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 숨은책읽기 2025.4.16.

숨은책 1040


《人間文化財》

 예용해 글

 어문각

 1963.9.25.첫/1969.3.1.재판



  이제는 조금쯤 “사람이 꽃이다” 같은 말을 곱씹는 분이 늘지만, 아직 우리나라는 “사람이 돈이다” 같은 굴레에서 맴돕니다. 지난날 임금과 벼슬아치는 “사람이 종이다”처럼 굴었습니다. ‘백성(百姓)’과 ‘국민(國民)’이라는 한자 이름에는, 사람을 사람이 아닌 종(노예)으로 부리려는 노림길이 짙게 도사립니다. 이처럼 나라가 ‘나라사람’을 사람으로 안 여기면서 한창 휘어잡던 때에 예용해 님은 ‘인간문화재(人間文化財)’라는 이름을 짓고서 〈한국일보〉에 이 이야기를 꾸준히 실었고, 1963년에 《人間文化財》라는 두툼하고 묵직한 꾸러미를 선보입니다. 나라에서 팽개치고 마을에서 따돌리던 일꾼을 눈여겨본 첫걸음이에요. 다만, ‘人間文化財’는 일본에서 쓰는 ‘人間國寶’라는 이름을 살짝 따온 말입니다. 우리말로 이름을 붙이면 낮잡던 물결 그대로 ‘사람꽃·사람빛’ 같은 이름을 못 쓰면서 ‘人間 + 文化財’라는 틀에서 맴돌았습니다. 사람을 사람으로 바라보고 마주하는 마음을 세울 적에 살림길을 살찌우고 북돋우는 사랑을 펼 만합니다. 사람꽃이란 살림꽃이면서 사랑꽃입니다. 사람빛이란 살림빛이면서 사랑빛입니다. 모든 사람이 저마다 꽃이요 빛이듯, 우리 곁에서 돌보고 품고 헤아릴 말씨 하나를 그립니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책숲마실 . 마을책집 이야기


해바람처럼 별처럼 (2024.11.16.)

― 서울 〈숨어있는 책〉



  책집이란, 책을 사고파는 곳이기도 하면서, 책으로 쉬는 보금자리(집)라고도 느껴요. 구름과 잎빛이 반짝이는 늦가을 하루에 서울마실을 갑니다. 새로 낸 책에 맞추어 서울이웃님하고 책집마실을 누리려고 합니다. 혼자 책시렁을 돌아볼 적에는 혼자 빙그레 웃으면서 온갖 책을 읽고서 제자리에 꽂거나 품에 안습니다. 여럿이 골마루를 거닐 적에는 서로 다르게 눈여겨보고 마음이 닿는 책을 살펴보면서, 우리는 이렇게 다르기에 만날 만하구나 하고 느낍니다.


  밭에서는 맨손으로 흙과 풀을 만지면서 즐겁다면, 책집에서는 우리 손으로 종이를 쓰다듬으면서 책빛을 느끼며 반갑습니다. 들숲메바다에서는 맨발로 놀며 일하고 발바닥으로 흙과 풀을 느끼기에 기쁘다면, 책집에서는 우리가 둘러보고 헤아리는 대로 읽을거리가 쏟아지기에 흐뭇합니다.


  누구는 짝을 맺고서 아기를 낳고, 누구는 짝을 맺으나 아기를 안 낳고, 누구는 짝을 안 맺어도 아기를 낳고, 누구는 짝을 안 맺고 아기를 안 낳습니다. 다 다르게 삶길을 걷습니다. 아기를 안 낳고 안 돌보는 길에 서는 분은 으레 ‘빈손’이나 ‘빈몸’을 얘기합니다. 이와 달리 아기를 낳아 돌보는 어버이는 ‘빈손’일 수 없어요. ‘찬손(가득찬 손)’이어야 합니다. 배냇저고리를 입히고 기저귀를 빨고 포대기에 이불도 빨래하는 살림이니까 ‘빈손’이나 ‘빈몸’이기 어렵습니다. 아니, 말이 안 되지요. 그러나 아기가 맨몸으로 풀밭에서 뒹굴며 자란다면 빈손이나 빈몸이어도 됩니다. 아기가 맨발에 맨손으로 풀꽃나무하고 동무하며 자란다면 얼마든지 빈손이나 빈몸일 만하지요.


  〈숨어있는 책〉에서 숨은책을 한 자락씩 쓰다듬습니다. 장만하려는 책도, 장만하지 않고서 둘러보는 책도, 이웃한테 건네고 싶은 책도, 예전에 읽은 책도, 새삼스레 어루만집니다. 서울에 닿아서 책집까지 오던 길을 돌아봅니다. 오늘은 버스와 전철로 긴긴 길을 보내는데, 어쩐지 다들 에어컨을 틀더군요. 그런데 서울 전철을 탄 거의 모든 분은 옷을 두껍게 입고서 땀흘리다가 에어컨으로 식히네요.


  우리는 어떤 철을 살아가는 사람일까요? 우리는 철을 잊은 채 무엇을 읽는 하루일까요? 여름에는 가볍게 차려입고서 해바람을 맞아들이면서 땀을 흘려야 튼튼살림을 누린다고 느낍니다. 겨울에는 두툼히 차려입되 해바람도 넉넉히 받아들이면서 오들오들 떨어야 든든살이를 일군다고 느낍니다. 그러나 서울과 큰고장은 어쩐지 거꾸로길입니다. 별이 돋아도 별을 바라보지 않는다면, 해바람비가 흘러도 해바람비를 안 본다면, 우리 곁에는 어떤 책이 있을까요?


ㅍㄹㄴ


《스승은 없는가》(성내운, 진문출판사, 1977.10.30.첫/1977.11.20.재판)

《소크라테스의 행복》(송건호, 동광출판사, 1979.10.15.)

《한중상용외래어사전》(박문봉 엮음, 민족출판사, 2003.6.)

《カラ-ブックス 56 原始美術》(中山公男, 保育社, 1964.11.25.)

《カラ-ブックス 104 能, 鑑賞のために》(丸岡大二·吉越立雄, 保育社, 1966.7.1.)

- 新文化社. 서울 충무로1가 24

《カラ-ブックス 147 版畵入門》(德力富吉郞, 保育社, 1968.4.1.)

《英和會話小辭典》(Mr. and Mrs. O.Vaccari, 1939.10.첫/1964.10.10.18볼)

《岩波新書 810 金史良, その抵抗の生涯》(安宇植, 岩波書店, 1972.1.29.)

《아동설교 2 어린이들 마음 밭에》(안성진 엮음, 기독교어린이문화관, 1975.5.20.)

《美術文庫 11 書藝의 歷史 上》(伏見沖敬/석지현 옮김, 열화당, 1976.1.25.첫/1978.11.12.재판)

《홈스터디 선정 중학생 필독 도서 : 흰고래》(허만 멜빌/편집부 옮김, 동아출판사, 1989∼91)

《민족문학 86.2.》(자유실천문인협의회 엮음, 청사, 1986.2.23.)

《大衆的貧困의 本質》(J.K.갈브레이드/윤현 옮김, 샘터, 1979.7.30.)

《언어 기원에 관한 시론》(장 자크 루소/주경복·고봉만 옮김, 책세상, 2002.8.5.)

《국어의 풍경들》(고종석, 문학과지성사, 1999.9.16.첫/2002.1.24.4벌)

《아름다운 그런데》(한인준, 창비, 2017.4.17.)

《영부인 마나님 해도 너무해요》(편집부 엮음, 금성문화사, 1988.9.20.)

《文學과 民族》(고은, 한길사, 1986.7.20.)

《햇빛다솜책 20 말괄량이 여고생 비밀일기》(조재현, 햇빛출판사, 1989.10.5.)

《먼동이 틀 때까지》(양정신, 종로서적, 1980.10.30.)

《영혼의 미쁜 나무, 헬렌 켈러》(정영식, 보리, 1987.8.31.첫/1988.3.15.2벌)

《독재자 학교》(에리히 캐스트너/김학천 옮김, 전예원, 1988.8.25.)

《촛불의 美學》(G.바슐라르/이가림 옮김, 문예출판사, 1975.9.30.)

《우리 시대 젊은 만인보 15 나는 지구인이다》(마붑 알엄, 텍스트, 2010.8.23.)

《서울경기글쓰기교육연구회 강연회 자료》(윤구병, 한국글쓰기교육연구회, 2007.10.31.)

《어머니의 肖像》(펄 벅/장영하 옮김, 예일문학사, 1988.4.15.)

- 鄭樂興 88.6.4.

《現代の日本》(時野谷勝·秋山國三, 創元社, 1970.3.20.)

《전설의 시대》(토머스 발핀취/이하윤·홍봉룡 옮김, 문교부, 1959.3.20.)

- 조우현 교수 기증도서.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1998년 2월 28일

(2009.9.9.) 1946년 연희전문 마침. 1952년부터 연세대 철학과 교수

- 消. 延大

- Oct.17.'59. Seoul

《建設和平與民主》(金大中, 世界知識出版社, 1991.10.)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숲노래 살림말 / 숲노래 책넋

2025.4.15. 빛꽃



  ‘사진’이란, “빛으로 그린 이야기”라고들 하는데, 빛으로 그리기 앞서 먼저 삶으로 온마음과 온몸에 새긴 하루하루가 차곡차곡 쌓이고 모이던 어느 날 문득 눈을 뜨면서, 이 눈빛을 손끝으로도 옮기면서 가만히 태어나지 싶다. 삶을 바라보는 눈길을 스스로 온마음으로 살려서 온몸에 흐르는 기운을 하나로 그러모아서 가볍게 찰칵 누르는 사이에, 마치 새봄을 기다리던 망울이 사르르 벌어지듯 꽃봉오리가 열리는 셈이라고도 느낀다. 사진이란 빛그림이면서 빛꽃이겠네 하고도 느끼고, 찰칵 하고 찍으려면 마음이라는 종이에 숨결이라는 빛을 살며시 얹으려고 속눈을 뜰 일이라고 본다.


  꽃은 언제 어떻게 왜 피어나는가? 꽃은 누구한테 보이려는 숨빛인가? 꽃은 어떻게 망울을 맺어서 제철에 슬며시 부드럽게 춤출 수 있는가?  숲을 이루는 나무는 수수하게 꽃을 피운다. 모든 나무는 다 다른 철에 꽃빛을 천천히 잇는다. 풀꽃이 갖은 빛깔로 알록달록 물결치고, 나무꽃이 투박한 잎빛이며 옅고 맑은 빛으로 더없이 조그맣게 너울친다. 사람이 그리는 한칸그림이란, 이 한칸으로 오늘까지 지은 살림길을 드러내면서, 오늘부터 빚으려고 하는 사랑길을 얹는다고 할 만하다.


  한밤에도 찰칵 담는다. 낮에는 해가 있다면 밤에는 별이 있기에, 햇빛과 별빛을 고스란히 받아들여서 낮과 밤에 다른 빛살을 얹어서 이야기를 이룬다. 한밤에는 고요하면서 차분한 빛줄기를 더욱 천천히 얹는다면, 한낮에는 왁자지껄하면서 즐거운 춤짓으로 더욱 빠르게 얹는다.


  눈으로만 본다면 속빛을 잊는다. 감은눈을 뜨려 하지 않으면 어느새 갇힌다. 눈과 귀와 코와 입과 살갗과 마음과 머리를 고루 어우르기에 빛꽃이 한 송이 핀다. 그저 줄줄이 잇지 않을 줄 알기에, 찰칵 담아내고서 틈을 두어서 둘레를 새롭게 돌아보고 나서야 다시 찰칵 담을 줄 알기에, 틈을 틔우기에 틈꽃으로 한 자락 다시 피어난다.


ㅍㄹㄴ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극채의 집 4
빗케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4.15.

책으로 삶읽기 1015


《극채의 집 4》

 빗케

 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22.5.15.



온누리 모든 아이들은 다르게 빛난다. 살아서 움직이고, 밥이나 물을 먹고, 바람을 마시고, 해를 쬐고, 잠이 들고, 뛰고 달리고 놀고, 쉬고 바라보고 생각하는, 모든 아이는 다 다르게 빛난다. 모든 어른도 아기로 태어나서 아이로 자랐기에 빛나게 마련인데, 어쩐지 빛나는 삶보다는 빛바래는 삶으로 기울려고 하는 분이 많다. 스스로 하루하루 꿈을 그리면서 사랑을 속삭이기에 ‘빛’이요, 스스로 아무런 꿈을 안 그리면서 사랑하고 등진 채 미움·싫음·좋아함에 얽매이기에 ‘빚’이다. 《극채의 집 4》을 돌아본다. 얼핏 보면 “빛나는 머리카락”을 타고난 아이들이 어느 절집에 머물면서 머리카락을 물감으로 내놓는 어린날을 보낸다는 줄거리이다. 그야말로 언뜻 보면 “아이들 머리카락이 빛난다”고 여길 테지만, 곰곰이 보면 “머리카락이 아닌 아이들 숨결이 빛난다”고 해야 맞고, 머리카락이 아닌 숨결을 바라볼 수 있을 적에 비로소 ‘어른’으로 서는 얼거리라고 할 만하다. 오늘 우리는 스스로 어떤 곳을 바라보려나? 우리는 서로 어떤 몸이나 모습이나 마음을 바라보려고 하는가?


ㅍㄹㄴ


‘앞으로 언젠가 내가 죽어도 내 검은색은 남는 걸까? 그렇다면 굉장한 거 아니야?’ (72쪽)


‘엄마한테 묻고 싶은 것도 얘기하고 싶은 것도 잔뜩 있다. 작은 그림엽서에는 다 쓰지 못할 만큼.’ (85쪽)


“주말에 식사를 준비해 주는 승려님이 있어서 매일 요리를 하진 않지만, 앞머리 정도는 직접 다듬을 때도 있고, 주변 청소나 간단한 빨래 같은 것도 직접 해요. 우리는 그렇게 특별한 사람이 아니에요.” (95쪽)


‘꽃처럼 웃는다는 건 바로 이런 걸 말하는 거구나. 꽃봉오리가 벌어져서 꽃이 피운 것 같은.’ (121쪽)


+


《극채의 집 4》(빗케/김진수 옮김, 대원씨아이, 2022)


꼭 입안이 폭발하는 것 같아

→ 꼭 입에서 터지는 듯해

22쪽


여분으로 한 장 더 사왔는데

→ 한 자락 더 사왔는데

60쪽


주말에 식사를 준비해 주는 승려님이 있어서 매일 요리를 하진 않지만

→ 이레끝에 밥을 챙겨 주는 스님이 있어서 늘 밥을 짓진 않지만

→ 끝이레에 밥을 살펴주는 스님이 있어서 날마다 밥을 하진 않지만

95쪽


언젠가 열의가 전해질 거라고 믿었다

→ 언젠가 땀방울이 스미리라 믿었다

→ 언젠가 불꽃이 퍼지리라 믿었다

165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권외 프린세스 7 - 완결
아이다 나츠미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5.4.15.

책으로 삶읽기 1014


《권외 프린세스 7》

 아이다 나츠미

 서수진 옮김

 대원씨아이

 2025.4.15.



앞서가는 길을 펼치는구나 싶은 분이라면, 언제나 가장 오랜 살림길을 차분히 잇는다고 느낀다. 모든 새로운 길이란 언제나 길이길이 이은 씨앗 한 톨이지 싶다. 모든 새싹은 가장 오래된 숨빛을 품은 씨앗이 흙에 가만히 깃들어야 깨어나서 돋아나니까. 《권외 프린세스》는 일곱걸음으로 맺는다. 스스로 남하고 나를 맞대면서 “난 못생기고 못났어!” 하고 여기던 마음을 어떻게 풀고 맺어서 눈을 뜰 수 있는가 하고 들려주는 이야기이다. ‘남’이 아닌 ‘나’를 보면서, ‘남’ 눈치가 아닌 ‘너’라는 숨빛을 보고, ‘나’랑 ‘너’로 이룰 ‘우리’를 그릴 적에 비로서 둘은 한마음이자 한넋으로 빛난다. 나를 제대로 보려 하지 않기에 자꾸 “‘남’ 눈치”에 얽매이고 “남이 하는 모습”을 뒤좇으려고 한다.


내가 나로 설 적에는 내 겉모습은 그저 내가 이곳에서 살며 배우고 익힐 길을 밝히는 옷인 줄 알 수 있다. 내가 나로 서지 않기에 “남이 이뻐하는 모습으로 고쳐야 한다”고 여긴다. 이때에는 우리 몸을 뜯어고치더라도 눈치보기를 끝내지 못 한다. 더욱이 몸을 뜯어고치고 나면 자꾸자꾸 더 뜯어고칠 수밖에 없고, 마침내 속빛이라는 넋은 잊은 채 겉껍데기에 얽매이고 마니, 나도 너도 한마음으로 만나는 길하고는 더더욱 멀 뿐이다.


기쁘기에 웃는다. 슬프기에 눈물에 젖는다. 웃는 하루를 맞이하고, 우는 오늘을 돌아본다. 삶에는 기쁨슬픔이 나란하다. 웃음눈물이 흐르면서 서로 새롭게 마주하면서 다시 이 길을 걸을 수 있다.


ㅍㄹㄴ


‘내가 토해낸 마음이 분명 뭔가를 움직인 거야.’ (11쪽)


“해가 질 때까지 여기서 차 소리, 바람 소리를 듣고, 때로는 지나가는 사람들을 멍하니 보면서 다양한 생각을 했었어.” (16쪽)


‘쿠니마츠와의 사랑이 끝난 이후, 난 제대로 앞으로 나아가는 것에 성공했을까?’ (55쪽)


“너의 모든 다양한 문제로 그 애는 수도 없이 고민했어! 몇 번이나 울었고! 그런데도 좋대! 그 마음 외에 또 뭐가 필요한데? 아무리 부탁하고, 좋아해도, 닿지 않는 사랑도 있어! 너희는 그렇지도 않잖아!” (123쪽)


‘카나타에게 처음 안겼을 때, 처음으로 내가 필요한 사람이 될 것 같았어. 난 분명 카나타에게서 내 모습을 본 거야. 연애니 남친이니 개나 주라고 생각했던, 그무렵의 내 모습을.’ (150쪽)


#圈外プリンセス #


+


《권외 프린세스 7》(아이다 나츠미/서수진 옮김, 대원씨아이, 2025)


내가 토해낸 마음이 분명 뭔가를 움직인 거야

→ 내가 뱉어낸 마음이 바로 무엇을 움직였어

→ 내가 내놓은 마음이 냉큼 뭘 움직였어

11쪽


신변정리를 하기로 했나 봐

→ 갈무리를 하기로 했나 봐

→ 짐갈망을 하기로 했나 봐

82쪽


그렇게 죽상 짓지 마

→ 그렇게 죽낯 짓지 마

→ 죽을낯 좀 짓지 마

83쪽


속죄의 뜻으로 하나쯤은 좋은 일을 하고 싶었는데

→ 뉘우치는 뜻으로 하나쯤은 착한 일 하고 싶었는데

→ 비는 뜻으로 하나쯤은 착한 일을 하고 싶었는데

85쪽


글 : 숲노래·파란놀(최종규). 낱말책을 쓴다. 《새로 쓰는 말밑 꾸러미 사전》, 《우리말꽃》, 《쉬운 말이 평화》, 《곁말》,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