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뼈를 모두 누가 찾았게? - 최초의 고생물학자 메리 애닝, 2020 KBBY 주목 도서 Special Mention 바위를 뚫는 물방울 14
린다 스키어스 지음, 마르타 미겐스 그림, 길상효 옮김 / 씨드북(주)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2.25.

그림책시렁 1364


《이 뼈를 모두 누가 찾았게?》

 린다 스키어스 글

 마르타 미겐스 그림

 길상효 옮김

 씨드북

 2020.9.22.



  함께 살아가는 두 사람은 함께 살림을 짓는 길에 사랑을 심어서 새롭게 하루를 이룹니다. 높은 쪽도 없고, 낮은 쪽도 없어요. 고르게 바라보려는 길이 있고, 두루 헤아리려는 길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힘을 거머쥔 쪽에서는 모두를 나란히 안 보았습니다. 이름을 날리는 쪽에서도 사람을 사람으로 여기지 않았어요. 돈을 움켜쥔 쪽도 매한가지입니다. 어떤 일을 누가 하든 “누가 하는 일”일 뿐입니다. 돌이가 하기에 높지 않고, 순이가 하기에 낮지 않아요. 거꾸로 돌이가 하기에 낮지 않고, 순이가 하기에 높지 않습니다. 《이 뼈를 모두 누가 찾았게?》는 뜻깊게 나온 그림책이되 여러모로 아쉽습니다. 땅미르로 예전에 살던 자취를 찾아낸 매리 애닝 님 이야기를 여미려는 길보다는, ‘순이를 억누르는 틀에서 어떤 돌이도 해내지 못 한 일을 먼저 해냈다’는 줄거리에서 멈추고 말아요. 틀림없이 얼뜬 웃사내가 바보짓을 한참 저질렀습니다. 아직도 넋나간 웃사내가 멍청한 짓을 그대로 합니다. 그러나 매리 애닝 님도, 숱한 순이돌이도, 앞으로 이 푸른별에서 일굴 새길이란, 어깨동무하는 사랑꽃일 노릇이라고 느낍니다. “누가 찾았게?” 하고 따지지 말아요. “땅미르 뼈를 찾아낸 매리 애닝”이라는 이름을 외치면 됩니다.


#매리애닝 #fMaryAnning

#Dinosaur Lady

#TheDaringDiscoveriesofMaryAnning #theFirstPaleontologist

#LindaSkeers #MartaAlvarezMiguens 


ㅅㄴㄹ


결석이 아니라 똥이라고요

→ 몸돌이 아니라 똥이라고요

→ 돌이 아니라 똥이라고요

22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두더지 지하철 땅속 여행
오모리 히로코 지음, 김숙 옮김 / 북뱅크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2.25.

그림책시렁 1368


《두더지 지하철 땅속 여행》 

 오모리 히로코

 김숙 옮김

 북뱅크

 2023.5.15.



  비슷한 책이 얼마든지 나올 만하다지만, 《두더지 지하철 땅속 여행》을 펴자마자 《두더지 버스》(사토 마사히코 글·우치노 마스미 그림/고향옥 옮김, 한림출판사, 2012)가 떠오릅니다. ‘지하철·버스’가 다를 뿐, 얼거리하고 줄거리가 비슷합니다. 땅밑마을을 돌면서 나들이를 하는 얼거리는 으레 그림책으로 나오곤 하는데, 일본에서 나온 그림책끼리 이렇게 닮는구나 싶어서 놀랍니다. 서울이며 큰고장에는 땅밑으로 다니는 쇳덩이가 잔뜩 있습니다. 나라에서는 전남부터 제주까지 땅밑으로 칙폭길을 뚫겠다고 밝히기도 합니다. 땅겉에 집을 짓거나 부릉부릉 달리기 좋도록, 커다란 칙폭이를 땅밑으로 보내려는 뜻일 테지만, 어쩐지 땅밑길은 썩 사람답지 않아 보여요. 온누리를 자꾸 망가뜨리는 길이거든요. 생각해 봐요. 땅밑으로 칙폭칙폭 달리려면 빛을 엄청나게 써야 합니다. 번쩍터를 더 많이 세워야 하고, 돈마저 엄청나게 쏟아부어요. 땅밑에서는 지렁이랑 굼벵이랑 두더지가 오순도순 살아야지 싶습니다. 나무뿌리가 뻗어야 할 땅밑입니다. 서울살이를 재미나게 보여주려는 뜻은 안 나쁘지만, 땅겉도 땅밑도 마구 삽질로 망가뜨리는 줄거리를 아이들한테 그림책으로까지 구태여 보여주어야 할는지 여러모로 알쏭달쏭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6212610

그림책 <두더지 버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쯔티의 똥은 어디로 갔을까? - 쯔티의 자연학습 동화
마츠오카 다츠히데 그림, 오치 노리코 글, 서인주 옮김 / 학산문화사(단행본) / 2002년 7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2.20.

그림책시렁 1178


《쯔티의 똥은 어디로 갔을까?》

 오치 노리코 글

 마쯔오카 타쯔히데 그림

 서인주 옮김

 학산문화사

 2002.6.5.



  목숨붙이는 먹고자기를 되풀이한다고 여길 수 있고, 살아간다고 느낄 수 있어요. 꿈꾸거나 살림하거나 사랑한다고 여길 수도 있어요. 일하거나 놀거나 나눈다고 여길 만할 테고요. 바라보는 눈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입니다. 몸으로 받아들이니 몸에서 내놓습니다. 마음으로 받아안으니 마음에서 삭입니다. 반가이 머금으니 새롭게 내놓고, 골을 내거나 불타오르면 그만 모두 활활 사르고 맙니다. 《쯔티의 똥은 어디로 갔을까?》는 처음에는 맛나거나 달콤해 보이는 열매가 우리 몸을 거쳐서 어떻게 바뀌는가를 보여줍니다. 열매는 열매인 채 있을 적에 흙에 이바지할는지 몰라요. 그러나 열매는 사람이며 짐승이며 벌나비이며 풀벌레 몸을 거쳐서 똥으로 나올 적에 그야말로 흙한테 이바지한다고 여길 수 있습니다. 열매로서는 이웃 숨결 몸을 거치려고 했을 텐데, 알아보거나 찾아보는 이가 없다면 서운할 만해요. 그렇지만 누가 알아보아 주지 않더라도 다시 흙으로 가서 새롭게 깨어나는 거름으로 가기도 합니다. 들숲바다는 언제나 돌아갑니다. 바닷물이 빗물로 바뀌다가 냇물로 흐릅니다. 바람이 숨으로 들어왔다가 나가면서 풀꽃나무하고 사람이 어우러집니다. 고이지 않기에 곱고, 흐르기에 흐뭇하게 깨어나는 새빛입니다.


#おちのりこ #松岡達英

#ハナグマの森のものがたり

#ツ?ティのうんちはどこいった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술 수업
토미 드 파올라 글, 엄혜숙 옮김 / 문학동네 / 2007년 11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2.20.

그림책시렁 1001


《미술 수업》

 토미 드 파올라

 엄혜숙 옮김

 문학동네

 2007.11.1.



  우리는 하루를 그리려고 이곳에 태어난다고 느낍니다. 무엇을 그릴는지는 아직 몰라요. 다만, 두 어버이 사랑을 받아서 자라날 곳을 스스로 골랐고, 가시밭길이건 꽃길이건 다 다르게 마주하는 삶을 고이 삭이면서 피어날 꽃 한 송이입니다. 제비꽃은 어디에서나 제비꽃입니다. 민들레꽃도 씀바귀꽃도 어디에서나 민들레꽃이고 씀바귀꽃입니다. 《미술 수업》은 그림님이 보낸 어린날을 들려줍니다. 마음껏 그리고픈 꿈은 집에서 아늑하면서 즐겁지만, 배움터에 가면 마음껏 못 그렸다지요. 곰곰이 보면, 더 그리고픈 아이가 있고, 더 뛰거나 달리고픈 아이가 있고, 더 쓰고픈 아이가 있습니다. 다 다른 아이는 다 다르게 피어나고 싶습니다. 모든 아이를 고르게 마주할 수 있는지 돌아볼 노릇입니다. ‘사랑은 고르게’ 펴되, ‘놀이는 다르게’ 누려야 아이도 어른도 스스로 꽃으로 피어나리라 봅니다. 어버이라면 붓하고 종이를 넉넉히 내어줄 일입니다. 어버이라면 쉼터를 넓게 마련할 노릇입니다. 스스로 짓고 저마다 가꾸고 함께 일구는 하루를 노래랑 웃음이랑 춤으로 누리는 길을 꾸리기에 아름답습니다. 똑같은 틀로 찍어낸다면 배움터가 아닌 판박이입니다. 다 다른 길로 사랑하기에 배움터요 보금자리입니다.


#TheArtLesson #TomieDePaola


ㅅㄴㄹ


《미술 수업》(토미 드 파올라/엄혜숙 옮김, 문학동네, 2007)


온갖 종류의 거북이를 모았어요

→ 온갖 거북이를 모았어요

4쪽


모래로 멋진 성을 만들었어요

→ 모래로 집을 멋지게 쌓았어요

4쪽


곳곳에 토미의 그림을 붙였어요

→ 곳곳에 토미 그림을 붙였어요

8쪽


유치원 선생님께 물어 보았어요

→ 어린이집 어른한테 여쭈었어요

15쪽


마냥 기다리고 있을 수가 없었어요

→ 마냥 기다릴 수가 없어요

20쪽


집에 두었으면 좋겠구나

→ 집에 두고 오너라

→ 집에 두어라

23쪽


다른 애들하고 다르게 대하는 건 공평하지 못해

→ 다른 애들하고 다르게 하면 올바르지 못해

28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주신 황우양 한림신화그림책 5
이상교 글, 이승원 그림 / 한림출판사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4.2.20.

그림책시렁 992


《성주신 황우양》

 이상교 글

 이승원 그림

 한림출판사

 2008.10.30.



  예부터 집 한 채에 온땀을 들였습니다. 한두 해만 머물지 않고, 서른 해쯤 지내다 떠나지 않거든요. 아이를 낳아 함께 살아갈 집이요, 적어도 이백 해는 거뜬히 잇고, 오백 해도 가볍게 물려받는 터전입니다. 집에는 사람도 새도 구렁이도 쥐도 풀벌레도 벌나비도 깃들어요. 사람살림을 이루는 터전을 넘어, 뭇숨결이 한동아리로 얽히면서 오붓한 자리입니다. 《성주신 황우양》을 곰곰이 읽습니다. 여러모로 잘 빚은 그림과 줄거리입니다. 예부터 수수한 어버이는 이런 옛이야기를 아이들한테 들려주면서 살림을 물려주었어요. 신 한 짝도 아무렇게나 벗어놓지 않도록 달래었고, 세간 하나를 고이 여기는 매무새를 북돋았어요. 솜씨만으로는 집안을 건사하지 않는 줄 가르쳤고, 언제나 어머니 쪽이 어질고 참하게 보금살림을 이끌면서, 아버지 쪽은 고분고분 따르면서 사이좋게 어울린 나날입니다. 왜 사내를 ‘머스마’라고 하겠어요? ‘머스마 = 머슴’이요, ‘일꾼’이란 뜻입니다. 힘을 잘 쓸 줄은 알되, 일머리까지는 못 잡기에 ‘머스마’입니다. 가시내는 일머리를 잡을 줄 아는 ‘갓(멧갓)’입니다. 순이는 돌이를 가르치고, 돌이는 몸으로 익히면서 아이들한테 빙그레 웃음짓는 하루를 들려줍니다. 오붓하게 지내는 수수께끼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우리말꽃》,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