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님의 아이들 사각사각 그림책 51
미우라 타로 지음, 황진희 옮김 / 비룡소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7.1.

그림책시렁 1258


《임금님의 아이들》

 미우라 타로

 황진희 옮김

 비룡소

 2023.2.16.



  조그마한 임금이 커다란 곁님을 만나고 아이를 열 낳아서 살아가는 줄거리인 《임금님의 아이들》을 읽었습니다. 여러모로 뜻있습니다만, 열 아이가 맡는다는 ‘일’은 ‘일이 아닌 돈벌이’입니다. 이른바 ‘직업’이라는 한자말로 가리키지요. ‘생계 직업’하고 ‘일’은 달라도 아주 달라요. 우리말 ‘일’은 ‘일다(물결이 일어나다)’가 밑말입니다. 여느때에는 고요히 있다가, 어느 한 가지를 스스로 생각하여 맞아들일 적에 가볍게 움직이고(물결치고), 이윽고 스스로 너울(일으키는) 삶길이 ‘일’입니다. 이제 우리나라도 이웃나라도 아이들은 서울(도시)에서 나고자라게 마련이고, 서울아이는 서울어른을 지켜보면서 ‘앞으로 어떤 자리를 찾아서 돈을 벌 만할까?’ 하고 알아보려 합니다. 생각해 볼 노릇입니다. ‘임금’은 ‘일’이 아닌 ‘자리’입니다. 아이들은 무엇을 해야 할까요? ‘일’을 하는 ‘일자리’를 찾을 수 있을까요? 힘과 이름과 돈을 내세우면서 위아래로 가르는 틀인 ‘자리’를 보아야 할까요? 또는 서로 보살피거나 보듬는 숨결로 사랑을 짓는 ‘보금자리’를 찾을 수 있을까요? 아이한테 ‘직업’이 아닌 ‘일’을 보여주셔요.


#三浦太郞 #おうさまのこどもたち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금이 딱 좋아 웅진 당신의 그림책 3
하수정 지음 / 웅진주니어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7.1.

그림책시렁 1257


《지금이 딱 좋아》

 하수정

 웅진주니어

 2022.3.22.



  스스로 생각하면 스스로 알지만, 스스로 생각하지 않으니 남이 알려주어도 모릅니다. ‘생각’은 “새롭게 빛나도록 마음에 심는 씨앗”입니다. 그래서 우리말 ‘생각 = 새빛 = 씨앗’이라 여길 만합니다. 이 얼거리하고 말뜻·말밑·말결을 가만히 볼 줄 안다면, ‘걱정·근심’이 아닌 ‘생각’을 할 적에 스스로 피어나는 꽃송이인 줄 알아차려요. 이런 우리말을 제대로 바라보지 않는다면 ‘생각’이 아닌 ‘걱정·근심’으로 스스로 감싸다가 ‘두려움·무서움’을 일으켜서 스스로 죽음길로 치닫습니다. 《지금이 딱 좋아》를 읽었습니다. 서울살이를 하기에 사람과 숲과 살림을 모를 수는 없습니다. 시골에서 살아야만 해바람비를 누리지 않아요. 푸른별에서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언제 어디에서나 해바람비를 누리면서 풀꽃나무를 돌볼 만합니다. 스스로 마음을 기울이지 않으니 서울이 매캐합니다. 스스로 사랑을 심지 않으니 온나라가 갈라치기로 싸움판입니다. 우리가 스스로 생각할 적에 하나씩 거듭나거나 바뀝니다. 바로 오늘 이곳에서 하면 되어요. 다만, 하나는 살펴봐야겠지요. 다 다른 사람을 똑같이 생긴 잿집(아파트)에 가두는 나라(정부)는 무슨 속셈인지 읽을 노릇입니다. 잿집에 갇히면 스스로 생각을 잊다가 잃거든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작은 아빠 온그림책 13
다비드 칼리 지음, 장 줄리앙 그림, 윤경희 옮김 / 봄볕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7.1.

그림책시렁 1256


《나의 작은 아빠》

 다비드 칼리 글

 장 줄리앙 그림

 윤경희 옮김

 봄볕

 2023.4.3.



  사람은 작지도 크지도 않습니다. 그저 사람입니다.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가는 길은 쉽습니다. 스스로 사람인 줄 알면서, 사람은 무엇을 하려고 이 별에 왔는가 하고 생각하면 되어요. 사람이라는 살림길을 생각하지 않기에 ‘크고작음·좋고나쁨’을 가리고 맙니다. 《나의 작은 아빠》를 읽었습니다. 어느새 그림책에조차 ‘나의’라는 일본말씨를 함부로 쓰는 사람이 너무 많습니다. 어린이한테 엉터리 말씨인 ‘나의’를 그대로 쓴다면, 우리는 아직 철이 안 들었다는 뜻입니다. 굳이 “작은 아빠”를 들려주고 싶다면 “작은 아빠”라고 하면 됩니다. 또는 “이 작은 아빠”나 “우리 작은 아빠”라 하면 됩니다. ‘우리’라는 우리말은 ‘아우르는’ 말씨입니다. 너랑 나를 아우르기에 ‘우리’입니다. 준말로 ‘울’인데, ‘한울·울타리’하고 맞물립니다. 아이랑 아버지가 하늘처럼 서로 아우르면서 파랗게 빛나는 사랑을 마음에 담아서 든든하면서 틈새가 있어 바람이 드나드는 보금자리라는 울타리를 지을 줄 안다면, 비로소 둘 사이가 아름답겠지요. 책이름 하나만 제대로 붙여도, 이 이름 하나로 어버이랑 아이 사이에 피울 꽃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MonPetitPapa #DavideCali #JeanJullien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눈, 물
안녕달 지음 / 창비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6.30.

그림책시렁 1255


《눈, 물》

 안녕달

 창비

 2022.6.10.



  어릴 적 우리 집은 넉넉하지는 않아도 넷이서 두런두런 살아갈 만했지 싶습니다. 몸이 무너져 쓰러진 할아버지까지 다섯이어도, 어느새 잔소리는 한 마디도 못 하는 할머니까지 여섯이어도, 13평 집에 거뜬히 함께 자고 먹고 어울릴 만했습니다. 그런데 우리 아버지는 할머니 할아버지한테서 어릴 적부터 ‘어떠한 사랑도 못 받았다’고 여기셨는지 두 분을 거들떠보지 않았어요. 이뿐 아니라 날마다 밤 두어 시가 되어야 집에 들어와서 언니랑 저를 깨워 “가장이 들어오는데 벌써 자! 안 기다리고 자다니 말이 돼!” 하면서 온마을에 술지랄을 했습니다. 할아버지도 할머니도 눈을 감고 저승으로 떠나기 앞서, 저를 물끄러미 바라보면서 “미안하다, 미안하다.” 하고 나즈막히 읊었습니다. 누구한테 읊는 혼잣말이었을까요. 《눈, 물》을 읽었습니다. 아이는 모두 사랑받아 태어납니다. 어버이는 아이를 낳으면서 아이한테서 사랑빛을 받습니다. 아이는 ‘잘’ 키워야 하지 않습니다. 아이는 스스로 길을 엽니다. 사랑이란, ‘더 많은 돈’이 아니고, ‘집안 지키기’가 아니고, ‘핏줄 잇기’가 아닙니다. 우리 집 두 아이한테는 동생이 둘 있으나, 모두 몇 달 못 살고 떠났어요. 무화과나무 곁에, 유자나무 곁에 깃든 둘은 마음으로 하나입니다.


감동과 눈물을 짜내지 않아도 된다.

삶을 말하면 되고,

서울을 떠나면 된다.

시골에서 숲을 품고서

멧새노래를 누리는 하루이면

누가 누구를 지켜야 할 까닭도 일도 없이

날마다 새롭게 사랑이다.

아쉬운 그림책.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빙하기 - 그날 이후 모든 것이 시작되었다 지양어린이의 세계 명작 그림책 81
라파엘 요크텡 지음, 하이로 부이트라고 그림, 윤지원 옮김 / 지양어린이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2023.6.27.

그림책시렁 1247


《빙하기》

 라파엘 요크텡 글

 하이로 부이트라고 그림

 윤지원 옮김

 지양어린이

 2023.4.25.



  우리는 어떻게 이 별에 내려앉아 무엇을 하면서 첫삶을 누렸는지 돌아봅니다. 우리 몸에는 처음부터 오늘까지 보낸 하루를 차곡차곡 새깁니다. 흘러가는 나날은 하나인 줄기이자 덩이입니다. 달종이에 딱딱 끊어 바라보더라도 모든 날은 한결로 이어요. 해가 뜨건 지건 ‘하나로 잇는 삶’입니다. 몸이 스러져서 떠나더라도, 새몸을 입고 태어나더라도, 모든 사람은 예부터 오늘을 거쳐 모레로 나아가는 동안 늘 ‘하나로 맞물리는 길’입니다. 풀씨도 나무씨도 먼 옛날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고스란히 흐릅니다. 사람씨도 아스라한 지난날과 오늘날이 그대로 만납니다. 《빙하기》는 ‘어느 삶’을 되새기는 아이 몸짓을 보여줍니다. 아이는 스스로 마주하는 모든 날을 곰곰이 보다가 어떤 ‘빛’을 느껴요. 이 빛은 ‘나’를 나로서 바라보는 눈길입니다. 나랑 너 사이를 가르려 할 적에는 아무 빛을 못 느끼고 못 보지만, 나랑 너 사이를 감도는 바람을 알아차릴 적에는 ‘살아가는 이야기’를 깨달으면서 문득 웃고 노래하면서 모든 하루를 새롭게 사랑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역사 아닌 삶’을 맞아들이기에 ‘사람’입니다. 허울을 벗기에 눈을 틔웁니다.


#RafaelYockteng #JairoBuitrago #UGH #UnRelatoDelPleistoceno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