여도 / 나는 늙을 수가 없구나 / 찬바람이 여지없이 태질을 한들 / 다시 끝이 없는 젊음을 살리라 / 구르는 마루 바닥에 / 새벽이 벌겋게 물들어 온다. (젊은 날/11쪽)


몰개(파도)는 손짓하고 갈매기는 우짖어 / 쪽배는 출렁이는데 / 왜 이 못난 것은 / 그리움에 젖을까 (갯바람/4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로역정, 혹은 문학과지성 시인선 72
김정웅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88년 11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노래책 2021.3.14.

노래책시렁 177


《天路歷程, 혹은》

 김정웅

 문학과지성사

 1988.11.1.



  글쓰기나 노래쓰기(시쓰기)는 매한가지라고 느낍니다. 어느 글을 쓰든 바탕은 늘 같아요. “이 글 좋지 않아요?” 하고 묻는 분한테 “글이 왜 좋아야 하나요?” 하고 되묻습니다. “이 글 멋지지 않나요?” 하고 묻는 분한테 “글이 왜 멋져야 하나요?” 하고 되묻고, “이 글 잘 쓰지 않았나요?” 하고 묻는 분이 있다면 “글을 왜 잘 써야 하지요?” 하고 되물어요. 모름지기 모든 글은 좋게도 멋지게도 잘도 쓸 까닭이 없습니다. ‘그저 글을 쓰면’ 됩니다. 《天路歷程, 혹은》을 읽는 내내 1970∼80년 무렵 노래님이 으레 이처럼 글쓰기를 했다고 느낍니다. 오늘날에도 이 비슷한 글쓰기로 노래책을 내놓는 젊은이가 많습니다. 아마 ‘좋게·멋지게·잘’이라는 석 가락으로 매듭짓는 글이지 싶은데, 글다운 글이 되도록 하고 싶다면 ‘즐겁게·살림으로·사랑으로“란 석 가락을 헤아리기를 빕니다. 이러면서 석 가락을 새삼스레 보탠다면 ‘숲으로·사람으로·소꿉으로’입니다. 누구나 할 수 있어야 살림이고 삶이며 사랑입니다. 누구나 누릴 수 있어야 글이고 책이고 이야기입니다. 누구나 지을 수 있어야 꿈이고 노래이고 빛입니다. 누구나 갈 수 있어야 마실이고 놀이에 숲이에요.


ㅅㄴㄹ


나는 요즘의 / 나의 한 떠남과 / 어떤 돌아옴의 여행길을 통해서 / 불현듯 깨달았기 때문입니다. (天路歷程, 혹은-黃東奎에게/29쪽)

.

오해 마라, 지금 나는 / 유머를 배우는 중이다. / 잘 있거라, 부디 성공해라, / 잊지 마라, 나의 친구, / 나의 ‘에어메일’! (에어메일-외국에 사는 친구에게/99쪽)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머니 창비시선 164
김선규 지음 / 창비 / 199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노래책 2021.3.13.

노래책시렁 182


《어머니》

 김선규

 창작과비평사

 1997.7.15.



  아이는 자라서 어른이 되고, 어른이 된 몸으로 새롭게 아이를 낳습니다. 아이는 또 자라서 새 어른이 되고, 새삼스레 아이를 낳습니다. 똑같은 사람이 아이·어른(어머니나 아버지)이란 길을 걸으면서 할머니·할아버지란 이름을 얻습니다. 겉으로 드러나는 몸은 다릅니다. 속으로 흐르는 마음은 같습니다. 삶이라는 자리에서 새기는 이야기를 새롭게 쌓고, 살림이라는 길에서 가꾸는 노래를 새록새록 여미고, 사랑이라는 꿈으로 짓는 눈빛을 차곡차곡 남깁니다. 《어머니》는 글님이 이녁 어머니한테서 이야기를 듣는 얼거리로 꾸리는구나 싶습니다. 황해도사람인 어머니가 인천 앞바다 섬을 거쳐 인천으로 깃드는 발자취를 귀여겨듣고, 글님이 어릴 적에 지켜본 여러 어른들 모습을 버무립니다. 글님은 어머니 곁에서 언제나 아이입니다. 그런데 어머니한테서 듣는 이야기에 나오는 ‘예전 어머니 삶’이란 ‘오늘 글님 나이에 치른 삶’입니다. 어떻게 살아가는 발걸음으로 이야기를 쌓겠습니까? 어떻게 살림하는 몸짓으로 이야기를 여미겠습니까? 어떻게 사랑하는 눈빛으로 이야기를 남기겠습니까? 여태까지 눈물 곁에 멍울을 놓았기에, 웃음 옆에 노래를 두었기에, 꾸덕살 곁에 소꿉놀이를 차렸기에 글줄로 실타래를 풀어놓을 수 있겠지요.


ㅅㄴㄹ


남의 집 신세 열흘이면 길고 길었지 / 장판지는 못 깔았지만 오늘부턴 예서 자자. / 집 앞으로 다시 돌아가 용마루 훑어보고 / 남편서껀 식구들, 방에 들어앉았다. / 아들 셋에 시누이꺼정 모두 일곱 명 / 고구마 삶아 먹으면서 유성기를 틀었어. (16쪽/가족)

.

어제는 개울에서 물총새가 놀다 갔지. / 오늘은 그 개울 아래 우리 집 논에서 / 뜸부기가 숨어서 노래를 하누나. / 벼포기를 헤쳐보지만 빨리도 달아나 / 꼬리를 밑에 감춘 알 몇개만 찾았다. (101쪽/김매기)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