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혜씨의 포옹
정은혜 지음 / 이야기장수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1.9.

그림책시렁 1195


《은혜 씨의 포옹》

 정은혜

 이야기장수

 2022.8.23.



  일을 하는 사람은 ‘일꾼’이고, 살림을 하는 사람은 ‘살림꾼’이고, 장사를 하는 사람은 ‘장사꾼’이고, 신나게 노는 사람은 ‘놀이꾼’이고, 노래를 하는 사람은 ‘노래꾼’입니다. 글을 쓰기에 ‘글꾼’이고, 그림을 그리기에 ‘그림꾼’이고요. 그러나 어쩐지 ‘-꾼’이란 이름을 스스럼없이 맞아들이며 살림길을 펴는 이웃님이 드뭅니다. ‘흙꾼’이라 밝히는 이웃보다는 ‘농부’처럼 한자말을 써야 한다고 여기는 분이 훨신 많아요. 살짝 말끝을 바꾸어 ‘일님·일지기·일바치·일쟁이’나 ‘그림님·그림지기·그림바치·그림쟁이’처럼 쓰기도 합니다. 때로는 ‘일순이’나 ‘그림돌이’라 하고요. 굳이 ‘예술가·화가’여야 하지 않고, ‘아티스트·일러스트레이터’여야 하지 않습니다. “이름이 뭐 대수인가?” 하고 여긴다면 영어나 한자말이 아닌, 수수하고 쉽게 우리말로 쓸 노릇이고, “이름이 대수롭지!” 하고 여길 적에도 투박하게 삶빛을 담는 우리말로 쓸 일입니다. 《은혜 씨의 포옹》을 읽고서 여섯 달을 가만히 돌아보았습니다. 정은혜 님은 ‘그림님’이나 ‘그림꾼’일까요, 아니면 ‘그림순이’나 ‘그림지기’일까요, 아니면 ‘화가·예술가·배우·연예인’일까요? 그냥 “그림 그리기”이기를 빕니다. 그저 풀빛으로.  연예인이 되지 말고, 그림을 그리기를 빕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꽃들에게 희망을 분도그림우화 1
트리나 포올러스 지음, 김명우 옮김 / 분도출판사 / 1975년 1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책 2023.1.8.

그림책시렁 1134


《꽃들에게 희망을》

 트리나 폴러스

 김명우 옮김

 분도출판사

 1975.1.1.



  꽃이 꽃으로 피려면 뿌리가 내리고 줄기가 오르고 잎이 돋기도 해야 하지만, 해가 뜨고 바람이 불고 비가 내리고 별이 돋기도 해야 합니다. 흙은 까무잡잡하면서 구수해야 하지요. 풀벌레가 꽃가루받이를 해주어 씨앗을 맺어 주어야 해마다 새롭게 피어날 수 있는 꽃입니다. 얼핏 보면 애벌레가 잎을 갉작갉작하느라 구멍이 송송 난다지만, 애벌레는 풀잎을 조금 나눠먹고는 꽃가루받이란 즐거운 일을 맡으면서 새한테 먹이가 되어 들숲마을에 노랫소리가 울려퍼지는 밑거름이 됩니다. 또한 애벌레는 나비로 깨어나니, 풀벌레랑 나란히 꽃가루받이를 나누고, 사람들한테 나풀나풀 눈부신 무늬를 알려줘요. 《꽃들에게 희망을》은 “꽃한테 바람을” 속삭이는 애벌레·풀벌레·나비 한살이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풀밥살림을 잇던 벌레는 어느 날 꿈을 그리면서 밥을 끊고서 “고요한 어둠”인 ‘고치’에 깃들어요. 이러고서 긴긴날 가만히 꿈누리를 품더니, 옛몸을 사르르 녹여서 “파란 하늘빛”으로 피어날 ‘날개’로 거듭납니다. 사람한테는 어떤 바람이 흐를까요? 사람은 사람으로서 어떤 사랑을 품는 바람결을 나누면서 오늘을 노래할까요? 꽃 곁에 벌레가 꼬물꼬물 춥춤니다. 꽃 곁에 나비가 팔랑팔랑 노래합니다. 우리는 다같이 숲입니다.


ㅅㄴㄹ


#HopeForTheFlowers #TrinaPaulus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실을 보는 눈 - 기록하는 사진작가 도로시아 랭 다큐멘터리 인물그림책
바브 로젠스톡 지음, 제라드 뒤부아 그림, 김배경 옮김, 최종규 추천 / 책속물고기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1.1.

그림책시렁 979


《진실을 보는 눈, 기록하는 사진작가 도로시아 랭》

 바브 로젠스톡 글

 제라드 뒤부아 그림

 김배경 옮김

 최종규 글손질

 책속물고기

 2017.7.5.



  우리나라 빛꽃꾼은 삶그림(다큐멘터리)를 담을 적에 ‘찍은 이 이름’을 내세운다면, 이웃나라 빛꽃꾼은 삶그림을 담으며 ‘찍힌 이 삶’을 수수하게 보여줍니다. 무엇을 누구를 어디에서 찍든 삶그림을 담으려는 이웃나라 빛꽃꾼이라면, ‘삶그림으로 무엇이나 누구나 어디를 찍는다고 내세우는’ 물결인 우리나라 빛꽃꾼입니다. 《진실을 보는 눈, 기록하는 사진작가 도로시아 랭》은 어린이한테 “빛꽃이란 무엇이고 어떤 길인가”를 들려주는 그림책입니다. ‘도로시아 랭’이라는 분은 이녁 이름을 내세우지 않았고, 이녁 이름이 아닌 “찍힌 사람을 보라. 찍힌 사람이 어떻게 사는가를 보라. 찍힌 사람이 어떤 마음으로 그곳에서 삶을 꾸리는지를 보라.”는 이야기를 넌지시 들려주었습니다. 무엇이 참(진실)이겠습니까? “자, 이 빛꽃이 진실입니다!” 하고 외치거나 내세우기에 참일까요? 우리나라 빛꽃꾼은 스스로 가난하지 않으면서 ‘먼발치 가난한 사람’을 찾아다닙니다. 스스로 가난하면서 ‘이웃하고 함께 살아가는 나날’이면, 빛꽃은 스스럼없이 삶결로 담게 마련입니다. 함께살며 이웃·동무로서 담기에 삶그림입니다. ‘예술가·작가’란 이름을 내세워 ‘작품집’만 쏟아낸다면 하나같이 장사꾼이요 눈속임꾼으로 그칩니다.


ㅅㄴㄹ


#DorotheaLange

#DorotheasEyes #DorotheaLangePhotographstheTruth

#BarbRosenstock #Gerard Dubois


이 그림책에 글손질을 해주었다.

아직도 우리나라에서는

도로시아 랭 님을 비롯한

이웃나라 빛꽃님을 거의 모를 뿐 아니라

이웃나라 빛꽃님 빛꽃책(사진책)조차 

찾아보기가 매우 어렵다 보니

‘인터넷에 떠도는 말’이나

‘대학교에서 펴는 어려운 말잔치’에 휩쓸려

이웃나라 빛꽃님 눈빛을 잘 모르게 마련이다.


그래서 도로시아 랭 님 발자취라든지

이분이 바라보려고 한 눈빛이라든지

이러한 빛살림을

어린이가 더 쉽게 알아차릴 수 있도록

옮김말씨(번역체)를 모조리 뜯어고치기도 했다.


곰곰이 보자면,

글손질(교정교열)을 하는 동안

영어책 글자락을 찬찬히 새기면서

아예 새로 썼다고까지 할 수 있다.


#숲노래아름책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꿈틀꿈틀 자벌레 파랑새 그림책 22
레오 리오니 글 그림, 이경혜 옮김 / 물구나무(파랑새어린이) / 200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1.1.

그림책시렁 1103


《꿈틀꿈틀 자벌레》

 레오 리오니

 이경혜 옮김

 파랑새

 2003.11.15.첫/2007.5.28.3벌



  잘 쓴 글이나 잘못 쓴 글은 없습니다. 저마다 스스로 삶을 쓸 뿐입니다. 잘 찍은 빛꽃(사진)이나 못 찍은 빛꽃도 없습니다. 저마다 스스로 남겨서 보여주고 싶은 삶을 옮길 뿐입니다. 그저 늘 하나가 달라요. 모든 글하고 빛꽃은 ‘우리 삶’이되, ‘좋아하는 삶’인가 ‘사랑하는 삶’인가 하나가 다릅니다. 《꿈틀꿈틀 자벌레》는 날개를 달고서 훨훨 바람을 가르는 ‘자나방’이기 앞서, 아직 잎을 갉으면서 천천히 기어다니는 ‘자벌레’ 삶을 들려줍니다. 나는 자나방이건 기는 자벌레이건 삶은 매한가지입니다. 아니, 삶을 바라보는 눈썰미는 매한가지예요. 날개를 달고서 바람을 타야만 ‘좋을’까요? 참말로 날는지 못 날는지 모르는 채 볼볼 기어다니니 ‘나쁠’까요? 자나방 아닌 자벌레인 삶에서는 자벌레로서 기쁘게 잎을 갉으며 푸르게 하루를 노래하기에 즐겁고 아름다우면서 사랑스럽습니다. 아기더러 달리기를 하거나 밥을 차리거나 집을 지으라 할 수 없는 노릇입니다. 아이더러 짐을 나르라 시키거나 바깥일을 맡길 까닭이 없습니다. 자벌레는 자벌레로서 꿈틀꿈틀 제 몸과 하루를 사랑할 줄 알기에 뭇새가 찾아들어 이모저모 놀리듯 괴롭혀도 아무렇지 않게 마주하면서 척척 지나갑니다. 꿈은 꿈틀꿈틀 천천히 자라게 마련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난 우리 집이 정말 좋아! 사파리 그림책
사라 마시니 글.그림, 홍연미 옮김 / 사파리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1.1.

그림책시렁 1066


《난 우리 집이 정말 좋아!》

 사라 마시니

 홍연미 옮김

 사파리

 2021.4.30.



  “Trixie Ten”이란 이름인 그림책을 왜 《난 우리 집이 정말 좋아!》로 옮겼는지 아리송합니다. 줄거리를 얼핏 보자면 ‘우리 집’이 ‘참 좋다’고 여길 수 있을 테지만, 이보다는 다른 이야기를 들려주려는 그림책이라고 느낍니다. 한글판 아닌 영어판을 보면 “This is Trixie Ten. She has nine brothers and sisters. She thinks they are all very annoying.”으로 엽니다. ‘짜증(annoying)’이 어떻게 바뀌는가를 하나씩 짚는다고 할 테니, 아이가 마음을 어떻게 건사하고 바라보고 다독이고 추스르면서 스스로 어떻게 일어서느냐 하는 얼거리라고 하겠습니다. 이웃나라 그림책을 옮길 적에는 책이름을 함부로 건드리지 않을 노릇입니다. 처음부터 이웃말로 읽는 분이라면 헷갈리거나 뜬금없는 책이름에 휩쓸릴 일이 없고, 얄궂은 옮김말씨나 일본말씨에 젖을 까닭도 없을 텐데, 모든 사람이 모든 이웃말로 모든 그림책을 읽지는 않을 테니, 부디 이 대목을 펴냄터에서 더 천천히 오래 살필 노릇이라고 여깁니다. 한글판은 열째 아이한테 ‘열매’란 이름을 붙여 줍니다. 그러면 “열째 아이 열매”가 ‘마음도 생각도 하루도 새롭게 ‘여는’ 얼거리로 바라볼 수 있도록 옮기면서 삶을 풀어 주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TrixieTen #SarahMassini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