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데서 시간이 더 천천히 몰개시선 4
황화섭 지음 / 몰개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 시집을 읽고서

별꽃을 다섯 모두 붙인 지 언제였는지

떠오르지조차 않는다.

얼마만에 별꽃을 다섯 붙이는가?

스스로도 놀란다.

.

.

숲노래 노래꽃 / 문학비평 . 시읽기 2025.4.23.

노래책시렁 495


《낮은 데서 시간이 더 천천히》

 황화섭

 몰개

 2023.7.28.



  우리는 마음을 으레 바다나 하늘이나 그릇에 빗댑니다. 누구나 마음이란, 바다와 하늘과 그릇마냥 깊이와 너비를 알 수 없다는 뜻입니다. 푸짐하게 담을 뿐 아니라, 푸근하게 담고, 푸지게 나눌 뿐 아니라 모든 앙금과 응어리를 풀어내는 바다와 하늘과 그릇과 같은 마음이라고 여길 만합니다. 《낮은 데서 시간이 더 천천히》를 대구 ‘앞산’ 곁에 있는 ‘노래책집(시집 전문서점)’ 〈산아래시〉에서 만났습니다. 손바닥에 가볍게 안기는 자그마한 노랫자락을 시외버스를 타고 움직이는 길에 천천히 읽습니다. ‘시’나 ‘문학’을 한다는 티나 허울은 거의 드러내지 않으면서 그저 ‘노래’를 하는 이야기가 흐릅니다. 우리나라에 이렇게 노래를 짓고 나누는 사람이 있나 싶어 놀랍니다. 어떤 이는 이 노래책을 ‘산문시’라 여기는데, 덧없는 말입니다. 이 노래책은 “노래를 담은 꾸러미”입니다. 하루하루 살아내고 살아가고 살아온 발걸음을 발바닥에 새긴 이야기 그대로 손바닥에 얹어서 하나하나 돌아본 뒤에, 마룻바닥에 앉아서 차분히 써내려간 노래입니다. 온누리에는 ‘좋은노래’나 ‘나쁜노래’란 없습니다. 그저 ‘삶노래·살림노래’하고 ‘꾸민노래·허울노래’가 있습니다. 참으로 드문 삶노래에 살림노래를 다 읽고서 고흥으로 돌아오는 길에 고즈넉이 눈을 감고서 긴긴 책집마실 발걸음을 되새겼습니다.


ㅍㄹㄴ


한낮이 되어 마당에 두껍던 눈이 반쯤 녹을 즈음에도 / 새들은 하늘을 한없이 날다가도 / 다시 마당으로 내려앉았다. / “야야, 새들한테 좁쌀 좀 뿌려줘라.” / 아버지 말씀에 좁쌀을 뿌려주니 / 참새들이 쫑알쫑알 신나게 좁쌀을 먹어치운다. (새/16쪽)


내 나이 34세 때, 어머니는 76세에 돌아가셨다. / 어머니 돌아가신 날 산소에서 훌쩍이다가 / 해가 지자 무서워져서 집으로 내달렸다. / 집 마당까지 달려와서 어머니한테 큰절을 했었다. (외갓집 가는 길/23쪽)


“교수님 왜 하필이면 서울에서 멀기도 먼 이곳에 박물관을 지으셨습니까?” “여기 예천이 밤하늘 별 관찰하기가 젤 좋은 곳이야.” (53쪽)


나는 슬금슬금 강의실을 빠져나와 정문으로 다시 나갔다. 수업이 미처 끝나기도 전이었다. 정문 바깥쪽 길가에 헌책을 팔고 있었다. 《思想界》 《씨알의 소리》 곰팡내가 나는 것 같은 책. 당시 형님은 약수동에서 헌책방을 열고 계셨다. 그때 산 헌책을 다 읽고 나면 형님한테 갔다 드렸다. 형님 말씀 “야야, 대학 들어갔으면 전공책을 읽어야지 뭐 이런 헌책을 읽노.” … 느닷없는 석사장교 6개월 제도로 그의 아들, 그의 친구 아들도 석사장교 6개월로 군제대한 사실 모르는 사람이 없다. 그들이 석사장교 6개월 제대 후 얼마 안가서 석사장교 제도는 폐지되었다. 대학 졸업 정원제도 없어졌다. (낮은 땅에서 살아보려고/58, 59쪽)


나에겐 내 몸과 같은 친구가 있다. 중학교 때부터 사귀던 여자친구를 대학 다니던 시절에 운동권 선배하테 빼앗긴 친구. 노동운동을 열심히 하던 그 친구는 현장에서 손가락이 두 번이나 잘려 나간 적도 있었는데 지금은 그 모든 슬픔을 딛고서 반가사유상의 미소를 띠면서 (반가사유상/62쪽)


한참 후에 그분한테 물었다, 여자처럼 화장하는 이유에 대해서. / 자기는 직업군인으로 군 헌병대에 오랫동안 근무했다고, / 무슨 사건이 생겼는데 그 사건으로 해서 너무나 억울하게 너무나 심하게 고문을 당했다고 한다. / 그 후에 군에서 쫓겨났다고, 그 고문 후유증으로 남자들이 싫어서 여장을 하고 다닌다고 했다. (화장하는 남자/84쪽)


+


《낮은 데서 시간이 더 천천히》(황화섭, 몰개, 2023)


기억의 처음은 내가 기어 다니다가 첫걸음을 걸으면서 똥을 내질렀다는 것

→ 떠오르는 처음은 내가 기어다니다가 첫걸음을 떼면서 똥을 내질렀다는

→ 되새기는 처음은 내가 기어다니다가 처설음을 디디며 똥을 내질렀다는

5쪽


가끔씩은 고양이 수염 따라

→ 가끔은 고양이 나룻 따라

5쪽


바람의 향기, 톱날에 쓰러지는 나무들 톱밥의 냄새

→ 바람내음, 톱날에 쓰러지는 나무마다 톱밥냄새

→ 바람내, 톱날에 쓰러지는 나무에 톱밥내

13쪽


한없이 곡식 씨같이 생긴 것을 가끔씩 쓸어주었다

→ 가없이 낟알같이 생긴 알을 가끔 쓸어주었다

20쪽


정한수 물을 귀한 반상에 올리고서

→ 새벽물을 값진 자리에 올리고서

→ 비나리물 고운 밥자리에 올리고서

27쪽


바보가족들의 행진에도 바다는 그저

→ 바보네가 거닐어도 바다는 그저

→ 바보집안이 걸어도 바다는 그저

35쪽


서른 호 정도의 집들이 서로 다투지 않을 정도의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며

→ 서른 집 즈음이 서로 다투지 않을 만큼 알맞게 떨어져서

→ 서른 채 남짓이 서로 다투지 않을 만큼 슬슬 떨어져서

56쪽


백년해로하는 부부가 있었다

→ 한꽃사랑인 둘이 있다

→ 꽃사랑인 짝지가 있다

77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4.17.


《조선으로 간 일본인 아내》

 하야시 노리코 글·사진/정수윤 옮김, 정은문고, 2020.8.10.



언제나처럼 01∼06시 사이에 글일을 하고서 가만히 몸과 머리를 쉬는 이른아침인데, 우리 책숲으로 손님이 찾아온다. 고흥읍에 살면서 ‘라임(Rhyme)사전’이라는 글빛을 가꾸는 길을 걷는 분이다. 먼먼 큰고장이 아닌 시골에 깃들며 말꽃을 헤아리는 분을 만나니 뜻밖이면서 반갑다. 오늘날 시골사람은 두 갈래 말을 어릴적부터 듣고 살피고 펼 수 있기에, 글쓰기를 할 적에 한결 반짝일 만하다. ‘두말’이란 ‘시골말(사투리) + 서울말(나라말)’이다. 시골말을 품는 마음이기에 ‘스스로 짓는 말’을 그린다. 서울말을 바라보는 매무새이기에 ‘이웃이 쓰는 말을 살펴는 마음’을 돌본다. 《조선으로 간 일본인 아내》를 읽었다. 첫 쪽을 넘기고서 끝 쪽을 닫기까지 달포가 흘렀다. 야금야금 아끼며 읽었다. 아니, “높녘(북조선)에서 살아가기로 한 뒤로는 뜻밖에 ‘삶’이 아닌 ‘굴레’로 바뀐 나날에, ‘말’을 하고 싶어도 ‘마음’을 감추어야 했던 사람들이, ‘눈물’을 지으며 여태까지 살아남은 길”을 풀어낸 책이 태어날 수 있었구나 싶어 놀라웠다. 책쓴이는 높녘에 아직도 ‘자아비판·호상비판’이 있는 줄 알까? ‘노려보는(감시) 눈길’이 버젓한 터전에서 ‘나(일본 곁님)’를 안 잊은 ‘너(일본 이웃)’가 있는 줄 느낀 할매들은 그저 눈짓과 손짓으로 온갖 말씀을 남겨 놓으려고 애쓰셨구나 싶다.


#朝鮮に渡った日本人妻 #60年の記憶 #林典子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4.16.


《상냥한 폭력들》

 이은의 글, 동아시아, 2021.11.3.



오늘 ‘면민의 날’을 한다면서 06:30부터 마을알림에 손전화까지 울린다. ‘소리주먹(소음폭력)’이다. 다만 ‘면민의 날’ 마을알림을 10시까지 시끄럽게 되풀이할 뿐, ‘산불금지’ 마을알림은 오늘만큼은 안 트는구나. 서울에서 ‘가수님’을 웃돈으로 모시면서 먹고 마시는 판에 어르신들이 우루루 간다면 시골버스는 호젓할 듯싶어서 읍내로 저잣마실을 간다. 걷는읽기와 걷는쓰기를 한다. 집으로 돌아와서 늦은한끼를 하고서, 논개구리와 풀벌레 노랫소리를 들으면서 두 아이랑 마음쓰기(마음을 쪽글로 쓰기)를 한다. 오늘은 ‘꽃을 먹다’를 글감으로 삼는다. 《상냥한 폭력들》을 읽었다. ‘사랑매’란 눈속임이듯 ‘상냥주먹’도 눈가림이다. 그러나 이 나라는 아직 온통 ‘사랑매 + 상냥주먹’이 넘실거린다. 이쪽에서 저쪽을 밉말(혐오표현)로 나무라고, 저쪽에서 이쪽을 밉말로 똑같이 받아친다. 마음을 나누거나 생각을 밝히려는 말이 감쪽같이 사라진 요즈음이다. 그렇지만 숱한 사람들은 모든 밉말이 사라지는 새길을 그린다고 느낀다. 사랑을 그리면서 꿈을 노래하고픈 수수한 사람들은 이제 이쪽도 저쪽도 아닌 ‘온곳’을 바라보면서 ‘온살림·온사랑·온사람·온숲’이라는 하루를 스스로 가꿀 일이라고 알아보는 길을 익히려고 한다.


- 미투 이후희 한국, 끝나지 않은 피해와 가해의 투쟁기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5.4.15.


《바람 속에 서 있는 아이》

 고시미즈 리에코 글·이시이 쓰토무 그림/조영경 옮김, 산하, 2006.9.22.



언니가 살림돈을 보태어 준다. 오늘 기름 300ℓ(×1200원)를 넣는다. 두바퀴를 달려서 글월을 부친다. 들녘에서는 새를 보기 어렵지만, 우리집 큰나무에 내려앉는 새는 많다. 장흥 이웃님한테 띄울 글을 매듭짓느라 열흘 동안 끙끙댔다. 오늘 새벽에 드디어 마치니 기운이 쪽 빠진다. 빨래도 집안일도 소꿉놀이도 저잣마실도 책집마실도 글쓰기도 책읽기도 온힘을 다하게 마련이니, 하나하나 마무를 적마다 등허리를 펴고서 꿈누리로 간다. 《바람 속에 서 있는 아이》를 오랜만에 되읽고서 두 아이한테 건네었다. 다 다른 사람이 서로 이웃이자 동무로 살아가는 길을 다루는 아름책이다. 다 다른 살림길을 꾸리는 사람이 어떻게 마을을 이루면서 손을 맞잡는 마음으로 피어날 만한지 헤아리는 사랑책이다. 목소리만 내면 ‘소리’로 끝나지만, 마음을 나누려 하면 ‘말’로 깨어난다. 소리로 그치지 않는 말로 이으려면 언제나 사랑을 그리는 꿈으로 걸어갈 일이다. 너와 나는 ‘애국·충성·효도’를 해야 할 톱니바퀴일 수 없다. 나와 너는 ‘살림·사랑·숲’을 품는 사람일 노릇이다. 나란히 푸른별에서 사랑으로 살림을 하는 사람인 줄 알아볼 때라야 모든 따돌림과 사랑과 줄세우기와 위아래와 수렁을 걷어내고 녹인다고 본다.



“전쟁을 일으키는 사람들은 절대로 이것이 침략 전쟁이라고 말하지 않지. (122쪽)”


#越水利江子 #石井勉 

#あした出?った少年 #花明かりの街で


ㅍㄹㄴ


《바람 속에 서 있는 아이》(고시미즈 리에코/조영경 옮김, 산하, 2006)


벚꽃들이 팔랑팔랑 춤추며 떨어지고 있었다. 벚꽃들이 쌓이면서 골목 안이 환해졌다

→ 벚꽃이 팔랑팔랑 떨어진다. 벚꽃이 쌓이면서 골목이 환하다

→ 벚꽃이 춤추며 떨어진다. 벚꽃이 쌓이면서 골목이 환하다

10쪽


골목 밖 큰길에 멈춘 작은 트럭에서 누군가 소리쳤다

→ 골목 밖 큰길에 멈춘 작은 짐수레에서 누가 소리친다

10쪽


큼직한 글씨가 인쇄된 상자였다

→ 큰글씨가 적힌 꾸러미였다

→ 글씨를 크게 새긴 꿰미였다

10쪽


언젠가는 먼 곳으로 떠나는 게 아닐까

→ 언젠가 먼 곳으러 떠나지 않을까

→ 어느 날 멀리 떠나지 않을까

63쪽


심근경색이란 심장으로 통하는 혈관이 막히는 병이지

→ 가슴으로 가는 핏줄이 막히며 앓는 가슴막힘이지

→ 숨골로 가는 핏줄이 막히며 아픈 숨막힘이지

96쪽


교토의 새 부모님 아래에서 자라게 되었습니다

→ 교토 새 어버이 곁에서 자랐습니다

→ 교토에서 새 엄마아빠랑 살았습니다

215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4.21. 서울국제도서전 사유화 반대 서명운동



  ‘국제’라는 이름을 붙이기 앞서 ‘국내’ 출판사와 작가와 책방이 고루두루 어깨동무하는 잔치마당으로 가꾸어야 할 노릇이다. 여태까지는 돈만 더 내면 자리(부스)를 얼마든지 크게 꾸밀 수 있었는데, 오직 돈으로만 장사하는 자리는 이제 끝내야 한다. 비싼자리와 싼자리로 나누지 않아야 한다. 뽑기(추첨)를 해야 하고, 자리(부스)는 “한 칸”과 “두 칸”으로만 나누어 놓으면서, “서울 바깥에서 우리나라 책마을에 땀흘리는 작은 출판사와 작가와 책집이 널리 함께하도록 길을 열면서, 오히려 지역 출판사와 작가와 책집한테는 모심삯(초청비)를 줄 수 있는 틀”로 바꿀 노릇이라고 본다. 이럴 때라야, 비로소 ‘국내 책잔치’부터 이룰 테고, 바야흐로 ‘국제 책잔치’로도 뻗을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먼저 이 나라 온고을 이웃하고 어깨동무하는 책잔치가 아닌데, 먼나라로 자랑하려는 돈장사로만 시끌벅적하다면 누가 무슨 책을 읽을까? ‘노벨문학상’ 하나를 기려도 나쁘지 않되, ‘노벨도 문학상도 아닌’, 마을과 시골과 서울 모든 곳에서 수수하게 살림을 짓는 사랑을 들려주는 ‘온책·아름책·사랑책·숲책’을 품을 때라야, 그야말로 두런두런 책수다와 책노래와 책빛과 책사랑과 책살림과 책길과 책꽃과 책숲과 책바다와 책이웃이 어울리는 띠앗을 이루면서 아름나라에 사랑나라로 거듭날 테지.


ㅍㄹㄴ


https://form.naver.com/response/h95UcUOkK0UnFf8b6HC0rA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