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5.5.6.
숨은책 1048
《文學과 民族》
고은 글
한길사
1986.7.20.
말하는 대로 스스로 살아낼 줄 안다면 아무 말이나 함부로 읊지 않을 뿐 아니라, 먼저 몸소 살아내지 않고서야 섣불리 말하지 않게 마련입니다. 말을 번드레하게 하기란 안 어렵습니다. 몸소 안 하더라도 입으로 읊을 적에는 둘레에서 ‘겉말’에 따라서 모시거나 추키기 쉽습니다. 몸소 안 하지만 글로 남길 적에도 둘레에서 ‘겉글’을 좋아하거나 따르기 쉽습니다. 1986년에도 굳이 한자로 책이름을 적은 《文學과 民族》은 ‘고은 말모음’이라지요. 이녁은 술이 좋아 술에 절어서 살아내는 사이에도 곳곳을 다니며 갖은 ‘좋은말’을 쏟아냈습니다. 이 좋은말을 펴냄터(출판사)와 새뜸(신문)에서 넙죽 받아서 퍼뜨렸습니다. 곰곰이 보면 고은을 비롯한 ‘겉말·겉글 무리’는 ‘까칠말’을 안 합니다. ‘까칠말’이란, 말하거나 글쓰는 사람부터 스스로 바꾸고 일구는 살림살이를 밝히는 말입니다. 몸소 바꾸고 일구는 살림길을 이웃한테 알리고 들려주면서 함께 바꾸고 일구자고 속삭일 적에 비로소 ‘속말·속글’로 피어납니다. 위에 앉아 내려다보는 우두머리 같은 마음으로 쏟아낸 말글이 지나치게 퍼진 이 나라입니다. 나란히 서서 삶글을 짓고 삶말을 펴는 이야기는 도리어 멀리하거나 쳐내는 이 나라이기도 합니다. 우리 아이들한테는 ‘고은 찌꺼기’를 말끔히 털어낸 글밭을 물려주어야 하지 않을까요?
ㅍㄹㄴ
지난 10여 년 동안의 수많은 강연을 통해서 얻어진 논설의 일부가 이 책이 되고 있다. 곳곳에 강연의 흔적 그대로의 구술 분위기가 생생한데 굳이 가필하지 않았다. (3쪽)
마지막으로 내가 내 형제이며 내 불가피한 공동체인 오늘의 대학생에게 부탁하는 것은 우리 민족의 민중주체적 통일에의 행진입니다 … 대학생은 고민과 행위의 지성일지 모르나 특권과 소유의 야만이 아니어야 합니다. 이 점에서 대학생은 최후로 창조하는 사람들입니다. (368, 369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