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쩌면, 나의 이야기 - 만화로 보는 일상 속 성폭력과 성차별 / 우리 안의 여성에 대한 잘못된 시각
토마 마티외.씨냉 지음 / 여성신문사 / 2018년 3월
평점 :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5.6.
만화책시렁 749
《어쩌면, 나의 이야기》
토마 마티외·씨냉
여성신문사
2018.3.
“사내들은 왜 이리 말을 못 알아들을까?” 하고 말하는 분이 많습니다. 속이 좁은 탓입니다. 곧이곧대로 말하면 버럭거리기 일쑤이고, 돌려말하면 속뜻을 읽으려 하지 않으니까요. 다만 모든 사내가 처음부터 속이 좁지 않았어요. 먼나라 꼭두(교황)를 뽑는 자리를 보듯, 임금과 벼슬아치는 처음부터 ‘사내밭’입니다. 집과 아이를 팽개친 채 힘·돈·이름을 거머잡으려는 굴레에 사로잡히거나 뛰어드는 사내가 제 넋일 수 없습니다. 그러나 집밥옷을 손수 가꾸고 지으면서 보금자리를 사랑으로 돌보려는 사내가 적잖았고, 참하게 속깊은 말을 들려주는 가시내 곁에서 차근차근 배우고 익히는 길을 걸었기에 푸른별이 아직 멀쩡하다고 느껴요. 《어쩌면, 나의 이야기》는 ‘속좁은 사내’가 일으키는 여러 말썽과 사달과 잘못이 무엇인지 몇 가지 보기로 들려줍니다. 모든 이야기를 작은 꾸러미에 담지는 못 하되, 이 몇 가지부터 차분히 되새기면서 “서로 더 오래 더 자주 만나서 이야기를 해야” 속말을 알아듣고 마음말을 나누면서 사랑말로 피어나리라 봅니다. 사내는 가시내한테 더 귀를 기울이면서 말을 들어야 합니다. 가시내는 사내한테 더 차근차근 말을 들려주어야 합니다. 하루 한나절(4시간)은 오직 이야기만 하면서 마음과 눈길과 살림을 가다듬을 때라야, 비로소 어깨동무하는 새길을 되찾으리라 봅니다.
ㅍㄹㄴ
세상이 진정 바뀌려면 피해자들의 ‘미투’만으로는 부족하다. 우리들 모든 주변인들의 통렬한 자기반성이 필요하다. ‘미투’를 넘어선 ‘아임쏘리’가 돼야 마땅하다. (38쪽)
‘정말 너로부터, 주변 사람들로부터 책임질 당하면 어쩌지. 그리고 왜 그걸 네가 선심 쓰듯 말하고 나는 죄 지은 듯 앉아 있어야 하지?’ (71쪽)
‘그들은 마구 꺼내어 소비한다. 내 것을 내 허락도 없이 누리는 사람이 따로 있다면 내 것이 내 것이라 할 수 있을까?’ (95쪽)
“좀 알아듣기 쉽게 곧이곧대로 말하면 서로 좋잖아.” ‘망상의 나래를 펼치고 있군. 곧이곧대로 말하면 곧이곧대로 말해서 싫어할 거면서.’ (101쪽)
나는, 세상은, 변할 수 있을까? (131쪽)
한꺼번에 많은 것을 해내지 못한다며 자책하지 않을 것이다. 스스로를 몰아붙이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다. (146쪽)
+
《어쩌면, 나의 이야기》(토마 마티외·씨냉, 여성신문사, 2018)
장녀로서 동생들을 잘 보살피고
→ 맏딸로서 동생을 보살피고
→ 맏이로서 동생을 잘 보고
10
정말 너로부터, 주변 사람들로부터 책임질 당하면 어쩌지
→ 참말 네가, 남들이 맡는다고 나서면 어쩌지
→ 참말 너나 둘레에서 맡겠다고 나서면 어쩌지
→ 참으로 너나 남이 억지로 맡으면 어쩌지
71
누군가가 태어나는걸 일이 잘못된 것의 결과로 만들고 싶지도 않다고
→ 누가 태어나는데 일을 잘못한 탓으로 돌리고 싶지도 않다고
→ 살을 잘못 섞어서 아기가 태어나면 싫다고
→ 짝을 잘못 맺어서 아기가 태어나면 싫다고
71
망상의 나래를 펼치고 있군
→ 바보 나래를 펼치는군
→ 덜떨어진 꿈을 펼치는군
101
나의 거리 위에서 나의 보폭으로 계속 걸을 것입니다
→ 내가 설 거리에서 내 걸음으로 꾸준히 가겠습니다
→ 내가 살 거리에서 늘 내 다리로 걸어가겠습니다
→ 내 삶을 언제나 내 걸음으로 나아가겠습니다
165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