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2.6.18.

숨은책 671


《새마을》 20호

 편집부 엮음

 대한공론사

 1973.12.1.



  2011년에 고흥에 처음 깃들며 시골 곳곳에서 나부끼는 ‘새마을’ 글씨에 깜짝 놀랐습니다. 대구나 부산이야 ‘새마을’이 펄럭일 수 있더라도 전남 시골에 웬 ‘새마을’인가 싶더군요. 예전 고흥지기(고흥군수)는 “참고흥 새마을정신 실천운동”이란 이름을 내세워 살림돈(군청예산)을 펑펑 쓰기까지 했습니다. 《새마을》 20호는 ‘나라지기’ 아닌 ‘각하’라는 일본말씨로 깍듯이 우러러야 했던 우두머리를 앞세운 숱한 달책 가운데 하나입니다. 나래꽃(우표)을 한창 모으던 어린날(1982∼87), 동인천에 있는 나래꽃지기(우표가게 일꾼)한테 가면 나래꽃하고 얽힌 여러 이야기를 듣는데, 어느 날 “얘야, 우표에 대통령 얼굴이 자주 나오는 나라는 독재국가야. 민주국가에서는 취임식 모습만 우표에 담고, 독재국가는 뻔질나게 우표에 나와.” 하고 불쑥 한마디 하셔요. “네?” 하고 놀라며 나래꽃지기를 바라보는데 조금 앞서 암말도 안 했다는 듯이 말머리를 돌리시더군요. 철없는 아이가 ‘이승만·박정희·전두환’ 얼굴이 깃든 나래꽃을 사모으는 모습에 뭔가 알려주고 싶으셨다고 나중에 깨달았습니다. 푸름이로 접어들어 이웃나라 나래꽃을 살피니 아름나라(민주평화국)는 우두머리 아닌 글님·그림님·살림님·풀꽃나무 얼굴을 담더군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2022.6.13.

숨은책 676


《저주 받으리라 법률가여!》

 프레드 로델 글

 박홍규 옮김

 물레

 1986.6.20.



  2022년 봄, 민주당은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을 밀어붙였습니다. 여기에는 ‘윤미향’도 함께했습니다. 이들은 우리나라에서 ‘검찰’만 말썽이라고 여깁니다. 그런데 적잖은 ‘경찰’도 창피한 짓을 자주 일으켰고, 숱한 ‘국회의원’부터 낯부끄러운 짓을 끝없이 일삼아요. ‘법관’ 자리에 있는 이까지 뒷돈을 받거나 검은짓을 꽤 했으며, 말썽을 저질러 물러난 고을지기(지자체장)마저 여럿입니다. 여태껏 잘못이 없던 나라지기는 없습니다. 이쪽 무리(정당)이든 저쪽 무리이든 얄궂은 짓을 수두룩하게 저지릅니다. 열린배움터(대학교)에서 횃불(교수) 자리를 차지한 이들은 깨끗할까요? 노닥질(성추행·성폭력)은 나라 모든 곳에서 자꾸자꾸 스멀거려요. 《저주 받으리라 법률가여!》는 1986년에 우리말로 나올 만했고, 요즈음 다시 나와야지 싶습니다. 길(법)을 다룬다면서 사람들 머리꼭대기에 올라앉아 넋나간 짓을 하는 이들이라면 ‘법률가’ 아닌 ‘눈속임꾼’이요 ‘거짓쟁이’일 테지요. 다만 그 모든 거짓바치한테 미움(저주)을 뿌리지는 않기를 바라요. 그저 “뿌린 대로 거둔다”는 옛말 한 마디를 들려주면 돼요. 박홍규 님이 옮긴 이 책은 “대구 중구 동성로2가 40-11”에 깃들던 작은 ‘물레’에서 펴냈습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WoeUntoYouLawyers #FredRodel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2022.6.13.

숨은책 690


《人間として見たる使徒パウロ》

 賀川豊彦 글

 警醒社

 1938.4.5.



  헌책집을 다니다가 가가와 도요히코(賀川豊彦) 님 책을 만나면, 이미 읽은 책이어도 새삼스레 들추고, 우리말로 안 나온 일본책이라면 궁금해서 펼칩니다. 《人間として見たる使徒パウロ》는 “사람으로서 본 횃불 바오로”를 들려줍니다. 이 책에는 예전에 장만해서 읽은 분 자취가 곳곳에 있습니다. ‘宗陽文庫. No.52. 主后 年 月 日. 朱奉根’처럼 책마루(서재)를 두고서 알뜰히 건사하려 했고, “4285(1952).6.7.”처럼 다른 책숲(도서관)에 드린 책 같습니다.. 1952년이라면 한겨레싸움(한국전쟁) 한복판일 텐데, 피비린내 틈바구니에서 마음빛을 추스르고자 책 한 자락을 품으셨구나 싶어요. 귀퉁이에 “書籍·學用品·其他, 全北裡里府北昌洞一二九番地, 新進社書店” 같은 글씨가 찍혀요. 1947년 4월 1일에 ‘이리읍’이 ‘이리부’로 바뀌고, 1949년 8월 15일에 ‘이리시’로 다시 바뀝니다. 익산(이리) 〈신진사서점〉은 1947∼49년 사이에 이 책을 갖추었구나 싶고, 1952년에 이 책을 팔았으며, 책임자는 1953년 6월 23일에 책읽기를 마치면서 “1953年六月二十三日讀了. 讀後感. 賀川氏의 豊富한 聖바울의 硏究의 一稿이였다. 나는 그리스도처름 될수는 없을지언정 聖바울 같이는 될수있다 …….” 하고 남깁니다. 아득한 손빛입니다.


ㅅㄴㄹ

#賀川豊彦 #人間として見たる使徒パウロ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어제책 2022.6.12.

숨은책 687


《바다와 老人》

 헤밍웨이 글

 정봉화 옮김

 대신문화사

 1953.11.25.



  새벽부터 저녁까지 하루살림을 꾸리고 나면 잠들 즈음이고, 바느질은 으레 이때에 합니다. 튿어지거나 구멍난 옷을 기우는 아버지를 지켜보는 아이들은 “아버지는 그 옷 얼마나 입었어?” 하고 묻습니다. “너희 둘 나이를 더한 몫보다 많아.” “그럼 되게 오래 입었네?” “그럭저럭 서른 해를 입었지만 그리 오래 입지는 않았어.” “나중에 아버지 옷 한 벌 사요.” “너희 여름옷부터 사자.” 아이들이 잠들고 나서도 바느질을 잇다가 그만 불을 끕니다. 같이 꿈나라로 가고서 이튿날 마저 기우려고요. 《바다와 老人》은 1953년에 우리말로 나옵니다. 1952년에 영어로 처음 나왔으니 바로 나온 셈인데, 한겨레싸움(한국전쟁) 끝자락이라지만 ‘퓨릿샤賞受賞作品’을 곁에 두고서 피비린내를 씻으려는 마음까지 이 작은 책자락에 담았으리라 생각합니다. 모든 실은 풀포기(모시·삼·솜)하고 애벌레(누에)한테서 얻습니다. 모든 실은 한 올씩 뜨개질에 바느질을 하면서 옷으로 피어납니다. 모든 글은 사랑으로 살림을 짓는 삶에서 한 마디씩 길어올린 말로 엮습니다. 저 바다에는 헤엄이가 우리 이웃이고, 할매할배는 슬기로운 눈빛으로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1954년에 《바다와 老人》을 사서 읽은 분이 남긴 손자취를 쓰다듬어 봅니다.


“우리는 眞實과 建全의 깃빨 아래 結合되였고 이 깃빨은 앞날의 우리의 發展과 함께 더욱 鞏固히 지키여질 것이며 지키여져야 한다 5.April 1954 yours Tallwoo Lee”


ㅅㄴㄹ


#TheOldmanandTheSea #ErnestHemingway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임계장 이야기 - 63세 임시 계약직 노인장의 노동 일지 우리시대의 논리 27
조정진 지음 / 후마니타스 / 2020년 3월
평점 :
품절


숲노래 어제책 2022.6.10.

숨은책 716


《임계장 이야기》

 조정진 글

 후마니타스

 2020.3.30.첫/2020.6.10.5벌



  등 따습고 배부른 자리에 있는 사람은 가난·배고픔을 모릅니다. 등이 따습고 배부른걸요. 등 따습고 배부른 자리를 잃고서야 비로소 ‘아, 가난·배고픔이 이렇구나?’ 하고 느낍니다. 《임계장 이야기》를 처음 책집에서 들출 적에 어쩐지 거북했습니다. ‘등 따습고 배부른 자리를 잃었지만, 아이들 대학등록금 맞추고 연금 제대로 받을 때까지, 몇 해 동안 조금 몸을 굴리자’는 생각이 짙은 채 적바림한 사잇일(비정규직) 발자취는 ‘등 따습고 배부른 자리를 엄두조차 못 내는 사람’하고는 너무 먼 구경하는 눈길로 옮긴 ‘인문학 보고서’이거든요. 다만, ‘등 따습고 배부른 자리’를 잃었어도 이처럼 사잇일을 하며 발자취를 남긴 이는 드뭅니다. 틀림없이 뜻깊고 값진 책입니다. 이러구러 글쓴이는 2020년 3월에 책을 내며 글삯을 꽤 벌었고 곳곳에 책수다(강연)를 다녔다지요. 이러다 2020년 5월에 응큼질(성추행)을 일으켰고 이해 10월이 되도록 뉘우치는 빛 하나 없이 책을 실컷 팔고 책수다만 잘 다녔고요. 펴냄터는 2022년에서야 ‘품절’시킨 듯한데, 아직 아무도 뉘우침글을 밝히지도 않고, 글바치(기자)는 벙긋도 안 합니다. 참으로 창피합니다.


“내가 전에 다니던 공기업을 세상 사람들은 ‘신의 직장’이라 불렀다. 나는 그 말이 월급은 많고 하는 일은 적다고 비난하는 소리라 생각했다. 그러나 퇴직 후 경비원 일을 해보니 신의 직장이라는 표현은 과장이 아니었다.” (211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