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었어 하늘파란상상 8
이정덕.우지현 지음 / 청어람주니어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1.23.

그림책시렁 1149


《걸었어》

 이정덕·우지현

 청어람주니어

 2015.5.10.



  늘 나무를 지켜보는 사람은 걸을 적이든 달릴 적이든 겨울눈이 맺은 나무빛을 알아차립니다. 나무를 어쩌다 힐끗하는 사람은 다 다른 나무를 알아차리지 못 하기도 하지만, 겨울나무가 봄나무로 건너가면서 맺는 잎망울이며 꽃망울을 못 보고, 우리 누구나 저마다 나무인 줄 안 깨닫습니다. 해마다 설이며 한가위를 맞이하면, 서울을 떠난 부릉물결이 시골로 쳐들어옵니다. 고즈넉하던 시골은 며칠 동안 쇳덩이로 북새통입니다. 이러다가 다시 부릉물결을 매캐하게 일으키며 서울로 돌아가는 쇳덩이인데, 다들 까만길에서 한나절도 두나절도 보내요. 들숲바다를 품는 하루가 아니라, 쇳덩이에 스스로 갇히면서 풀빛도 꽃빛도 나무빛도 하늘빛도 별빛도 구름빛도 햇빛도 잊는 굴레입니다. 《걸었어》는 그야말로 걷는 나날을 누리면서 담아내는 꾸러미입니다. 그저 걸어요. 그냥 걸어요. 그대로 걸어요. 걷다가 쉬어도 되고, 걷다가 집으로 돌아가도 돼요. 걷다가 달려도 즐겁고, 걷다가 자리를 깔고서 도시락을 먹어도 신나요. 바람을 마시지 않으면 바람결을 모르고 바람빛을 그리지 못 합니다. 사랑을 심지 않으면 사랑씨앗을 못 보고 사랑열매를 못 맺습니다. 우리 다리로 걸어요. 쇳덩이는 좀 치워요. 아이 손을 잡고 눈을 마주하면서 웃어 봐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aria Sibylla Merian: Metamorphosis Insectorum Surinamensium (Hardcover)
마리아 지빌라 메리안 / Lanoo Books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1.23.

그림책시렁 1014


《Maria Sibylla Merian : Metamorphosis Insectorum Surinamensium》

 Maria Sibylla Merian

 Lanoo Books

 2016.



  마리아 지빌라 메리안 님은 독일에서 태어나 어린날을 보내지만, 네덜란드로 옮겨 새살림을 일구고, 풀꽃나무·풀벌레 그림으로 집안을 꾸리며 새길을 엽니다. 순이 몸으로 태어났기에 숱한 가싯길을 견뎌야 했는데, 가싯길을 견디며 하나부터 열까지 몽땅 새롭게 지어야 하는 살림을 오롯이 푸르게 사랑으로 마주하는 눈빛이었기에 《Maria Sibylla Merian : Metamorphosis Insectorum Surinamensium》을 남길 수 있었어요. 1705년에 네덜란드말로 나온 그림책을 옛판 크기대로 2016년에 되살리면서 영어로 풀잇글을 붙였습니다. 누리책집 아마존을 거쳐 어렵사리 들이던 책인데, 이제는 우리나라 여느 누리책집에서 15∼20만 원이면 장만할 수 있습니다. 얼추 300해를 묵은 그림이라지만, 앞으로 300해를 건사하면서 아이들한테 물려줄 아름책입니다. 아니 즈믄해 동안 고이 곁에 둘 만한 그림책입니다. 잎을 갉다가 나비·나방으로 깨어나 꽃가루받이를 해주면서 누구나 열매를 누리도록 북돋우는 애벌레입니다. 즐거우면서 의젓하게 그림빛을 밝히면서 아이들을 사랑하고 꿈씨앗을 붓끝으로 남긴 숨결입니다. 꼼꼼그림(세밀화)이어야 대단하지 않습니다. 푸르게 사랑하는 꿈을 붓끝으로 옮길 적에 아름답습니다. 짓는 손으로 사랑씨를 맺습니다.


#DieVerwandlungdersurinamischenInsekten

#MetamorphosisInsectorumSurinamensium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눈 오는 날, 토끼를 만났어요
윤순정 지음 / 이야기꽃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1.23.

그림책시렁 933


《눈 오는 날, 토끼를 만났어요》

 윤순정

 이야기꽃

 2018.11.30.



  열두띠에 토끼가 있습니다. ‘토끼’라는 이름은 ‘톳제비’하고 얽힙니다. ‘톡톡·통통·토실토실’하고 맞물리는데, ‘톳제비·도깨비’를 헤아리면, 가볍게 온누리를 돌아다니는 숨빛을 가리킨다고 여길 만합니다. 《눈 오는 날, 토끼를 만났어요》는 누나하고 동생이 겨울날 둘이 조용하면서 사이좋게 놀며 포근하게 지내는 하루를 들려줍니다. 누나는 동생한테 더없이 든든한 울타리이자 숨결이고, 동생은 누나한테 다시없이 미덥고 즐거운 품이자 숨빛입니다. 우리는 몸을 입고 이 땅에서 삶을 누리는데, 몸을 움직이는 기운은 넋입니다. 넋은 마음에 생각을 심어서 몸을 움직입니다. 그러니까 몸만 바라볼 적에는 몸이 무엇인지조차 모르게 마련이고, 몸으로 움직이며 누리는 하루를 마음에 담기 앞서, 넋이 마음에 생각을 담아서 몸이 움직이는 결을 나란히 살펴야 바야흐로 너랑 내가 어떤 사이로 만나고 얼크러지면서 이곳에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아이들은 스스로 자랍니다. 서로 아끼면서, 사랑을 헤아리는 어른으로 자랍니다. 뛰놀 자리를 열어야 어른입니다. 뛰놀 자리를 잊은 채 아이들을 배움터(학교)에 밀어넣기만 하면 어른이 아닙니다. 놀이터를 일구지 않기에 아이들이 사납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의 보이지 않는 곳을 들여다보았더니 - 관찰하는 자연과학 생각을 더하는 그림책
데즈카 아케미 지음, 김지연 옮김, 서울과학교사모임 외 감수 / 책속물고기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1.23.

그림책시렁 1192


《물의 보이지 않는 곳을 들여다보았더니》

 데즈카 아케미

 김지연 옮김

 책속물고기

 2020.12.20.



  우리 몸에서 물이 빠져나가면 삐그덕거리다가 숨을 잃고 죽습니다. 밥을 안 먹어도 안 죽으나, 물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죽습니다. 물은 입으로만 마시지 않아요. 살갗으로 두루 받아들입니다. 우리가 깃든 곳에 물기운을 머금은 바람이 흐르지 않으면 살갗이 꺼슬꺼슬 죽어요. 예부터 집살림·마을살림·나라살림을 고르게 다스리려면 누구나 물을 넉넉히 맑게 누리는 길을 열어요. 《물의 보이지 않는 곳을 들여다보았더니》에 나오기도 하지만, 땅밑물(지하수)하고 빗물하고 냇물이 우리 몸을 살리는 숨빛입니다. 둘레를 봐요. 플라스틱(페트병)에 담은 물은 몽땅 땅밑에서 뽑아올립니다. 이른바 ‘먹는샘물’인데, 사람들 누구나 누려야 할 땅밑물을 몇몇 곳에서 떼돈벌이로 삼습니다. 더구나 플라스틱 쓰레기를 끔찍하게 낳습니다. 고인물은 썩습니다. 둑(댐)에 가둔 물은 고인물입니다. 페트병에 담아 몇 달을 쟁일 적에도 고인물이에요. ‘먹는샘물 장사’를 멈춰야 합니다. 꼭짓물(수돗물) 아닌 땅밑물을 누구나 마시도록 바꾸어야 하고, 냇물에서 뛰놀도록 삶터를 고칠 노릇입니다. 우리 스스로 물결을 등지고 물빛을 안 배우고 물살림을 잊으면, 사랑을 함께 잊으면서 싸움박질로 치닫습니다. 비를 반기고 바다를 품어야 살림길입니다.


ㅅㄴㄹ


#みず #のぞいてみようしぜんかがく #てづかあけみ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늑대예요 맹앤앵 그림책 19
이현 글, 박재현 그림 / 맹앤앵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1.15.

그림책시렁 1099


《나는 늑대예요》

 이현 글

 박재현 그림

 맹앤앵

 2014.12.10.



  이 나라에서 늑대하고 여우가 사라졌습니다. 범도 사라졌습니다. 곰도 거의 사라졌으나 겨우 몇 마리 살린다고 시늉을 했습니다. 두루미도 거의 사라질 뻔했으나 가까스로 살아남았습니다. 제비도 확 사라질 판이지만 용케 살아남아서 돌아오곤 합니다. 저어새나 겨울오리가 아직 찾아오지만 머잖아 더는 안 찾아올 수 있습니다. 숲짐승이 사라지거나 철새가 발길을 끊는 까닭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우리 스스로 시골을 떠나거나 등지면서 서울로 쏠리고, 서울로 못 가면 서울곁(수도권) 큰고장에 깃들려 하거든요. 풀꽃나무를 잊으면서 잃는 사람들 둘레에 늑대도 범도 철새도 떠나게 마련입니다. 《나는 늑대예요》는 줄거리로만 보면 뜻깊다고 여길 만하지만, 늑대를 그린다고 하면서 서울(도시)을 그리다가 그치는구나 싶어 아쉽습니다. 늑대를 그리려면 ‘서울 눈썰미’가 아닌 ‘숲빛 눈망울’로 그려낼 노릇입니다. 어린이를 그릴 적에 ‘어른 눈썰미’로 담으면 될까요? 아니지요. 어린이를 그리려면 ‘어린이를 쳐다보는 어른’이 아닌, ‘스스로 아이로 뛰노는 나날’로 오늘을 살아가면서 담아내야지요. 들숲바다가 살아나면서, 우리 스스로 들숲바다를 품고 서울을 물리칠 적에 늑대도 범도 철새도 어우러지는 아름나라로 바뀝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