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밝은 밤
전미화 지음 / 창비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3.15.

그림책시렁 1177


《달 밝은 밤》

 전미화

 창비

 2020.10.5.



  아버지라는 자리는 바깥으로 떠돌기만 해서는 스스로 캄캄하게 뒹굴고 맙니다. 어머니하고 나란히 보금자리를 사랑으로 가꾸어야 비로소 스스로 사랑하면서 살림을 짓는 길로 들어설, 아버지라는 자리입니다. 그러나 지난날에도 오늘날에도 허울만 아버지일 뿐, 아버지스럽지 않은 사내가 많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허울만 어머니일 뿐, 어머니답지 않은 가시내도 많겠지요. 《달 밝은 밤》은 ‘술에 몸을 맡긴 놈’으로 굴러떨어진 사내가 어떻게 스스로 망가지는가 하는 얼거리를 보여줍니다. 그런데 ‘그분은 왜 술바보가 되’었을까요? ‘그분은 왜 술내음에 절’며 삶도 살림도 사랑도 등질까요? 이 그림책을 보면, ‘아이 어머니’는 보기싫은 사람을 안 보려고 집을 떠나고, 아이는 어머니도 아버지도 그리우나 두 손길을 받지 못 합니다. 무엇보다 아무도 서로 묻지 않아요. “왜 술을 마시는”지, “왜 집을 떠나는”지 묻지도 먼저 밝히지도 않습니다. 나이가 들었기에 ‘어른’이지 않고, 아이를 낳았기에 ‘어버이’이지 않습니다. 나이를 머금는 몸이란, 어른으로 가는 첫발이요, 아기를 배어 낳는 삶도 어버이로 가는 첫단추일 뿐입니다. 아이는 무엇을 볼 수 있을까요? 아이는 스스로 이 별에 왜 태어났다고 생각해야 할까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좋아서 읽습니다, 그림책 - 어른을 위한 그림책 에세이
이현아 외 지음 / 카시오페아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 숲노래 인문책 2023.3.12.

인문책시렁 292


《좋아서 읽습니다, 그림책》

 이현아와 여덟 사람

 카시오페아

 2020.12.29.



  《좋아서 읽습니다, 그림책》(이현아와 여덟 사람, 카시오페아, 2020)을 읽었습니다. 그림책을 좋아하는 어른들이 저마다 어떤 삶을 보내는가 하고 밝히려는 줄거리 같지만, 이보다는 ‘어느 모임을 함께 꾸려’ 나가면서 삶을 어떻게 바꾸었다고 하는 ‘모임 알림글’ 같은 얼거리입니다.


  책 하나로 글을 여민 아홉 사람이 아홉 가지 눈길로 그림책을 바라보는 줄거리는 아니고, 어쩌다 보니 그림책에 마음이 끌려서 삶을 새삼스레 바라본다고 하는 줄거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좋은책도 나쁜책도 없기에 어느 책을 읽건 스스로 눈뜨는 징검돌로 삼으면 즐겁습니다. 굳이 좋은책을 들 까닭이 없고, 애써 나쁜책을 나무라야 할 까닭은 없습니다. 아이어른이 나란히 앉아서 어느 책에서건 어떤 삶과 눈길과 몸짓과 마음이 흐르는가 하고 곰곰이 짚으면 됩니다. 지은이·펴낸곳 이름값을 다 지우고서, 그저 그림책으로만 바라볼 노릇입니다.


  어느 지은이나 펴낸곳을 좋아하다 보면, 그만 이름값에 스스로 사로잡혀서 그림책이건 글책이건 어떤 속내이자 밑뜻인지 놓치게 마련입니다. 그림책을 잘 읽어내는 길은 없습니다. 그림책을 잘 읽어내야 하지도 않습니다. 그림책을 잘 뜯어보아야 하지 않습니다. 그림책이 들려주는 가르침이나 이야기를 높이거나 낮출 까닭도 없습니다.


  서울에서 살며 시골을 이따금 놀러다니는 얼거리가 드러난 그림책은 이런 얼거리를 고스란히 느끼고 말하면 됩니다. 모든 어린이가 배움터(학교)에 다니지 않으나, 배움터에 안 다니는 어린이는 아예 생각조차 않는 그림책은 이런 얼개를 그저 그대로 느끼고 말하면 됩니다.


  아름답다고 손꼽히는 그림책을 찬찬히 보면, 굳이 ‘배움터(학교생활)’를 드러내거나 내세우지 않아요. 그러나 우리나라 그림책, 이른바 창작그림책에는 너무나 많은 그림책이 배움터(학교생활 + 학원생활)를 발판으로 삼고, ‘일하는 어머니 + 술먹는 아버지’란 틀에 갇힙니다.


  무엇을 그리고 바라보기에 저마다 삶을 새롭게 가꾸는 징검돌로 삼을 만할까 하고 처음부터 되새길 수 있기를 바랍니다. ‘겉(현실로 드러나는 사실관계)’을 옮기기에 그림책일까요? ‘속(앞으로 이루려는 꿈을 사랑으로 참답게 담는 길)’을 담기에 그림책이지 않을까요? ‘일하는 어머니’를 아름답게 담는 길은 어렵지 않습니다. 《닭들이 이상해》라든지 《집안일이 뭐가 힘들어》 같은 사랑스러운 그림책이 있어요. 바보스런 아버지를 자꾸 보여주면 사내란 놈은 그저 바보일 뿐이니 어쩔 수 없다는 마음에 사로잡히기 좋습니다. 《당나귀 실베스터와 요술 조약돌》이라든지 《닉 아저씨의 뜨개질》 같은 아름다운 그림책이 있어요. 순이돌이가 저마다 어떤 살림빛을 지으며 나눌 적에 어깨동무라는 보금자리를 꾸릴 만한가 하고 상냥하게 넌지시 밝히기에 비로소 ‘그림책’이란 이름을 붙일 만합니다. 레오 리오니 님이 여민 《내 꺼야》 같은 그림책도 더없이 아름답지요.


  그림책을 ‘창작그림책’이나 ‘유명작가 그림책’이란 굴레를 씌우면서 들여다보는 ‘테라피 자격증 수업’은 이제 그만 사라지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거기에서 끝이 아니었다. 아이가 중·고등학교에 올라가면 이번에는 아이의 빈틈없는 진로 준비를 위해 아이의 학교와 학원 스케줄에 맞춰 자신의 하루를 계획하는 것은 엄마들에게 너무도 당연한 의무로 여겨졌다. 아이가 성인이 되면 잠시 숨을 고르는 듯했지만, 그다음에는 손주를 대상으로 그 긴 레이스를 또다시 시작하신 분들을 자주 보았다. (23쪽)


시간이 흘러 교사가 되고 난 뒤, 나는 내가 학생 시절 당했던 폭력을 똑같이 행사할 수 있는 위치에 서 있음을 알게 되었다. (47쪽)


30대 중반이 된 내 몸은 10년 전의 내 몸과는 사뭇 달라 고집이 한껏 세져 있었다. 똑같은 양의 밥을 먹어도 쉽게 살이 쪘고, 며칠 스파르타식으로 연거푸 달린다고 해도 하루에 500그램씩 빠지는 일은 결코 없었다. ‘그때 먹히던 방법이 왜 이젠 안 듣지?’ 당황스러움이 밀려왔다. (96쪽)


파리에 머무는 마지막 날, 그날은 눈부신 햇살이 거리를 청아하게 비추고 있었다. 우리는 공항으로 향하기 전에 시간을 내어 다시 어베이 서점을 찾았다. 선물처럼 우연히 발견한 이 매혹적인 책 공간에서 파리와 작별인사를 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146쪽)


신혼집을 구하러 다니던 여름이었다. 마음에 드는 집을 발견했다는 소식을 전하고자 처음 엄마에게 전화했을 때, 엄마는 창문 밖 살구나무의 안부에 제일 많은 관심을 보였다. (18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거야!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271
레오 리오니 지음, 김난령 옮김 / 시공주니어 / 2020년 3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3.8.

그림책시렁 1211


《내꺼야!》

 레오 리오니

 서명희 옮김

 분도출판사

 1987.4.1.



  누가 “내 꺼야!” 하고 외칩니다. 이때에 “요건 내 꺼야!” 하고 맞서는 아이가 있습니다. 이러자 둘레에서 “이건 내 꺼야!” 하며 우글우글 왁자지껄합니다. 왜 이렇게 ‘내것타령’을 하는가 싶어 바깥으로 나옵니다. 문득 저를 알아본 동무가 따라와서 묻습니다. “넌 아무것도 안 가져?” “난 아무것도 안 가질래. 너희끼리 다 가져.” ‘내것타령’을 하는 아이들은 저마다 뭔가 잔뜩 끌어안기는 하되, 끌어안고 둘레를 노려보느라 놀지도 꼼짝하지도 못 합니다. 아무런 ‘내것’이 없는 몸이니 텅 비었다고 여길 테지만, 아무것을 움켜쥐지 않았기에 가볍게 걷고 뛰고 달리고 노래하고 춤춥니다. 더구나 ‘아무것도 거머쥐지 않으’면 온통 사랑으로 가득한 말을 마음껏 펼 만합니다. 《내꺼야!》는 1987년에 처음 한글판이 나오고, 2003년에 새로 나온 뒤, 2020년에 거듭 나옵니다. ‘내것타령’을 하는 아이어른 슬픈 마음을 가벼이 토닥이는 그림책이 잊힐 만하면 조용하게 다시 나오는 얼거리입니다. 곰곰이 보면 “내 것”도 “우리 것”도 아닙니다. 다 다른 숨결로 다 다른 빛깔을 밝히며 다 다른 사랑으로 흐르는 다 다른 삶입니다. 누가 움켜쥐려 한다면 다 내주기로 해요. 홀가분이 내주고 훨훨 날아서 하늘노래를 불러 봐요.


#ItsMine #LeoLionni


ㅅㄴㄹ


모든 ‘주례사비평’은 ‘내것타령’하고 같다.

‘문단권력’을 거머쥐려 하는 글바치는

언제나 서로 주례사비평을 하면서 띄워 준다.

우리나라에 ‘비평’이란 이름을 쓰는 

장사꾼은 많다만,

‘말을 하거나 글을 쓰는 사람’은 적다.

‘비평가·작가·전문가·예술가’란 이름은 모두

‘내것타령’을 하는 바보잔치라고 여길 만하다.

허울(이름값)을 내려놓지 않는 

‘내것타령’에 빠진 이들은

레오 리오니 그림책을 아예 안 쳐다보겠지.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봐요, 까망 씨! 비룡소의 그림동화 196
데이비드 위즈너 글.그림 / 비룡소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3.8.

그림책시렁 1133


《MR WUFFLES!》

 David Wiesner

 Andersen press

 2013.



  예전만큼은 아니되, 오늘날에도 제비는 서울이나 인천처럼 매캐하고 시끄럽고 터무니없이 바보스레 잿더미(아파트)를 끝없이 올리면서 쇳덩이(자동차)가 들끓는 곳에도 드문드문 봄날에 찾아갑니다. 거의 모든 제비는 이제 서울이나 인천에 구태여 더 안 찾아갑니다. 너무 바보스럽고 엉터리인걸요. 먹잇감이 없기에 서울이나 인천에 안 찾아가는 제비가 아니라, ‘사람 스스로 서로 이웃으로 안 쳐다보며 쌈박질을 미친 듯이 해대는 판’에 깃들다가는 새끼 제비를 사랑으로 낳아 돌보기 어렵다고 여겨서 안 찾아갑니다. 《MR WUFFLES!》는 별사람(외계인)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별사람은 ‘쌈박질하는 사람 눈길’에는 안 들어오게 마련입니다. 쌈박질을 하지 않으며 하루를 느긋이 보내는 고양이한테는 보일 만하고, 아직 사람들 곁에 남은 쥐나 개미한테는 보일 만해요. 별사람은 별빛을 누리고 품으면서 나누는 사람입니다. 오늘날 ‘푸른별사람(지구인)’은 어떤 모습일까요? 우리는 스스로 ‘별빛사람’이거나 ‘푸른사람’일까요, 아니면 ‘돈사람(돈에 돈 사람)’이거나 ‘쌈사람(쌈박질꾼)’일까요? 아니면‘겉사람(겉치레에 매달려 명예·권력을 누리려는 사람)’이거나 ‘옷사람(옷을 걸친 겉모습에 스스로 묶인 사람)’일까요? 사랑을 잊은 채 살림길하고 등진 몸짓이라면 ‘탈사람(탈을 뒤집어쓴 사람)’일는지 몰라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에 빠진 개구리 마루벌의 좋은 그림책 4
맥스 벨트하우스 지음, 이명희 옮김 / 마루벌 / 1995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3.8.

그림책시렁 1088


《사랑에 빠진 개구리》

 맥스 벨트하우스

 이명희 옮김

 마루벌

 1995.9.30.



  사랑이라면 까닭을 안 묻습니다. 까닭을 묻는다면 사랑이 아닙니다. 사랑에는 아무런 까닭이 없습니다. 사랑이기에 오롯이 빛나고, 이 사랑빛은 스스로 살리는 숨결이면서, 둘레를 따스하게 적시고 시원하게 틔워 새롭게 나아가는 기운으로 흐릅니다. ‘좋아함’이라는 까닭을 묻습니다. 좋아하기에 까닭을 묻고, 왜 마음에 드는가를 밝힙니다. 좋아하거나 안 좋아하는 까닭이 있게 마련입니다. 무엇을 좋아하다 보면 무엇을 안 좋아할 수밖에 없고, 무엇을 안 좋아하니 다른 무엇을 좋아하는 수렁이나 쳇바퀴에 잠겨요. 좋아하는 마음이 있는 사람들은 어느새 ‘가름·나눔’을 합니다. 좋아하기에 좋아하는 쪽에 더 ‘나누어 주고 싶’고, 안 좋아하기에 안 좋아하는 쪽을 더 ‘갈라서 가로막으려’고 합니다. 《사랑에 빠진 개구리》에는 여러 아이들이 나오는데, 이 가운데 개구리하고 오리는 서로 남다릅니다. 둘은 한참 망설입니다. 둘이 속으로 어떤 마음이자 숨결인가 하고 끝없이 돌아봅니다. 그저 ‘좋아함·마음끌림’인지, ‘가없고 티없이 따스하게 품으면서 시원하게 틔우는 새로운 길인 사랑’인지 자꾸자꾸 헤아려요. 한글판 그림책은 “사랑에 빠진 개구리”라 옮겼으나, 사랑에는 ‘빠질’ 수 없어요. 사랑은 그저 사랑입니다.


#막스벨튀이스 #맥스벨트하우스 #사랑에빠진개구리

#FrogandDuck  #MaxVelthuijs


《Frog and Duck》(Max Velthuijs, Andersen Press, 1989.)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