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 ㅣ 빨간콩 그림책 8
김미희 지음 / 빨간콩 / 2020년 11월
평점 :
숲노래 그림책 / 그림책비평 2025.7.11.
그림책시렁 1600
《엄마》
김미희
빨간콩
2020.11.30.
엄마랑 아빠가 나란히 있기에 아이가 태어납니다. 둘 가운데 하나만 있다면 아이가 안 태어납니다. 다만 적잖은 아빠는 아이를 오롯이 엄마한테 맡기고서 휙 사라지거나 망탕 노닥거립니다. 아기를 몸에 열 달 동안 품고서 천천히 돌보는 삶이 아니기에 아이돌봄을 나몰라라 하는 아빠일 수 있어요. 아이는 찬찬히 철들어 스스로 살림을 짓는 날까지 어버이 둘이 함께 돌볼 노릇입니다. 《엄마》는 두 엄마가 있는 어린날을 보내다가 어느새 “나도 엄마로구나” 하는 자리에 홀로선 그림님이 선보인 사랑씨앗 이야기입니다. ‘낳은엄마’하고 ‘기른엄마’ 사이에 아빠는 그림자조차 없습니다. “나(그림님)를 낳은 아빠”는 어린날 “울엄마(아빠네 엄마)가 나(아빠)를 버렸다”는 앙금을 안은 채 내내 헛돌았다지요. 그런데 어느 풀씨와 나무씨도 엄마나무한테서 ‘버림받을’ 수 없습니다. 모두 다르게 제금을 나며 살게 마련입니다. 엄마한테서 사랑받지 못했다면, 이제 스스로 아이를 사랑하는 어버이로 살면 돼요. 아빠한테서 사랑받지 못했으면, 이제 스스로 아이를 사랑하는 아빠를 만나서 조촐히 보금자리를 일구면 넉넉합니다. 사랑은 남이 베풀지 않아요. 모든 사랑은 우리 스스로 빚는 빛입니다. 빗물 같은 빛줄기를 보려고 눈을 뜹니다.
ㅍㄹㄴ
+
《엄마》(김미희, 빨간콩, 2020)
엄마는 뭐든 자기 맘대로다
→ 엄마는 뭐든 엄마 맘대로다
→ 엄마는 뭐든 맘대로다
2쪽
나는 엄마랑 완전히 다르게 생겼다
→ 나는 엄마랑 아주 다르게 생겼다
4쪽
하루 중 내가 하는 말은 이게 전부다
→ 하룻내 내가 하는 말은 이렇다
→ 나는 하루 동안 이 말만 한다
9쪽
옷 만드는 일을 하시는 엄마의 대답은 언제나 하나다
→ 옷짓는 일을 하시는 엄마는 언제나 한 마디만 한다
→ 옷을 짓는 엄마는 언제나 똑같이 말한다
9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