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트리히 본회퍼, 마리아 폰 베데마이어 『옥중연서』, 정현숙 옮김, 복 있는 사람, 2013(6).
아마도 지금 저는 영성이 풍부한 편지를 써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그럴 수가 없습니다. 그러기에는 제가 너무 행복하기도 하고 슬프기도 하여 뒤죽박죽 혼란스러우니까요.(183쪽)
→ 아마도 지금 저는 재치 있는 편지를 써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그럴 수가 없습니다. 그러기에는 제가 너무 행복하기도 하고 슬프기도 하여 뒤죽박죽 혼란스러우니까요.
독일어 원문: Vielleicht müßte ich Dir jetzt einen geistreichen Brief schreiben. Aber das geht nicht. Dazu bin ich viel zu glücklich und traurig durcheinander.
• 번역을 바로잡았다.
• geistreich = 똑똑한, 재기 발랄한
https://www.dwds.de/wb/geistreich
• 아래, 번역을 볼 것:
요한 페터 에커만, 『괴테와의 대화 1』(세계문학전집 176), 장희창 옮김, 민음사, 2008(5).
당대의 가장 뛰어난 문헌학자인 베를린의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볼프가 남부 프랑스로 여행을 가는 길에 여기 바이마르에서 발이 묶였다. 괴테가 그를 위하여 오찬을 베풀었던 것이다. [...] 볼프는 이런저런 재담을 늘어놓았다. 한껏 기분이 고조된 괴테는 그 맞수 역할을 했다. [...]
식탁에서의 재담은 너무 신속하고 너무나 순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그것들을 제대로 소화시키기가 어려울 정도였다. 볼프는 그 재기 발랄한 대답과 어법에 있어서 매우 뛰어났지만, 내 생각으로는 괴테가 한 수 위인 것으로 보였다.(153-154쪽)
Der größte Philologe unserer Zeit, Friedrich August Wolf aus Berlin, ist hier, auf seiner Durchreise nach dem südlichen Frankreich begriffen. Goethe gab ihm zu Ehren heute ein Diner, [...]. Wolf gab manchen geistreichen Einfall zum besten; Goethe, in der anmutigsten Laune, spielte immer den Gegner. [...]
Die geistreichen Scherze über Tisch waren zu flüchtig und zu sehr die Frucht des Augenblicks, als daß man sich ihrer hätte bemächtigen können. Wolf war in witzigen und schlagenden Antworten und Wendungen sehr groß, doch kam es mir vor, als ob Goethe dennoch eine gewisse Superiorität über ihn behauptet hät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