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iggest, Smallest, Fastest, Tallest Things You'Ve Ever Heard of (Hardcover)
Robert Lopshire / Ty Crowell Co / 1980년 10월
평점 :
품절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1.28.

그림책시렁 1220


《The Biggest Smallest Fastest Tallest》

 Robert Lopshire

 Scholastic

 1980.



  귀를 기울인다면, 지렁이가 땅밑에서 꼬물꼬물 기면서 흙을 살리는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눈을 뜬다면, 아지랑이가 하늘하늘 춤추다가 구름을 이루더니 눈이나 비를 내리려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귀를 연다면, 여름에 떠나는 철새에 이어 가을에 들어서는 철새가 날갯짓을 하며 울리는 소리가 하늘을 덮는구나 하고 느낄 수 있어요. 눈을 틔운다면, 바람 한 줄기에 별빛 한 자락에 내려앉아서 우리 보금자리에 사뿐히 내려앉는 줄 느낄 만합니다. 《The Biggest Smallest Fastest Tallest》는 무엇이 크거나 작거나 빠르거나 껑충한지를 들려줍니다. 크거나 작거나 빠르거나 껑충한 몸으로 어떤 살림을 펴고 어떤 이야기가 흐르는지 차근차근 알려주고요. 더 나은 몸이나 더 좋은 길이 아닌, 다 다르면서 저마다 새로운 하루입니다. 이렇게 해야 하거나 저렇게 가야 하지 않아요. 누구나 스스로 즐겁게 맞이하면서 신나게 살아가는 나날입니다. 키가 크다면 큰 대로 누려요. 키가 작으면 작은 대로 즐겨요. 힘이 세다면 센 대로 일을 하고, 힘이 적다면 적은 대로 일을 맡습니다. 제비는 매처럼 날지 않습니다. 고니는 나비처럼 날지 않아요. 개미는 길앞잡이처럼 뛰지 않아요. 어린이는 언제나 어린이답고 뛰고 달리고 놀며 웃기에 사랑입니다.


#RobertLopshire (1927-2002)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이네 동네 이야기 한이네 동네 이야기
강전희 지음 / 진선아이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1.28.

그림책시렁 1291


《한이네 동네 이야기》

 강전희

 진선아이

 2012.4.20.



  예부터 우리말은 ‘마을’입니다. ‘마실’이나 ‘말·실’이라고도 했고, ‘고을·골’이라고도 했습니다. 때로는 ‘터’라고도 했어요. 이 같은 우리 삶터는 일본이 총칼로 쳐들어온 뒤부터 ‘정(町)’도 썼지만 ‘동(洞)’이 확 퍼졌습니다. 그리고 ‘동네(洞內)’ 같은 말씨도 뻗었어요. 이러다가 다시 우리말 ‘마을’이 차츰 살아납니다만, ‘마을·말·실·고을·골·터’ 같은 낱말이 어떤 밑동이거나 뿌리인지 살피는 사람은 드뭅니다. 《한이네 동네 이야기》를 읽었습니다. 한이‘네’가 살아가는 터전은 그림책으로 보건대 아직 오순도순 북적북적 어울리는 듯싶습니다. 햇볕을 골고루 나누고 바람도 두루 나누는 마을에서는 다들 걸어다니면서 만나고 얘기합니다. 이와 달리 잿더미로 높직하게 쌓은 곳에서는 다들 안 걸어요. 오늘날 잿터(아파트 단지)는 걸어다닐 만한 데가 아닙니다. 잿터를 둘러싼 곳도 비슷하지요. 쇳덩이(자동차)로 오가는 틀로 짜는 큰고장이에요. 부릉부릉 시끄럽고 매캐하게 얽히는 곳에서는 이야기도 살림살이도 없습니다. 그러나 온나라가 자꾸자꾸 마을을 없애고 잿더미를 올리려는 판입니다. 앞으로 살림집과 골목과 마을이 더 사라지면, 한이네뿐 아니라 모든 아이들이 숨돌릴 곳조차 사라지겠지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까만 아기 양
엘리자베스 쇼 지음, 유동환 옮김 / 푸른나무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1.28.

그림책시렁 1316


《까만 아기 양》

 엘리자베스 쇼

 유동환 옮김

 푸른나무

 2006.7.19.



  치마를 두르고 싶다면 치마를 두르면 됩니다. 바지를 꿰고 싶다면 바지를 꿰면 됩니다. 긴치마를 두르고 싶다면 긴치마를 두르고, 깡똥치마를 두르고 싶다면 깡똥치마를 두르면 됩니다. 순이가 바지를 꿰든, 돌이가 치마를 두르든, 하나도 안 대수롭습니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온누리 모든 곳에서는 처음에 누구나 긴머리였어요. 머리카락은 겨우내 머리하고 목을 포근히 감쌀 뿐 아니라, 여느 때에는 밤마다 잠자리에서 머리를 받쳐주지요. 이제는 옛날이 아니라고들 하는데, 새롭게 너나들이를 일구는 새날인 오늘이라고 한다면, 순이돌이 누구나 스스로 누리고픈 옷차림에 머리길이로 나아가면 돼요. 틀로 억누를 까닭이 없습니다. 《까만 아기 양》은 여러 털염소 가운데 오직 한 마리만 검은털이던 어느 날 어느 멧자락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털염소지기 할아버지는 흰털도 검은털도 사랑스럽습니다만, 털염소를 모는 노릇을 돕는 개(폴로)는 이렇게 여기지 않았다지요. 시키는 대로 따라야 한다고 여기는 마음이란 뭘까요? 누가 누구한테 뭘 시키는가요? 우리는 저마다 스스로 생각하고 살피면서 하루를 지을 노릇이리라 봅니다. 이렇게 해야 옳다든지 저렇게 하면 그르다고 갈라서, 짓누르거나 괴롭히거나 따돌릴 까닭이 없습니다.


#TheLittleBlackSheep #ElizabethShaw


+


《까만 아기 양》(엘리자베스 쇼/유동환 옮김, 푸른나무, 2006)


새싹이 돋아나기 시작했어요

→ 새싹이 돋아나요

6쪽


할아버지는 바위 위에 앉아

→ 할아버지는 바위에 앉아

8쪽


모두 무사히 돌아온 것을 확인한 뒤에야 우리의 문을 닫는답니다

→ 모두 잘 돌아온 줄 살핀 뒤에야 우리를 닫는답니다

12쪽


까만 털을 가진 아기 양이 있지요

→ 까만 아기 털염소가 있지요

14쪽


폴로의 생각은 다른가 봐요

→ 폴로는 생각이 다른가 봐요

22쪽


하늘이 점점 어두워졌어요

→ 하늘이 차츰 어두워요

24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잡은 예쁜 물고기
야엘 방 데 호브 글 그림, 강미라 옮김 / 봄봄출판사 / 2004년 5월
평점 :
절판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1.22.

그림책시렁 1310


《내가 잡은 예쁜 물고기》

 야엘 방 데 호브

 강미라 옮김

 봄봄

 2004.5.10.



  우리 어머니한테 이따금 “제가 1살일 적에는 어땠어요?”라든지 “제가 3살일 적에는 뭐 하고 놀았어요?” 하고 여쭈었으나, 우리 어머니는 “그 옛날 일을 어떻게 다 떠올려! 일하느라 바빴지!” 하면서 하나도 얘기해 주지 않았습니다. 아무런 실마리를 찾을 수 없었으나 그리 서운하지는 않았어요. 우리 어머니는 제가 어릴 적 일을 다 잊었거나, 또는 떠올리기 싫다고 하더라도, 오늘을 우리 아이들하고 살아가는 제가 우리 아이들 어릴 적을 떠올리면 되거든요. 우리 아이들이 “나는 2살 때 어땠어요?”라든지 “나는 7살 때 뭐 했어요?” 하고 물으면 싱글벙글 웃으면서 두 아이가 얼마나 신나게 하루를 놀이로 빛냈는지 차근차근 들려줍니다. 《내가 잡은 예쁜 물고기》는 아름답습니다. 아이가 신나게 누리는 하루를 따사롭게 밝혀요. 어른이 낚싯대를 쥐고서 찌를 드리울 적하고, 어린이가 소꿉낚시를 할 적은 확 달라요. 어린이는 숱한 놀이 가운데 하나로 낚시를 고를 뿐이에요. 둘레 어른들이 낚시를 하는 모습을 으레 보았거든요. 다만, 둘레 어른들은 꽤 심심한 낚시질만 합니다. 구워먹을 고기만 따진다든지, 벌이로 삼을 고기잡이만 쳐다봐요. 이와 달리 어린이는 즐겁고 재미나게 하루를 새로 열면서 노래합니다.


#Au Bout De La Ligne #YaelVentdesHove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어느 날 문득

이 그림책을 보고는

깜짝 놀랐다.

두 아이한테 참 자주 읽혔는데

어느새 판이 끊어졌구나.

여태 느낌글을 안 쓴 줄

2023년이 되어서야 알았다.

느낌글을 너무 늦게 썼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자를 보았어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248
존 클라센 글.그림, 서남희 옮김 / 시공주니어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3.11.18.

그림책시렁 1297


《모자를 보았어》

 존 클라센

 서남희 옮김

 시공주니어

 2016.10.11.



  날씨는 우리 마음에 따라 바뀝니다. 날씨가 어떻게 사람이 마음을 품기에 따라 바뀌느냐고 따지고 싶다면, 우리나라에 유난히 있는 셈겨룸(대입시험)을 떠올리면 됩니다. 셈겨룸을 치르는 날이면 일찌감치 꽁꽁 얼어붙습니다. 그런데 셈겨룸을 마칠 즈음이면 어느새 날씨가 풀려요. 걱정에 근심에 두려움이 엇갈리면서 하늘도 바람도 얼어요. 고빗사위를 지나가면 봄눈처럼 마음이 녹고 부드러우니 날씨도 이 결을 따라갑니다. 《모자를 보았어》는 “We Found a Hat”을 우리말로 옮깁니다. 그림님은 애써 ‘We’를 책이름에 넣었는데, 알쏭달쏭하게도 한글판에는 ‘우리’를 빠뜨렸군요. 이 그림책은 그냥 “모자를 보았어”가 아니에요. “우리는 모자를 찾았다”입니다. 그렇지요, ‘그냥 모자’도 ‘그냥 보다’도 아닌 “우리가 찾은 모자”를 다루는 줄거리입니다. 처음에는 문득 둘이 나란히 보았다면, 다시 보고 또 살피는 사이에 스르르 잠들면서 꿈누리에서 새롭게 만나는 모자란, 서로 마음을 모아서 아름답게 찾아낸 사랑이라 여길 만해요. 나 혼자가 아니라 우리가 함께 무엇을 하면서 나란히 즐겁게 사랑으로 나아갈 수 있는가를 들려줍니다. 내 곁에 있는 너를 보고, 네 곁에 있는 나를 생각하니, 둘은 새빛을 찾아냅니다.


#WeFoundaHat #JonKlassen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