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를 말하는 하얀 고래
루이스 세풀베다 지음, 엄지영 옮김 / 열린책들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까칠읽기 . 숲노래 책읽기 / 인문책시렁 2025.5.6.

인문책시렁 424


《바다를 말하는 하얀 고래》

 루이스 세풀베다

 엄지영 옮김

 열린책들

 2025.1.10.



  고래는 바다에서 삶을 짓기에 바다를 말할 만합니다. 사람은 들숲메에 깃들면서 바다를 품는 삶을 누리기에 들숲메바다를 두루 말할 만합니다. 그런데 오늘날 사람들은 들도 숲도 메도 바다도 좀처럼 말을 못 합니다. 들소리를 못 듣고, 숲빛을 못 보고, 멧자락에 깃들지 않고, 바다를 사랑하지 않거든요.


  《바다를 말하는 하얀 고래》를 읽는데, ‘흰고래’가 ‘고래잡이배’하고 싸우는 줄거리만 가득합니다. 정작 흰고래가 들려주는 바다 이야기는 거의 찾아볼 길이 없습니다. 첫머리에 살짝 바다와 아이 이야기를 짚는가 싶더니, 이내 끝없는 쌈박질과 죽임질만 다룹니다. 이 책은 “고래잡이를 죽인 흰고래”라든지 “흰고래를 죽이려는 사람”쯤으로 이름을 붙여야 어울릴 텐데 싶습니다.


  바다는 모든 숨결을 받아들이는 바탕입니다. 바다는 받아들여서 새롭게 배는 밭입니다. 바다가 드넓기에 비구름이 태어나고, 비구름이 맑은 물줄기를 들숲메에 흩뿌리기에 샘이 솟으며 내가 흐릅니다. 이윽고 이 물줄기는 바다로 돌아가서 바다를 새롭게 북돋아요.


  “바다를 말하는 이야기”라고 한다면, 바다가 흐르는 숨결을 들려줄 노릇입니다. 흰고래가 바다를 말한다면, 흰고래가 살아숨쉬는 바다가 어떻게 이 별을 살찌우고 일으키는지 짚을 노릇입니다. 바다는 싸움터일 수 없고, 바다에서 돈을 얻으려는 얕은 눈짓으로는 하나도 못 배웁니다.


ㅍㄹㄴ


뾰족한 산호초의 충격조차 견디지 못할 만큼 허술한 배를 타고 거친 파도에 맞서려고 하는 그들의 용기와 불굴의 의지를 보면서 감탄을 금할 수 없었다. (20쪽)


그들(사람)이 나를 향해 감탄과 놀람의 함성을 지를 때마다 괜히 기분이 으쓱해지곤 했다. (34쪽)


나는 공포에 질려 비명을 지르는 인간들을 꼬리로 사정없이 내리쳤다. 그것도 모자라 나는 배를 향해 필사적으로 헤엄쳐 가던 인간들에게 다시 달려들었다. (97쪽)


나는 끈질기고 집요한 인간들을 볼 때마다 몸서리가 쳐졌다. 당연히 그들이 어디서 오는 건지, 바다나 육지 어느 곳에 많은 인간들이 살고 있는지, 언젠가 그들이 탐욕을 채우는 모습을 보게 될지 궁금해졌다. (107쪽)


할머니 고래들과 바다에 사는 모든 존재들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 셈이다. 이제 우리는 위대한 여행을 떠나지도 못한 채, 인간의 탐욕을 피해 도망 다닐 수밖에 없을 것이다. (112쪽)


#LuisSepulveda


+


《바다를 말하는 하얀 고래》(루이스 세풀베다/엄지영 옮김, 열린책들, 2025)


파도가 밀려오고 밀려가는 가운데 우리는 한동안 말없이 가만히 앉아 있었다

→ 물결이 밀려오고 밀려간다. 우리는 한동안 말없이 있었다

→ 바다가 밀려오고 밀려간다. 우리는 한동안 가만히 앉았다

13쪽


어떻게 물 위에서 움직이는지

→ 어떻게 물에서 움직이는지

→ 어떻게 물낯에서 움직이는지

19쪽


대양에서 가장 커다란 존재가 되어 완전히 혼자 살 수 있을 때까지

→ 바다에서 가장 커다란 숨붙이로 혼자 오롯이 살 수 있을 때까지

→ 너른바다에서 가장 커다란 몸으로 혼자 잘 살 수 있을 때까지

27쪽


나를 향해 감탄과 놀람의 함성을 지를 때마다 괜히 기분이 으쓱해지곤 했다

→ 나를 보며 놀라서 소리를 지를 때마다 그저 으쓱했다

→ 나를 보며 놀라서 외칠 때마다 어쩐지 으쓱했다

34쪽


조금 전에 본 것처럼 크고 웅장한 배였다

→ 조금 앞서 보았듯 커다란 배이다

35쪽


내가 본 어떤 장면도 그에게는 새로울 것이 없었다

→ 내가 본 어떤 모습도 그한테는 새롭지 않았다

50쪽


계절이 바뀌면서 낮의 길이가 점점 짧아지고 일조량도 줄어들었다

→ 철이 바뀌면서 낮이 차츰 짧고 해도 줄어든다

→ 철이 바뀌어 낮이 조금씩 짧고 볕도 줄어든다

57쪽


너는 당장 대장정을 떠나지는 않을 거야

→ 너는 바로 먼길을 떠나지는 않아

→ 너는 곧장 멀리 떠나지는 않아

58쪽


비몽사몽간에 배가 가까이 다가오는 것을 느낄 때도

→ 꿈결에 배가 가까이 다가오는 줄 느낄 때도

→ 멍하니 배가 가까이 다가온다고 느낄 때도

77쪽


나는 끈질기고 집요한 인간들을 볼 때마다 몸서리가 쳐졌다

→ 나는 끈질긴 사람들을 볼 때마다 몸서리를 쳤다

→ 나는 물고늘어지는 사람을 볼 때마다 몸서리를 쳤다

107쪽


수로의 출구 쪽에 있던 배에서도 소형 보트 여러 척을 물 위에 띄워 놓았다

→ 물골 밖에 있던 큰배도 작은배 여럿을 띄운다

→ 뱃길 너머에 있던 배도 쪽배 여럿을 띄운다

112쪽


할머니 고래들과 바다에 사는 모든 존재들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 셈이다

→ 할머니 고래하고 바다 모든 이웃이 바라는 대로 못한 셈이다

→ 할머니 고래하고 바다 모든 숨붙이 뜻대로 못 이룬 셈이다

112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798 : 욕 나는 기분 좋아지


욕을 잘 고를수록 나는 기분이 좋아지지

→ 나는 거칠게 말할수록 즐겁지

→ 나는 마구마구 뱉을수록 신나지

《첫사랑은 선생님도 일 학년》(김륭, 창비, 2018) 104쪽


우리말은 임자말을 앞에 놓습니다. 임자말을 사이에 안 놓아요. 아예 덜어내기도 합니다. 어떤 사람은 거칠게 말할수록 즐겁다고 여기는데, 거칠게 말할수록 남이 아닌 나를 스스로 갉아먹습니다. 마구마구 뱉을수록 남이 아닌 나를 스스로 할퀴어요. 우리가 어른이라면 거칠게 말할 까닭이 없습니다. 우리가 아이곁에서 말을 들려주는 어른이라면 아이들이 마구마구 아무 말이나 뱉지 않도록 사랑으로 북돋우고 이끌 줄 알아야 할 노릇입니다. ㅍㄹㄴ


욕(辱) : 1. = 욕설 2. 아랫사람의 잘못을 꾸짖음 3. 부끄럽고 치욕적이고 불명예스러운 일 4. ‘수고’를 속되게 이르는 말

기분(氣分) : 1. 대상·환경 따위에 따라 마음에 절로 생기며 한동안 지속되는, 유쾌함이나 불쾌함 따위의 감정 ≒ 기의(氣意) 2.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상황이나 분위기 3. [한의학] 원기의 방면을 혈분(血分)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797 : -ㄴ 판매고 있


꾸준한 판매고를 올리고 있으니

→ 꾸준히 팔리니

→ 꾸준히 나가니

《프란츠 카프카》(라데크 말리·레나타 푸치코바/김성환 옮김, 소전서가, 2024) 3쪽


판 돈이 늘어나면 잘팔린다고 할 만합니다. 꾸준히 팔리기에 “꾸준히 팔리다”라 하고, “꾸준히 나가다”나 “꾸준히 찾다”로 나타내어도 어울립니다. 단출하게 쓸 적에 또렷합니다. 수수하게 쓰기에 뚜렷하지요. ㅍㄹㄴ


판매고(販賣高) : 상품 따위를 판 금액. 또는 그 돈의 총액 = 판매액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795 : 느낌적 느낌 조어 -의 -에 대해 확신을 가지고


느낌적 느낌이라는 조어처럼 느낌의 느낌에 대해 확신을 가지고 말하는 사람들은

→ “느끼는 바”라 말하듯 어떻게 느끼는지 똑똑히 말하는 사람들은

→ “그냥그냥 느낀다”고 하듯 어찌 느끼는지 똑똑히 말하는 사람들은

《타락한 저항》(이라영, 교유서가, 2019) 18쪽


“느낌적 느낌”이나 “느낌의 느낌”은 무늬한글입니다. 우리말씨이지 않습니다. ‘느끼다·느낌’이나 “느끼는 바”로 다듬습니다. “느낀다고 말하듯”이라 하면 됩니다. “어떻게 느끼는지”라 하면 되어요. “확신을 가지고”는 옮김말씨예요. 한자말을 쓰고 싶다면 “확신하고”라 할 노릇이고, 우리말로는 “믿고”나 “굳게 믿고”나 “똑똑히”로 다듬습니다. ㅍㄹㄴ


느낌적(-的) : x

느낌 : 몸의 감각이나 마음으로 깨달아 아는 기운이나 감정

조어(造語) : 1. 새로 말을 만듦. 또는 그렇게 만든 말 2. [언어] 실질 형태소에 다른 실질 형태소나 여러 가지 접사를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일

대하다(對-) : 1. 마주 향하여 있다 2. 어떤 태도로 상대하다 3. 대상이나 상대로 삼다 4. 작품 따위를 직접 읽거나 감상하다

확신(確信) : 굳게 믿음. 또는 그런 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1794 : 미러링 -ㅁ을 제공


이처럼 미러링은 우리에게 낯섦을 제공한다

→ 따라하면 이처럼 낯설다

→ 되비치면 이처럼 낯설다

→ 돌려주면 이처럼 낯설다

《타락한 저항》(이라영, 교유서가, 2019) 165쪽


“미러링은 + 낯섦을 + 제공한다”는 잘못 쓰는 옮김말씨입니다. “되비치면 + 낯설다”나 “돌려주면 + 낯설다”로 가다듬습니다. ‘낯설다’라고 하면 될 텐데, 굳이 ‘-ㅁ’을 붙여서 이름씨꼴로 바꾸고서 ‘제공한다’를 군더더기로 붙일 까닭이 없습니다. “mirroring effect”는 ‘따라하기·되비치기·돌려주기’로 옮길 만합니다. ㅍㄹㄴ


미러링 : x

mirroring effect : [심리학] 미러링 효과, 거울 효과, 동조 효과 (상대방의 행동을 은연 중에 따라 하는 행위)

제공(提供) : 갖다 주어 이바지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