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권외 프린세스 2
아이다 나츠미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6년 7월
평점 :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4.15.
안팎을 잇는 너
《권외 프린세스 2》
아이다 나츠미
서수진 옮김
대원씨아이
2016.8.15.
나는 너를 달랠 수 없습니다. 다만, 나는 네가 스스로 달래는 길을 알려줄 수 있습니다. 너는 나를 다독일 수 없습니다. 그러나, 너는 내가 스스로 다독이는 길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누가 누구한테 무엇을 해주는 듯 보일는지 모르나, 정작 어느 누구도 남을 달래거나 다독이지 않습니다. 늘 저마다 스스로 달래거나 다독입니다.
네가 나를 좋아하기에 기쁠 까닭이 없어요. 네가 나를 미워하기에 꺼리거나 싫을 까닭이 없어요. 어느 누구도 남을 사랑하지 못 합니다. 좋거나 미운 마음이란 누구나 품을 수 있되, 모름지기 사랑이란 스스로 어떤 숨빛인지 알아보는 길을 가리킵니다. 남을 아끼거나 보살핀다면 ‘아끼다’나 ‘보살피다’라고 합니다. 아끼거나 보살피기에 사랑이지 않아요. 스스로 사랑으로 빛나기에 저절로 이웃을 아끼거나 보살피는 매무새가 피어납니다.
내가 무엇을 좋아하기에 즐겁거나 기쁠 수 없어요. 좋아하면 그뿐입니다. 어느 하나를 좋아하기에, 이 하나를 뺀 나머지를 모조리 싫어하거나 안 쳐다보거나 미워하거나 꺼리거나 등돌리곤 합니다.
온누리를 보면 환하게 드러납니다. 어느 갈래를 좋아한다고 밝히는 사람일수록 “어느 갈래를 뺀 모든 갈래”를 모르거나 등돌리거나 까막눈입니다. 어느 사람을 좋아한다고 외치는 사람일수록 “어느 사람을 뺀 모든 사람”을 아예 안 쳐다보고 얘기를 안 듣고 말조차 안 섞더군요. 좋아하니까 좁아요. 좁으니까 좇아다녀요. 이러다가 이웃을 쫓아내기까지 합니다.
《권외 프린세스》는 어느 아이가 누구보다 스스로 안 좋아하고 스스로 미워하고 스스로 못생기고 못났다고 여기는 마음이 얼마나 바보스럽게 스스로 갉아먹는가 하는 줄거리를 들려줍니다. 잘생기거나 몸매가 미끈해야 남들이 좋아할 만하지 않습니다. 겉모습이나 얼굴이나 몸매는 “어느 사람 숨빛”이 아닌, 그저 살덩이일 뿐입니다. 살덩이를 쳐다보는 마음으로는 아무런 사랑이 안 싹터요.
서로 눈을 감고 마주볼 적에 비로소 스스로 어떤 숨빛인지 느끼고, 이때에 ‘사랑’이란 늘 ‘나부터’ 날개를 펴는 길인 줄 천천히 헤아릴 수 있습니다. 나부터 일어서야 너를 알아보고, 너를 알아보면서 나를 다시 바라보며, 나를 다시 바라보다가 너를 그윽히 지켜보기에, ‘우리’를 이루는 하늘빛으로 반짝반짝 웃고 노래하는 길에 서게 마련입니다.
우리는 남을 깨울(설득) 수 없습니다. 남한테 “자, 이제 스스로 깨어나 보셔요.” 하고 말할 수는 있습니다. 우리는 남을 북돋울 수 없습니다. 남한테 “자, 이제 스스로 사랑해 보셔요.” 하고 얘기할 수는 있습니다.
속꽃(무화과)을 먹고 싶으면 속꽃나무 한 그루를 심을 노릇입니다. 배를 먹고 싶으면 배나무 한 그루를 심으면 됩니다. 남이 속꽃이나 배를 사다가 주기를 기다리거나 바랄 까닭이 없어요.
말을 알고 싶으면 마음을 틔울 노릇입니다. 그리고 낱말책을 살펴서 차분히 읽으면서 스스로 낱말풀이를 하면 됩니다. 글을 쓰고 싶으면 그림부터 그릴 노릇입니다. 하루를 그리고, 꿈을 그리고, 사랑을 그리면서, 천천히 살림을 그리노라면, 어느새 누구나 글지기로 일어섭니다.
너를 바라보는 나는 서로 안팎을 잇습니다. 눈을 감고 바라보다가, 눈을 뜨고 지켜보다가, 다시 서로서로 마음과 눈망울을 마주하면서, 차분히 안팎을 잇는 빛줄기를 느낍니다.
ㅍㄹㄴ
“너도 같은 마음이지? 전시회가 걱정돼서 온 거잖아. 나처럼!” (9쪽)
‘포기하는 건, 역시 불가능해!’ (72쪽)
‘오히려 내 쪽이 아니었을까?’ (110쪽)
“메구치. 잡지도 사람이 만드는 거라, 그대로 다 받아들이면 안 돼. 이 중에서 내가 ‘괜찮다’ 싶은 것만 골라서 참고로 하면 되지 않을까? 사랑도, 화장도, 멋도, 수학 교과서랑 달라서 정답이 정해져 있지 않아.” (147쪽)
‘넌 자신이 처한 상황을 받아들이고, 어떡하는 게 가장 좋은지를 생각할 수 있는 사람이구나. 조금 뜻대로 되지 않는다고 금방 침울해 하는 게 아니라, 나랑 둘이 이 비오는 날, 어떡하면 즐길 수 있는지부터 먼저 생각할 수 있는 사람. 쿠니마츠, 난 널 그저 좋아하기만 하는 게 아냐. 난 너처럼 다정하고 강하고 긍정적인 사람이 되고 싶어.’ (198쪽)
#圈外プリンセス #
+
《권외 프린세스 2》(아이다 나츠미/서수진 옮김, 대원씨아이, 2016)
지면이 까마득히 멀어
→ 바닥이 까마득히 멀어
→ 땅이 까마득히 멀어
7쪽
어느 반보다도 월등히 뛰어나니까
→ 어느 곳보다도 뛰어나니까
→ 어느 칸보다도 잘했으니까
22쪽
짧은 치마에 호전적인 자세는 뭐야?
→ 짧은치마에 달려드는 몸짓은 뭐야?
→ 짧은치마에 사나운 매무새는 뭐야?
129쪽
앞머리를 얘처럼 사선으로 해보는 건 어때?
→ 앞머리를 얘처럼 빗살로 해보면 어때?
→ 앞머리를 얘처럼 비스듬히 하면 어때?
147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