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어른
김소영 지음 / 사계절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까칠읽기 . 숲노래 책읽기 / 인문책시렁 2025.7.2.

까칠읽기 79


《어떤 어른》

 김소영

 사계절

 2024.11.13.



  사랑을 놓고서 “이런 사랑 저런 사랑”을 말할 수 없다. 사랑은 오직 사랑 그대로이다. 사람을 놓고는 “이런 사람 저런 사람”을 말하곤 한다. 겉모습이나 키나 몸무게나 몸매나 살빛이 다르기에 “여러 사람”을 말하는데, 막상 ‘사람’이란 무엇인지 밝히려고 하면, “어떤 사람”이 아닌 그저 ‘사람’이라는 빛만 바라볼 노릇이다.


  아이를 보건 어른을 보건 매한가지이다. “어떤 어른”이란 아예 없고, “어떤 아이”도 있을 턱이 없다. 그저 ‘어른’이 있고, 그냥 ‘아이’가 있다. 어른곁에서 느긋이 놀고 노래하며 소꿉을 하기에 아이요, 아이곁에서 넉넉히 일하고 살림하면서 사랑을 하기에 어른이다.


  《어떤 어른》은 앞서 나온 책보다 어쩐지 ‘자랑’이 더 많고 길다. ‘덜익은’이나 ‘설익은’이나 ‘안익은’ 모습이라고 느낀다. 어른이라는 사람은 그냥 ‘익은’ 사람이다.


  얼음새꽃을 기다리는 사람이 있고, 동박꽃을 반기는 사람이 있고, 벚꽃을 즐기는 사람이 있다. 나는 어느 꽃도 안 기다린다. 나는 모든 꽃을 지켜본다. 꽃이 피기 앞서 땅바닥에 조물조물 싹이 트는 앉은꽃을 지켜보고, 망울이 터지기 앞서 나무줄기나 나뭇가지에서 조금씩 부푸는 숨빛을 지켜본다. 첫여름에서 한여름으로 접어드는 이맘때에는 대추꽃을 살펴본다. 우리집에는 대추나무가 없지만, 대추나무를 돌보는 이웃집 옆으로 지나갈 적에는 으레 “올해에도 대추꽃을 볼 수 있어 고맙습니다” 하고 절을 한다.


  대추꽃은 나무꽃 가운데 대단히 늦다. 이른바 ‘늦꽃·늦잠꽃’이다. 그런데 늦잠꽃이건 이른꽃이건 모두 꽃이다. 크가 크건 작건 누구나 아이요 어른이다. 《어떤 어른》을 읽는 내내 ‘다름(다양성)’이라든지 ‘섬김(존중)’이라는 글감을 내세우려고 하는 듯하면서도, 정작 ‘사람·사랑·아이·어른’이라는 ‘숨·숨결·빛·씨앗’이라는 길은 아예 못 건드리거나 안 다가선다고 느꼈다. 겉에서 빙그르르 맴돌다가 그친다. 아무래도 글님이 수다꽃(강연·수업)으로 너무 바쁜 나머지, 차분히 삶과 사람과 살림을 돌아볼 겨를이 없는 듯싶다. 또한 여름에 땀흘리면서 더위를 누릴 겨를이 없어 보이고, 겨울에 오들오들 떨면서 추위를 맛볼 짬이 없어 보이기까지 하다.


  누가 철이 들면서 어른으로 설까? 바로 아이들이다. 아이는 여름에 땀흘려 뛰논다. 아이는 겨울에 추위에 떨면서 뛰논다. 이러는 동안 더위와 추위로 온몸을 가꾸면서 천천히 철이 든다. 2025년 봄과 여름이 지나가는데, 봄을 봄답게 누리는 ‘어른아이’는 거의 못 본다. 여름을 여름답게 즐기는 ‘아이어른’도 거의 못 본다. 땀을 안 흘리고, 추위에 손이 곱지 않는다면, 무슨 ‘어진’ 말을 할 수 있을까? 이제는 “어떤 어른”이 아닌 “그저 어른”으로, 누구나 저마다 제자리(제 살림자리)에서 즐겁게 이 삶을 짓는 눈망울을 들려주고 들을 때라고 본다. 껍데기는 치우자.


ㅍㄹㄴ


《어떤 어른》(김소영, 사계절, 2024)


나도 좋은 것을 꽤 누리며 살아왔다

→ 나도 꽤 잘 누렸다

→ 나는 꽤 넉넉히 살아왔다

→ 나는 걱정없이 누려왔다

→ 나는 배부르게 누려왔다

23쪽


내 확신이 얼마나 보잘것없는 것이었는지는 한 친구가 집 앞에 찾아온 어느 날 알게 되었다

→ 내 마음이 얼마나 보잘것없는지는 동무가 집 앞에 찾아온 어느 날 알았다

→ 믿은 내가 얼마나 보잘것없는지는 동무가 집으로 찾아온 어느 날 알았다

47쪽


면담 비슷한 시간을 가졌다

→ 가볍게 만났다

→ 가볍게 이야기했다

63쪽


언어와 비언어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 말과 마음을 생각해 보았다

→ 말씨와 몸짓을 생각해 보았다

82쪽


그게 또 어려우니까 어지간하면 참게 될 것입니다

→ 그런데 어려우니까 어지간하면 참습니다

→ 또한 어려우니까 어지간하면 참게 마련입니다

130쪽


지방 도시의 문화행사에 강연을 하러 갔다

→ 어느 곳 한마당에 이야기를 하러 갔다

→ 어느 고을 한잔치에 말꽃을 펴러 갔다

158쪽


지금 가는 ‘평등 토크’는

→ 오늘 가는 ‘나란수다’는

→ 이제 가는 ‘나너마당’은

→ 오늘 가는 ‘다솜놀이’는

→ 이제 가는 ‘들꽃얘기’는

206쪽


나이가 드는 건 좋은데 노인이 되는 건 두렵다

→ 나이가 들면 기쁜데 늙으면 두렵다

→ 나이가 드니 즐거운데 늙자니 두렵다

307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지방도시



 지방도시 출신이라고 괄시를 한다 → 작은고을내기라고 얕본다

 지방도시라서 차별을 받았다 → 시골이라서 따돌린다

 지방도시로 발령이 나오다 → 멀리 내려보내다 / 바깥으로 맡기다


지방도시 : x

지방(地方) : 1. 어느 방면의 땅 2. 서울 이외의 지역 ≒ 주현(州縣) 3. 중앙의 지도를 받는 아래 단위의 기구나 조직을 중앙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도시(都市) : 일정한 지역의 정치·경제·문화의 중심이 되는, 사람이 많이 사는 지역



  ‘지방도시(地方都市)’라는 일본말을 들여오면서 정작 뜻은 엉뚱하게 쓰는 우리나라입니다. 고을마다 고을빛을 살리려고 하기에 ‘마을빛·고을빛·고장빛’처럼 쓰는 이웃나라 일본이라면, 이 나라에서는 으레 ‘밖’이나 ‘멀다’나 ‘시골’로 여기곤 합니다. 이제는 ‘마을·고을·고장’으로 알맞게 손볼 만하고, 서울이 아닌 곳을 가리킬 적에는 ‘다르다·또다르다·여느’로 손볼 수 있습니다. 때로는 ‘시골·실’이나 ‘곳·데·자리·쪽·즈음·쯤’으로 손봅니다. ‘땅·녘·골·께·밭’이나 ‘꼬마·꼬마나라·꼬마누리’나 ‘터·터전·판’으로 손보아도 돼요. ‘멀다·먼발치·멀리·먼곳·먼길’이나 ‘바깥·밖·바깥쪽·바깥자리·바깥길’로 손보아도 어울려요. ‘작은골·작은고을·작은고장’이나 ‘작은마을·작은말·작은곳·작은터’로 손볼 수 있습니다. ㅍㄹㄴ



지방 도시의 문화행사에 강연을 하러 갔다

→ 어느 곳 한마당에 이야기를 하러 갔다

→ 어느 고을 한잔치에 말꽃을 펴러 갔다

《어떤 어른》(김소영, 사계절, 2024) 15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삶말/사자성어] 연애소설



 연애소설을 탐독하다 → 사랑글을 즐겨읽다

 연애소설 같은 것도 그런 방식으로 → 사랑얘기도 그렇게


연애소설(戀愛小說) : [문학] 남녀 간의 사랑을 주제로 하는 소설 ≒ 염정소설



  사랑을 다루는 글이라면 ‘사랑글·사랑글월·사랑적이’입니다. ‘사랑이야기·사랑얘기’이기도 합니다. ‘사랑타령’일 때도 있어요. 사랑이기에 사랑이라고 말하면 됩니다. ㅍㄹㄴ



중국어의 관능적 부분을 살린 연애소설이라고 생각했다

→ 중국말에서 달콤한 곳을 살린 사랑글이라고 생각했다

→ 달달한 중국 말씨를 살린 사랑얘기라고 생각했다

《여행하는 말들》(다와다 요코/유라주 옮김, 돌베개, 2018) 130쪽


경로석에 앉아 마음껏 연애소설 읽는 할머니로

→ 어른자리에 앉아 마음껏 사랑글 읽는 할머니로

→ 늙님칸에 앉아 마음껏 사랑얘기 읽는 할머니로

《가장 사적인 평범》(부희령, 교유서가, 2024) 1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지방 地方


 열대 지방 → 더운땅 / 더운고을 / 더운터

 낯선 지방으로 여행하다 → 낯선 곳으로 마실하다 / 낯선 마을로 나들이하다 / 낯선 고을로 다녀오다

 지방 도시 → 작은고을 / 작은고장

 지방에서 올라오다 → 다른 곳에서 오다 / 시골에서 오다 / 다른 고장에서 오다


  ‘지방(地方)’은 “1. 어느 방면의 땅 2. 서울 이외의 지역 ≒ 주현(州縣) 3. 중앙의 지도를 받는 아래 단위의 기구나 조직을 중앙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라고 합니다. ‘마을·고을·고장’으로 알맞게 손볼 만하고, 서울이 아닌 곳을 가리킬 적에는 ‘다르다·또다르다·여느’로 손볼 수 있습니다. 때로는 ‘시골·실’이나 ‘곳·데·자리·쪽·즈음·쯤’으로 손봅니다. ‘땅·녘·골·께·밭’이나 ‘꼬마·꼬마나라·꼬마누리’나 ‘터·터전·판’으로 손보아도 돼요. ‘멀다·먼발치·멀리·먼곳·먼길’이나 ‘바깥·밖·바깥쪽·바깥자리·바깥길’로 손보아도 어울려요. ‘작은골·작은고을·작은고장’이나 ‘작은마을·작은말·작은곳·작은터’로 손볼 수 있습니다. 낱말책 보기글 가운데 “지방에서 올라오다”가 있는데, 이는 서울을 섬기는 따돌림말입니다. “시골에서 오다”나 “다른 고장에서 오다”로 바로잡습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지방’을 다섯 가지 더 싣는데, 모두 털어내어도 됩니다. ‘지방(脂肪)’은 ‘굳기름·기름’으로 손볼 수 있습니다. ㅍㄹㄴ



지방(支放) : [역사] 관아(官衙)에 속하여 있는 일꾼에게 급료를 내어 주던 일

지방(地枋) : [건설] = 하인방

지방(知方) : [북한어] 예법을 앎

지방(紙榜) : [민속] 종잇조각에 지방문을 써서 만든 신주(神主)

지방(脂肪) : [생물] 지방산과 글리세롤이 결합한 유기 화합물 ≒ 굳기름·지고(脂膏)



이 지방은 냉해를 자주 입어서 가족과 마을사람 들이 하나로 단결하지 않고는

→ 이 마을은 얼음벼락이 잦아 집안과 마을사람 들이 하나로 뭉치지 않고는

→ 이 고을은 찬벼락이 잦아서 집안과 마을사람 들이 하나가 되지 않고는

《백귀야행 2》(이마 이치코/강경원 옮김, 시공사, 1999) 63쪽


뉴멕시코 주 데밍의 사막지방에서 넉 달을 지내면서

→ 뉴멕시코 주 데밍 모래벌에서 넉 달을 지내면서

→ 뉴멕시코 주 데밍 모래고을에서 넉 달을 지내면서

→ 뉴멕시코 주 데밍 모래벌판에서 넉 달을 지내면서

《달리는 기차 위에 중립은 없다》(하워드 진/유강은 옮김, 이후, 2002) 122쪽


요즘은 다른 지방의 어머니들도 많이 따라서 흉내내게 되었다

→ 요즘은 다른 고장 어머니도 많이 따라서 쓴다

→ 요즘은 다른 마을 어머니도 많이 흉내내어 쓴다

《어린이책 이야기》(이오덕, 소년한길, 2002) 246쪽


경상도 지방에 두루 퍼져 있는 남정네들의 풍물놀이에서 부르는 것이다

→ 경상도에 두루 퍼진 사내들 네가락놀이에서 부른다

→ 경상도 쪽에 두루 퍼진 사내들 놀이두레에서 부른다

《배달말꽃 갈래와 속살》(김수업, 지식산업사, 2002) 289쪽


북쪽 지방에서는 밤이든 낮이든 아무 때나

→ 높쪽에서는 밤이든 낮이든 아무 때나

→ 높녘 마을에서는 밤이든 낮이든 아무 때나

→ 높쪽 고장에서는 밤이든 낮이든 아무 때나

→ 높녘 나라에서는 밤이든 낮이든 아무 때나

《캐시 호숫가 숲속의 생활》(존 J.롤랜즈/홍한별 옮김, 갈라파고스, 2006) 45쪽


신분의 고하를 막론하고 함께 즐길 수 있었던 진주 지방 백성의 축제였던 것 같다

→ 누구나 함께 즐길 수 있던 진주 고을 큰잔치였다

→ 누구라도 함께 즐길 수 있던 진주 고을 한마당이었다

《그녀들에 대한 오래된 농담 혹은 거짓말》(김현아, 호미, 2009) 120쪽


그러한 와중에서도 일본의 식량 창고, 훗카이도 지방에는

→ 그런데도 일본에서 밥칸, 훗카이도 쪽에는

→ 그런 마당에도 일본에서 밥칸, 훗카이도에는

→ 그렇지만 일본 밥칸, 훗카이도에는

《백성귀족 1》(아라카와 히로무/김동욱 옮김, 세미콜론, 2011) 3쪽


얼마 전 지방에 다녀왔다

→ 얼마 앞서 멀리 다녀왔다

→ 시골에 다녀왔다

→ 어느 곳에 다녀왔다

→ 작은고을에 다녀왔다

《비행운》(김애란, 문학과지성사, 2012) 208쪽


나 같은 지방 출신 고학생 사이에는 넘지 못할 벽이 있었다

→ 나 같은 시골내기 가난이 사이에는 넘지 못할 담이 있다

→ 나 같은 작은고을 쪼들린 살림에는 넘지 못할 금이 있다

《내 이름은 욤비》(욤비 토나·박진숙, 이후, 2013) 40쪽


지방 대도시에서는 도서관 붐이라고 할 만큼 괄목할 만한 성장이 이어졌지만 지방 소도시, 특히 주민이 많지 않은 시골 마을에는 여전히 책문화라고 할 만한 것도, 책 문화공간도 부족했다

→ 다른 큰고장은 책숲바람이라고 할 만큼 눈부시게 커졌지만 바깥쪽, 더욱이 사람이 많지 않은 시골 마을에는 아직 책살림도 책터도 모자랐다

→ 고장 큰곳은 책숲바람이라고 할 만큼 부쩍 자랐지만 작은곳, 더구나 사람이 많지 않은 시골 마을에는 아직 책살림도 책마당도 적었다

《작은 책방, 우리 책 쫌 팝니다!》(백창화·김병록, 남해의봄날, 2015) 25쪽


왜 이런 좁은 지방에 남겠다는 거야?

→ 왜 이런 좁은 곳에 남겠다고?

→ 왜 이런 좁은 시골에 남으려고?

《너에게 친구가 생길 때까지 1》(호타니 신/한나리 옮김, 대원씨아이, 2015) 175쪽


미국 남부 지방 억양으로 말을 이어 나갔다

→ 미국 남쪽 말씨로 말을 이어 나갔다

→ 미국 남녘 소리로 말을 이어 나갔다

《존경합니다, 선생님》(페트리샤 폴라코/유수아 옮김, 아이세움, 2015) 1쪽


근동 지방의 동물 뼈 증거는

→ 하늬끝에서 나온 짐승 뼈는

→ 하늬녘끝 짐승 뼈 자국은

《말, 바퀴, 언어》(데이비드 W. 앤서니/공원국 옮김, 에코리브르, 2015) 96쪽


해안 지방에 사는 모든 개들에게 고난의 조짐이 보이고 있었다

→ 바닷가에 사는 모든 개한테 가시밭길이 닥치려 한다

→ 바닷마을에 사는 모든 개는 곧 가싯길을 맞을 듯하다

→ 바닷마을 모든 개는 이윽고 바람서리를 맞을 듯하다

《야성의 부름》(잭 런던/햇살과나무꾼 옮김, 시공주니어, 2015) 9쪽


그 지방의 사람들은

→ 그곳 사람들은

→ 그 마을에서는

→ 마을사람은

《흰》(한강, 난다, 2016) 47쪽


전국동시선거를 실시하기 때문에 사실상 중앙의 정치의제가 지방선거를 좌우한다

→ 온나라가 한날에 선거를 하기 때문에 서울 이야기가 마을선거를 흔든다

→ 온나라가 똑같이 선거를 하기 때문에 서울 이야기가 고을판을 뒤흔든다

《시민에게 권력을》(하승우, 한티재, 2017) 75쪽


나이도 많고 지방에 있는 초로의 한 아줌마의 처지였다

→ 나이도 많고 시골에 있는 늙수그레한 아줌마였다

→ 나이도 많고 서울하고 먼 곳에 사는 늙은 아줌마였다

《감자꽃》(김지연, 열화당, 2017) 127쪽


수도권으로 가지 않고 지방에 남아 있겠다고

→ 서울곁으로 가지 않고 작은고장에 남겠다고

→ 서울밭으로 가지 않고 마을에 있겠다고

《당신이 계속 불편하면 좋겠습니다》(홍승은, 동녘, 2017) 10쪽


언어를 지방화하기

→ 시골말을 쓰기

→ 마을말을 쓰기

→ 고을말을 쓰기

→ 고장말로 얘기하기

→ 사투리로 하기

《숲은 생각한다》(에두아르도 콘/차은정 옮김, 사월의책, 2018) 73쪽


지방 사투리 쓰는 것을 비웃는 행위와

→ 사투리 쓰기를 비웃는 짓과

→ 고장말을 쓴다고 비웃는 짓과

→ 시골말을 비웃는 짓과

《방언의 발견》(정승철, 창비, 2018) 27쪽


다른 지방에서 살자는 제안에 흔쾌히 응해 주었죠

→ 다른 곳에서 살자는 뜻을 기꺼이 받아 주었죠

→ 다른 마을에서 살자는 뜻을 즐거이 따라 주었죠

→ 다른 시골에서 살자는 뜻을 넉넉히 맞아 주었죠

→ 다른 터에서 살자는 뜻을 좋이 헤아려 주었죠

《여자, 귀촌을 했습니다》(이사 토모미/류순미 옮김, 열매하나, 2018) 51쪽


지방 관리들은 성공적이라고 평가했다

→ 시골 나리는 잘됐다고 여겼다

→ 시골 벼슬꾼은 좋다고 보았다

→ 시골 벼슬아치는 훌륭하다고 했다

《전염병 전쟁》(이임하, 철수와영희, 2020) 246쪽


지방 중소도시에서 살아온 볼 통통한 이십 대 여성에게

→ 작은고을에서 살아온 볼 통통한 스무 줄 순이한테

→ 작은고장에서 살아온 볼 통통한 스물 몇 살 순이한테

《셋이서 집 짓고 삽니다만》(우엉·부추·돌김, 900KM, 2020) 14쪽


더욱 심각한 문제는 지방 중소도시를 ‘촌’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 더욱 큰 일은 작은곳을 ‘시골’로 여긴다

→ 더욱 깊은 일은 작은터를 ‘시골’로 본다

《아름다움은 지키는 것이다》(김탁환, 해냄, 2020) 70쪽


알자스 지방의 와이너리에서 가져온 와인을 마시고 있었다

→ 알자스 어느 포도술칸에서 가져온 포도술을 마신다

《인생이 내추럴해지는 방법》(신이현, 더숲, 2022) 25쪽


지방에서 온 우리는 서로의 사투리로 장난을 치며 친해졌다. 사투리는 지방 고유의 색을 나타내면서 서로 다른 지역에 대한 이해를 담기도 한다

→ 시골에서 온 우리는 서로 사투리로 장난을 치며 사귀었다. 사투리는 시골빛을 나타내면서 서로 다른 마을을 헤아리는 징검다리이다

《나의 외국어, 당신의 모국어》(이보현, 소나무, 2022) 64쪽


보름의 휴가를 내어 독일 남부 지방에서 지내고 있다

→ 보름 쉬며 독일 마녘에서 지낸다

《나의 외국어, 당신의 모국어》(이보현, 소나무, 2022) 170쪽


지방으로, 시골로 내려오면

→ 작은골로, 시골로 가면

→ 작은터로, 시골로 가면

《우리나라 시골에는 누가 살까》(이꽃맘, 삶창, 2022) 24쪽


그쪽도 지방에서 올라왔군요

→ 그쪽도 시골에서 왔군요

《센티멘털 무반응》(신조 케이고/이은주 옮김, 대원씨아이, 2024) 155쪽


지방 도시의 문화행사에 강연을 하러 갔다

→ 어느 곳 한마당에 이야기를 하러 갔다

→ 어느 고을 한잔치에 말꽃을 펴러 갔다

《어떤 어른》(김소영, 사계절, 2024) 15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6.30. 하루아침에



  부산사상에서 07:00 시외버스를 타려고 05:59 부산전철을 탄다. 큰고장에서는 일찍 움직여서 첫 시외버스를 어렵잖이 탈 수 있다. 시골사람은 으레 02∼03시에 하루를 열지만, 이맘때에 다니는 시골버스란 없다. 일찍 여는 벼슬집(관공서)도 없다. 머잖아 나흘일(주4일노동)이 자리잡을듯한데, 시골사람은 어찌해야 한다는 뜻일까? 더욱이 집에서 살림하는 사람은 어쩌란 뜻일까? ‘집안일’은 “한 해 내내 + 하루 내내”이다.


  풀은 달날에도 흙날에도 자라고 쉼날에도 한가위에도 자란다. 아이들은 불날에도 해날에도 자라고 한글날에도 자란다. 일을 알맞게 가르거나 나누면서 하는 길이란 무엇일는지 살필 때라야, 아이도 어른도 튼튼히 제자리에 서게 마련이다.


  어제 ㅁ 이야기를 폈다. ㅅ과 ㅇ도 대단하지만 ㅁ도 물줄기처럼 줄줄 흐른다. 하루아침에 다 여미지 않는다. 천천히 하나씩 여미면서 매듭을 지어간다. 곧 싹틀 풀포기처럼, 이윽고 움틀 망울처럼, 새벽마다 맺는 이슬처럼.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미래세대를 위한 우리말과 문해력》, 《들꽃내음 따라 걷다가 작은책집을 보았습니다》,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이오덕 마음 읽기》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