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7.25. 흙날을 앞두고서



  어제그제 호되게 앓았다. 하루치기 서울일을 다셔오며 책더미를 내내 끌어안았는데, 책벌레질은 늘 하되, 이틀 사이에 찬바람이(에어컨)를 꽤 많이 먹었다. 시외버스·전철·책집·책숲·버스나루·가게 모두 찬바람이로 휘감긴 오늘날이다.


  틈틈이 볕바른 데를 찾아가서 걷고 서고 쉬었으나 크게 모자랐지 싶다. 마을 곤드레밭에서 일손을 거들며 오른 농약독이 덜 빠진 몸이라, 몸은 “나한테 왜 그래? 쉬며 살아날 겨를이 없잖아!” 하고 외쳤고 몸살로 나타났다. 아니, 몸살이라기보다 ‘찬앓이(냉방병)’라고 해야 맞다.


  문득 예전 서울살이(1995∼2003)가 떠오른다. 나는 서울에서 살며 바람날개(선풍기)조차 안 두었고, 부채도 딱히 안 썼다. 땀이 주르르 흐르면, 읽던 책으로 몇 자락 바람을 일으키고는 다시 책을 읽거나 글을 썼고, 책짐을 안고 지고 이면서 걸었다. 예전에는 책집에 찬바람이(에어컨)가 없었고, 바람날개도 겨우 하나 있을 뿐이었다. 책벌레는 겨울에 손이 곱으면서 추위를 잊고, 여름에 땀범벅으로 달아오르면서 더위를 잊는 길을 익혔다. 2003년에 서울을 떠날 무렵까지, ‘경인선’ 전철 가운데 바람날개만 있는 칸이 꽤 있었다.


  어제 낮과 저녁에 곁님과 두 아이가 주물러 주었다. 결리고 쑤시고 뭉친 투성이를 조금씩 달랬다. 오늘 아침은 두 아이한테 짐꾼 노릇을 고스란히 맡기고서 시골숲을 나선다. 언제 어디에서나 튼튼마음과 튼튼몸으로 걸어다니자고 생각한다. 큰길을 걸을 적에는 쇳덩이가 내뿜는 고약한 방귀가 넘친다. 서울내기는 꽃물(화장품·화학세재)범벅으로 매캐한 기운을 뿜는다. 여태까지는 고약방귀와 꽃물내음을 스스럼없이 씻고 녹이는 데에 마음을 기울였다면, 이제는 찬바람이가 스며들려고 해도 가볍게 내보내면서 해바람을 마시는 매무새로 일어서자고 생각한다.


  흙날을 앞두고서 말끔히 털리라 본다. 오늘저녁 이야기꽃을 앞두고서는 부산에 닿으면 낮잠을 길게 누려야지. 앓고 나면 새몸이다. 앓으며 쓰러지고 휘청일 적에는, 신나게 휘청휘청 햇볕길을 걸으면 된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노래꽃

노래꽃 . 엄마아빠



이곳에 태어나기까지

눈길이 닿고 손길이 닿아서

새길을 열어 왔다


이곳에 태어나고서

눈길이 뻗고 손길을 펴면서

새하루 짓고 논다


든든하지 않아도 품

든든할 적에는 쉼터


엄마도 아빠도 아이로 태어났고

이제는 아이를 마주하면서 큰다


2025.7.25.쇠


ㅍㄹ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노래꽃

노래꽃 . 마주보는



마주보지 않으니

눈길이 안 닿다가

마음을 꾹 닫고서


마주보는 사이에

눈길이 새로 닿고

마음을 널리 담고


마주보는 동안에

말 한 마디 싹트고

말 두 마디 자라고


하루와 바람과 발바닥을 맞이하면서

이제는 숨소리와 밤길을 마중하면서


2025.7.25.쇠.


ㅍㄹ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원거리연애



 원거리연애 3년 차이다 → 먼길 세 해째이다

 급기야 원거리연애를 하게 되었다 → 더구나 먼발치로 만난다


원거리연애 : x

원거리(遠距離) : 먼 거리

연애(戀愛) : 남녀가 서로 그리워하고 사랑함



  멀리 떨어져서 사귀거나 만난다면, 말 그대로 ‘멀다·멀디멀다·머나멀다·멀리’라 하면 됩니다. ‘먼길·머나먼길·멀디먼길·먼곳·먼데’라 할 수 있습니다. ‘먼발치· 멀찌가니·멀찌감치·멀찍이·멀리가다’라 해도 되고, ‘까마득하다·까마득길’이라 해도 어울려요. ‘아득하다·아득길’이나 ‘아스라하다·아찔길’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ㅍㄹㄴ



내가 여기서 진학하면 원거리연애를 하게 되는 건가?

→ 내가 여기서 다니면 멀리서 사귀나?

→ 내가 여기로 나아가면 먼발치고 만나나?

《구르는 남매 6》(츠부미 모리/장지연 옮김, 학산문화사, 2025) 3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이적지수



 이것이 악수일지 이적수일지 모르겠으나 → 이러면 나쁠지 넘길지 모르겠으나

 이적수(耳赤手)만 두는 판이다 → 도움돌만 두는 판이다


이적지수(耳赤之手) : x

이적지수(利敵之手) : x

이적수(耳赤手) : x

이적수(利敵手) : x



  바둑에서 쓰는 중국말이지 싶은 ‘이적수·이적지수’일 텐데, 이모저모 헤아리면, 몫이나 판을 넘기는 셈일 적에는 ‘넘기다·넘겨주다’라 하면 됩니다. 저쪽을 도울 뿐이면 ‘도와주다·돕다’나 ‘도움꽃·도움돌’이라 하면 되어요. 저쪽을 살리는 돌이니 ‘살리다·살림꽃·살림돌’이라 할 수 있어요. ㅍㄹㄴ



밤의 이적수(耳赤手)로 죽음에 성공한 귀신들

→ 밤이 살려서 죽어버린 깨비

→ 밤이 도와서 죽은 도깨비

《베누스 푸디카》(박연준, 창비, 2017) 3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