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노래꽃 . 꿈으로 그리는



오늘 만나는 너하고

두런두런 이야기를 하면서

이 하루를 누린다


빗물아 반가워

멧새야 고마워

풀벌레야 멋져


나무는 하늘을 보면서 뻗고

나는 천천히 거닐면서 놀고

너는 하나씩 들려주며 웃고


더운 첫여름이 빗물에 식는다


ㅍㄹㄴ


2025.6.24.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경로 敬老


 경로 우대권 → 어른올림 / 어른길

 경로 정신이 사라지고 있다 → 어른을 안 섬긴다 / 할매할배를 안 모신다


  ‘경로(敬老)’는 “노인을 공경함”을 뜻한다지요. ‘깍듯하다·높이다’나 ‘모시다·받들다·섬기다’로 손봅니다. ‘어른길·어른빛’이나 ‘어른먼저·어른따르기’나 ‘어른사랑·어른섬기기·어른올림’으로 손볼 만하지요. ‘할매사랑·할배사랑·할매먼저·할배먼저·할매올림·할배올림’처럼 손보아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완전 경로잔치로구만

→ 아주 할배잔치로구만

→ 참말 어른잔치로구만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미야모토 후쿠스케/최형선 옮김, 미우, 2011) 29쪽


경로우대가 돼서 뱃삯이 싸고 열 번을 타면 한 번이 무료기 때문에

→ 어른빛이라서 뱃삯이 싸고 열 판을 타면 한 판은 그냥 타기에

《안으며 업힌》(이정임·박솔뫼·김비·박서련·한정현, 곳간, 2022) 55쪽


경로석에 앉아 마음껏 연애소설 읽는 할머니로

→ 어른자리에 앉아 마음껏 사랑글 읽는 할머니로

→ 늙님칸에 앉아 마음껏 사랑얘기 읽는 할머니로

《가장 사적인 평범》(부희령, 교유서가, 2024) 1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교민 僑民


 교민 사회 → 한겨레마을

 우리 교민이 없는 → 우리 이웃이 없는 / 우리 겨레가 없는


  ‘교민(僑民)’은 “다른 나라에 살고 있는 동포. 아예 정착하여 살고 있는 교포나 일시적으로 머무르는 유학생, 주재원 등을 모두 이를 수 있다”처럼 풀이를 하는데, ‘겨레·씨겨레’나 ‘한겨레·한배·한사람’으로 손볼 만합니다. ‘동무·동무님·동무하다’나 ‘사람’처럼 손볼 만하고, ‘이웃·이웃사람·이웃꽃’이나 ‘이웃마을·이웃고을·이웃고장’으로 손보면 돼요. ‘옆마을·옆고을·옆고장’이나 ‘옆사람·옆님’으로 손볼 수 있습니다.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교민(巧敏)’을 “교묘하고 민첩함”으로 풀면서 싣지만 털어냅니다. ㅍㄹㄴ



류블랴나에서 십오 년을 살았다는 교민의 말이 떠올랐다

→ 류블랴나에서 열닷 해를 살았다는 이웃 말이 떠오른다

→ 류블랴나에서 열다섯 해를 산 한겨레 말이 떠오른다

《가장 사적인 평범》(부희령, 교유서가, 2024) 9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알량한 말 바로잡기

 전정 剪定


 전정도 해 주지 않고 → 가지치기도 않고

 전정해 주는 것도 → 잘라 주기도 / 쳐내기도 / 베기도


  ‘전정(剪定)’은 “[농업] 식물의 겉모양을 고르게 하고 웃자람을 막으며, 과실나무 따위의 생산을 늘리기 위하여 곁가지 따위를 자르고 다듬는 일 = 가지치기”처럼 풀이를 합니다만 ‘가지치다·가지치기’나 ‘끊다·치다·쳐내다’로 고쳐씁니다. ‘베다·베어내다’나 ‘솎다·솎아내다’나 ‘자르다·썰다’로 고쳐쓸 수 있어요. 이밖에 낱말책에 한자말 ‘전정’을 열다섯 가지나 더 싣는데 싹 털어냅니다. ㅍㄹㄴ



전정(田丁) : 논밭과 그것을 거느리고 부리는 사람을 통틀어 이르는 말

전정(田政) : [역사] 조선 시대에, 삼정(三政) 가운데 토지에 대한 전세, 대동미 및 그 밖의 여러 가지 세를 받아들이던 일

전정(佃丁) : [역사] 지주의 땅을 빌려서 농사를 지은 후에 소작료를 치르던 농민. 중국의 한나라 때에 생겨서 당나라 말기부터 송나라 초기에 걸쳐 보편화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시대부터 있었다 = 전호

전정(典正) : [역사] 조선 시대에, 직속 상관인 궁정(宮正)이 맡은 일을 보좌하던 종팔품 내명부. 또는 그 품계

전정(前定) : 전생에 이미 정해짐. 또는 그런 것

전정(前庭) : 1. 집채의 앞에 있는 뜰 = 앞뜰 2. [의학] 속귀에서 앞쪽은 달팽이관, 뒤쪽은 반고리관과 통해 있는 달걀 모양의 공간 = 안뜰

전정(前情) : 지난날에 사귄 정 = 옛정

전정(前程) : 앞으로 가야 할 길 = 앞길

전정(專征) : 1. 임금으로부터 대권(大權)을 위임받아 정벌에 몰두함 2. 임금의 명을 기다리지 않고 마음대로 정벌을 함

전정(專政) : [정치] ‘전제 정치’를 줄여 이르는 말

전정(奠定) : 자리를 정함

전정(殿庭) : 궁전의 뜰

전정(電霆) : 구름과 구름, 구름과 대지 사이에서 공중 전기의 방전이 일어나 번쩍이는 불꽃 = 번개

전정(錢政) : 돈에 관한 모든 일

전정(轉定) : [법률] 국제 사법에서, 어떤 사건에 대하여 소송지 국가의 법규에는 관계 외국의 법률을 적용하도록 되어 있고 그 외국의 법률에 의하면 다시 제삼국의 법률을 적용하도록 규정되어 있을 때, 그 제삼국의 법률을 적용하는 일 ≒ 재치·전치



식목의 전정(剪定) 같은 거라고 보면 돼

→ 가지치기 같다고 보면 돼

→ 가지를 끊는다고 보면 돼

《지어스 5》(키모 모히로/최윤선 옮김, 대원씨아이, 2006) 145쪽


오늘은 전정(剪定)을 할 거야

→ 오늘은 가지를 쳐

→ 오늘은 가지를 잘라

→ 오늘은 가지를 끊어

《늑대의 딸 3》(코다마 유키/정우주 옮김, 소미미디어, 2025) 20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영어] 미네르바Minerva



미네르바(Minerva) : [문학] 로마 신화에 나오는 지혜의 여신. 그리스 신화의 아테나에 해당한다

Minerva : 1. [로마신화] 미네르바 (지혜와 무용(武勇)의 여신, 그리스 신화의 Athena) 2. 여자 이름

ミネルバ(라틴어 Minerva) : 미네르바 (로마 신화에서, 지혜와 무용(武勇)의 여신).



하늬녘 옛이야기에 나오는 이름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고, 이 이름에 깃든 뜻을 우리 나름대로 풀고 옮길 수 있습니다. ‘미네르바’는 먼저 ‘슬기·슬기롭다’로 옮길 만합니다. 이윽고 ‘슬기꽃·슬기숲’이나 ‘어진꽃·어진숲’처럼 말끝에 새롭게 뜻과 넋을 담아서 풀어낼 만합니다. ‘참꽃·참빛’이라 해도 어울립니다. ㅍㄹㄴ



그밖에, 아주 달콤한 게임 천국 미네르바가 있다 / 삼강오륜 돼지바도 있지만

→ 그밖에, 아주 달콤한 놀이나라 슬기꽃이 있다 / 석틀닷길 돼지막대도 있지만

→ 그밖에, 아주 달콤한 놀이누리 어진숲이 있다 / 세틀닷길 돼지개비도 있지만

《동네 한 바퀴》(하재일, 솔, 2016) 1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