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이 아저씨의 그림물감 주니어 그림동화 11
산드라 피크 글, 로렌 사이먼 그림, 송호빈 옮김 / 주니어북스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6.13.

그림책시렁 1245


《그레이 아저씨의 그림물감》

 산드라 피크 글

 로렌 사이먼 그림

 송호빈 옮김

 주니어북스

 2014.5.30.



  누가 알려주아야 나무를 알지 않습니다. 우리가 나무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나아간다면, 스스로 느끼고 바라보고 받아들이는 결을 헤아려 새롭게 이름을 붙입니다. 그래서 나라와 겨레마다 ‘같은 나무를 가리키는 다 다른 이름’이 있습니다. 생각해 볼 줄 알아야 합니다. 우리는 이 땅에서 ‘오동나무’라 하지만, 바다 건너 일본이나 뭍 너머 중국뿐 아니라 미국이며 영국이며 독일이며 덴마크이며 필리핀이며 카자흐스탄에서 가리키는 이름은 다 다를 수밖에 없어요. 사랑으로 낳아 돌보는 아이한테 누가 이름을 붙이나요? 바로 우리 스스로 붙입니다. 남한테 이름짓기를 맡기지 않아요. 우리가 스스로 사랑으로 살아가는 집에서 주고받는 말은 언제나 우리가 스스로 마음에 심어서 나누려는 ‘즐거운 숨빛이 깃든 소리’입니다. 《그레이 아저씨의 그림물감》은 잿마을(도시)에서 그냥그냥 달삯꾼으로 일하던 아저씨가 어느 날 문득 ‘빛깔로 물들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모두 틀에 가두어 똑같이 묶은 모습을 바꿀 수 있’는 줄 알아차린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새길에 눈뜬 아저씨는 혼자만 즐겁게 살아가고 싶지 않아요. 모든 사람이 저마다 즐겁게 새빛을 맞아들이면서 사랑을 지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사랑은 스스로 짓습니다.


#SandraPiquee #RaurentSimon #LeMondeDeYakatougris


https://laurent-simon.ultra-book.com/edition_jeunesse-p10673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태양 왕 수바: 수박의 전설 웅진 모두의 그림책 50
이지은 지음 / 웅진주니어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6.12.

그림책시렁 1246


《태양왕 수바, 수박의 전설》

 이지은

 웅진주니어

 2023.5.15.



  길들면 버릇으로 가기에 몸이 뻣뻣합니다. ‘길듦·버릇·굳음’은 ‘스스로 새롭게 움직이려는 마음’하고 멀어요. 오늘 우리가 쓰는 말은 아직 ‘우리말’이 아닌, ‘일제강점기에 쳐들어온 굴레’입니다. 시골사람이 예전에 ‘태양·왕·전설’ 같은 한자말을 썼을까요? 시골말은 ‘해·임금·이야기’입니다. 재미난 줄거리를 재미나게 즐기려 한다면 ‘생각하지 않아도 되’겠지요. ‘재미’란 ‘재(잿더미)’가 말밑이요, ‘가볍게 날렸다가 부질없이 사라지는 허울’을 나타냅니다. 재미는 잿더미나 ‘장난’에 머물다가 사라지기에, ‘즐거움’이 아닌 ‘재미’로 기울면 ‘생각하지 않아 길들어, 참빛과 속마음을 잊는 굴레’로 나아가요. 《태양왕 수바, 수박의 전설》을 읽으면, 할머니가 수박을 아는지 모르는지 아리송합니다. ‘수박’을 다들 진작부터 심었다면 알 테고, 끝맺음에 나오듯 ‘골골샅샅 수박씨가 퍼졌다’란 얼거리는 엉뚱합니다. 빈틈없이 틀을 짜야 하지는 않겠으나 ‘수바·수박’으로 벌이는 말장난을 하려면 ‘삶자취’를 제대로 보아야 할 노릇입니다. ‘수박’은 ‘슈룹·수북·숲·수수하다’하고 얽힌 이름입니다. 그림님이 ‘수박’ 말밑을 알았는지 모르겠지만, ‘수’가 붙은 오랜 우리말은 ‘돌봄’을 나타냅니다. ‘핏빛’을 닮은 살점으로 우리를 돌봐 주는 열매가 ‘수박’입니다.


ㅅㄴㄹ


《태양왕 수바》(이지은, 웅진주니어, 2023)


태양 왕 수바입니다

→ 해임금 수바입니다

13쪽


일단 제 얘기를

→ 먼저 제 얘기를

13쪽


아까부터 잘 듣고 있었다

→ 아까부터 잘 듣는다

13쪽


하늘나라의 생명을 보살피는 용입니다

→ 하늘나라 숨결을 보살피는 미르입니다

13쪽


큰 생명부터 작은 생명들까지 고루 잘 보살필 수 있지요

→ 큰 숨결부터 작은 숨결까지 보살필 수 있지요

→ 큰 숨빛부터 작은 숨빛까지 고루 볼 수 있지요

14쪽


그러려면 큰 제사상이 필요해요

→ 그러려면 비나리판을 해야 해요

20쪽


제 기도가 부족했습니다

→ 제 비손이 모자랐습니다

→ 제대로 못 빌었습니다

26쪽


배를 한 척 구해 주십시오

→ 배를 하나 빌려 주십시오

27쪽


이 은혜는 보물로 꼭 갚겠습니다

→ 이 사랑은 빛으로 꼭 갚겠습니다

→ 고마우니 돈으로 꼭 갚겠습니다

27쪽


바다의 신께서 응답을 주시고 계십니다

→ 바다님이 메아리를 해주십니다

→ 바다님이 말씀해 주십니다

28쪽


이 안에 있습니다

→ 여기 있습니다

→ 이곳에 있습니다

40쪽


혼자 수박을 꿀꺽하려는 건 아닐까요

→ 혼자 수박을 꿀꺽하려는 셈 아닐까요

→ 혼자 수박을 꿀꺽하지 않을까요

45쪽


약속대로 용의 보물을 드리겠습니다

→ 말씀대로 미르빛을 드리겠습니다

51쪽


수박 안에 씨가 얼마나 많던지

→ 수박에 씨가 얼마나 많던지

60쪽


팔도강산이 수박으로 넘쳤지 뭐야

→ 온나라가 수박으로 넘쳤지 뭐야

→ 나라가 수박으로 넘쳤지 뭐야

→ 골골샅샅 수박으로 넘쳤지 뭐야

60쪽


이것은 수박의 전설이여

→ 이렇게 수박 이야기여

→ 수박 옛이야기여

6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물학자 템플 그랜딘 - 생각이 사진처럼 찰칵찰칵! 바위를 뚫는 물방울 8
줄리아 핀리 모스카 지음, 대니얼 리얼리 그림, 길상효 옮김 / 씨드북(주) / 2018년 7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책 2023.6.8.

그림책시렁 1204


《동물학자 템플 그랜딘, 생각이 사진처럼 찰칵찰칵!》

 줄리아 핀리 모스카 글

 대니얼 리얼리 그림

 길상효 옮김

 씨드북

 2018.7.25.



  먼나라에서 살아가는 사람을 만나서 이야기를 하기는 안 쉬울 만합니다. 옆나라 사람이라면 서로 쓰는 말이 달라, 생각을 나누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미 숨져서 이 땅에 없는 사람이라면 더더욱 만나서 이야기를 듣지 못 하리라 여길 만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늘 마음으로 언제 어디에서나 서로 만납니다. 그리고 서로서로 남긴 글과 그림과 책이 있기에, 이 여러 가지를 헤아리고 나누면서 고요히 눈빛으로 생각이 흐를 수 있습니다. 《동물학자 템플 그랜딘, 생각이 사진처럼 찰칵찰칵!》을 읽고서 한숨을 쉬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이 쓴 책이라면 ‘템플 그랜딘’ 님을 만나기 어려울 만하니 허술하게 책을 쓸 수 있을는지 모르나, 영어를 쓰는 나라에서 살아가는 사람이 쓴 책이 이렇게 허술해도 되나 아리송하더군요. 2010년에 나온 영화 〈템플 그랜딘〉을 보기만 했어도, 또 이분이 스스로 쓴 책을 읽기만 했어도, 또 이분이 들려준 말을 담아낸 그림(영상)을 찾아서 듣기만 했어도, 이런 책을 못 쓰고 못 그렸으리라 느낍니다. 부디 ‘마음으로 느끼기’를 바라요. 템플 그랜딘 님은 허울·겉·옷이 아니라 속·마음·빛을 느낄 줄 아는 길을 걸어왔습니다.


#TheGirlWhoThoughtinPictures #TheStoryofDrTempleGrandin

#JuliaFinleyMosca #DanielRieley

#TempleGrandin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 Friend Is Someone Who Likes You (Hardcover)
Joan Walsh Anglund / Harcourt Childrens Books / 1983년 9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책 2023.6.8.

그림책시렁 1193


《a Friend is Someone Who Like You》

 Joan Walsh Anglund

 Harcourt, Brace & World

 1958.



  ‘배우다’하고 ‘베끼다’는 ‘ㅐ’하고 ‘ㅔ’가 다르기에 확 다르게 뻗습니다. ‘배우다’란, ‘배다·배어들다’처럼 천천히 젖어들면서 몸과 마음으로 받아들여서 알아가는 길입니다. ‘배우다·배다’는 말밑이 ‘배’예요. 우리 몸에도 있고, 나무가 맺는 굵고 시원하며 알찬 열매이기도 하고, 물에 띄우며 새길을 나아가는 살림이기도 한 ‘배’이지요. ‘베’는 삼이라는 풀에서 얻은 실로 짠 천을 가리키는데, ‘베다’로 가면 ‘눕히다’하고 ‘자르다’ 둘로 가릅니다. 목아지를 자르기에 풀이 눕고, 목을 가만히 눕혀서 쉬려고 베개를 씁니다. 흙에서 오고 흙빛으로 가는 ‘베·베다’ 얼거리하고 맞닿는 ‘베끼다’는 ‘벗기다’가 뿌리입니다. ‘벗겨가는’ 결이 ‘베끼다’예요. 겉(옷)을 벗겨서 가져가는 길이니, 몸이며 마음에 배어들어 배우는 길하고 다르지요. 《a Friend is Someone Who Like You》 같은 책이 있는 줄 뒤늦게(1998년 즈음) 알았고, 이 그림책에 나온 그림(캐릭터)을 우리나라에서 곳곳에 ‘팬시상품’이라든지 여러모로 베껴서 그렸구나 하고 느꼈습니다. 이 나라 숱한 사람(어른이란 이름)들은 이웃나라 글·그림·노래·살림을 베껴왔습니다. 이제는 걷혔을까요? 이제는 안 베끼고(필사) 배우는 길일까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외톨이가 된 꼬마 팀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180
에드워드 아디존 글 그림, 장미란 옮김 / 시공주니어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6.8.

그림책시렁 1199


《외톨이가 된 꼬마 팀》

 에드워드 아디존

 장미란 옮김

 시공주니어

 2007.9.10.



  아이는 누구나 스스로 놀 줄 압니다. 누가 놀아 주어야 하지 않습니다. 동무나 또래나 언니나 동생이나 어버이나 어른이 놀아 주어야 아이가 즐거울 수 있지 않습니다. 어른이 된 몸일 적에도 누가 알아보거나 알아주어야 하지 않습니다. ‘나를 알아보는 사람’이 있기에 반갑거나 즐거울까요? 너는 나를 왜 알아보아야 할까요? 너는 너 스스로 알아보고, 나는 나 스스로 알아보아야 비로소 둘은 ‘홀로 빛나는 숨결로 서서 새롭게 만나는 사이’로 어울릴 만하지 않을까요? 《외톨이가 된 꼬마 팀》은 여러모로 아름답습니다. 아름그림책으로 꼽을 만합니다. 다만 “Tim All Alone”을 굳이 “외톨이가 된”에다가 “꼬마 팀”처럼 군더더기를 붙여야 할 까닭은 없다고 느낍니다. 수수하게 “팀은 혼자야”나 “외톨이 팀”입니다. 얼떨결에 엄마아빠하고 헤어질 뿐 아니라 숱한 가싯길을 거쳐야 하는 팀입니다. 둘레에서는 뭐 팀을 ‘꼬마’로 여기지만, 팀은 “‘꽃으로 필 아이’인 꼬마”이기는 하겠으나 언제나 ‘스스로서기·홀로서기’를 하려는 마음으로 의젓해요. 가만히 보면 “혼자 걷는 아이”요, “스스로 나아가는 아이”입니다. 우리가 어른이라면 아이한테 ‘네(내)가 너(나)를 스스로 사랑하는 길을 찾으렴’ 하고 속삭일 노릇입니다.


#EdwardArdizzone #TimAllAlone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