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 1547년 초에는 헤르만슈타트에서 협정된 교회법이 라틴어로 공포되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이 교회법은 독일어로도 공포되었다. 독일어판 교회법은 혼테루스에게 증정된 것이다.(251)

 

[..] 1547년 초에는 시비우에서 협정된 교회법이 브라쇼브에서 라틴어로 공포되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이 교회법은 독일어로도 공포되었다. 독일어판 교회법은 혼테루스의 작품이었다.

 

독일어 원문: Die im Fruhjahr 1547 in Hermannstadt vereinbarte Kirchenordnung wurde zuerst in lateinischer Sprache in Kronstadt publiziert. Kurz darauf erschien dieselbe „Kirchenordnung aller Deutschen in Sybemburgen“, die Honterus zugeschrieben wird.

 

 

Hermannstadt = Sibiu = 시비우

 

= 루마니아 중부의 도시

 

Kronstadt = Braşov = 브라쇼브

 

= 루마니아 중부의 도시

 

die[=Kirchenordnung] Honterus zugeschrieben wird

 

= 교회법은 혼테루스의 작품으로 간주된다

 

빠진 지명을 보완하고, 문장을 바로잡았다.

 

 

 

요한네스 혼테루스 동상, 루마니아 바르쇼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지벤뷔르겐 전 지역이 루터화되었다. 사람들이 어떻게 부르든지 간에 개신교적이 되었다.” 이러한 견해는 1546년에 이미 존재했으나 완전히 맞는 말은 아니다. 1546년의 교회법은 물론 종교개혁 쪽으로 방향을 틀었지만, 교리적으로 가톨릭과 종교개혁을 분명하게 분리시키는 데에는 20년이라는 시간이 더 필요했다. 교회 직무의 문제도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251)

 

트란실바니아 전 지역이 루터화되었다. 사람들이 어떻게 부르든지 간에 개신교적이 되었다.” 이러한 마르틴 부처 견해는 1546년에 이미 존재했으나 완전히 맞는 말은 아니다. 1547년의 교회법은 물론 종교개혁 쪽으로 방향을 틀었지만, 교리적으로 가톨릭과 종교개혁을 분명하게 분리시키는 데에는 시간이 더 필요했다. 교회 지도부의 문제도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독일어 원문: Schon 1546 wusste Martin Bucer, dass „ganz Sibenburg [] lutherisch [ist], wie mans nendt und evangelisch worden“. Ganz stimmt dies nicht. Während die Kirchenordnung von 1547 zwar reformatorisch orientiert war, war der Konfessionsbildungsprozess noch lange unabgeschlossen, auch die Angelegenheiten der Kirchenleitung.

 

Siebenbürgen = Transylvania = 트란실바니아

 

= 현재, 루마니아의 중부와 서북부 지방

 

빠진 인명을 보완하고, 연도를 바로잡았다.

 

 

 

 

트란실바니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황제의 증여로 독일기사수도회(Ritterorden)에 주어진 구도시와 신도시의 두 거류지는 교회의 현실을 반영했다. 독일기사수도회들은 고딕 양식의 할렌 교회(Hallenkirchen)를 본떠 두 개의 주요 교회(1270년 성 블라시우스, 1317년 성 마리아)를 건축했다.(351)

 

황제의 증여로 독일기사수도회(Ritterorden)에 주어진 구도시와 신도시의 두 거류지(기사수도회의 관구) 교회의 현실을 형성했다. 독일기사수도회 고딕 양식의 할렌키르헤(Hallenkirche) 두 개의 주요 교회(1270년 성 블라시우스, 1317년 성 마리아)를 건축했다.

 

독일어 원문: Geprägt wurde die kirchliche Realität jedoch von den beiden Niederlassungen (Kommenden) des Deutschen Ritterordens durch kaiserliche Schenkungen in der Altstadt und in der Neustadt. Ihnen war auch der Bau der beiden Hauptkirchen als gotische Hallenkirchen (St. Blasius 1270, St. Marien 1317) zu verdanken.

 

Kommende = 기사수도회의 관구

 

Hallenkirche = 할렌키르헤

 

건축전문용어 = 신랑과 측랑의 높이가 똑같이 되어 있는 형식의 성당.

 

내부가 넓어 보여 홀과 같은 인상을 준다. 보통 큰 자형 지붕으로 성당을 덮고 있는 것이 외관상의 특징.

 

단어와 문장을 바로잡았다.

 

 

 

아래 그림을 참고할 것:

 

할렌키르헤 단면도

바실리카 단면도

할렌키르헤 내부

할렌키르헤 외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스트라이허(Streicher)의 집은시민뿐만 아니라 하녀도 구성원으로 받아들인슈벵크펠트 공동체의 중심지가 되었다.(546-547)

 

트라이허(Streicher)의 집은시민뿐만 아니라 하녀도 구성원으로 받아들인슈벵크펠트 공동체의 중심지가 되었다.

 

독일어 원문: Zum Zentrum der schwenckfeldischen Gemeinschaft der Stadt, zu der neben Bürgerinnen und Bürgern auch Mägde gehörten, wurde das Haus der Familie Streicher.

 

Streicher = 슈트라이허

 

인명을 바로잡았다.

 

 

다음 이름도 수정할 것:

 

과거 스트라이허의 집이 있던 자리에(547)

 

과거 트라이허의 집이 있던 자리에

 

아가테 스트라이허(Agathe Streicher)의 주도 아래(547)

 

아가테 트라이허(Agathe Streicher)의 주도 아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튀빙겐의 회합에서 양측은 장래에 상호 정죄를 포기하기로 약속했다. 그러나 이러한 약속은 곧바로 다음 해에 무력하게 되었다. 슈벵크펠트가 비텐베르크 협약을 신랄하게 비판했기 때문이다. 슈벵크펠트는 적지 않은 울름 시민들이 비텐베르크 사람들과 타협하면서 자신들의 고유한 성만찬 견해를 배반했음을 말하려고 했다.(546)

 

튀빙겐의 회합에서 양측은 장래에 상호 정죄를 포기하기로 약속했다. 그러나 이러한 약속은 곧바로 다음 해에 무력하게 되었다. 슈벵크펠트가 비텐베르크 협약을 신랄하게 비판했기 때문이다. 슈벵크펠트는, 비텐베르크 사람들과 타협하면서 자신들의 고유한 성만찬 견해를 배반했다고 생각하는 적지 않은 울름 시민들의 견해를 대언했던 것이다.

 

독일어 원문: In der Tübinger Konkordie verpflichteten sich dann beide Seiten, in Zukunft auf gegenseitige Verurteilungen zu verzichten. Diese Abmachung wurde bereits im folgenden Jahr hinfällig, als Schwenckfeld die Wittenberger Konkordie heftig kritisierte - womit er nicht wenigen Ulmern aus der Seele sprach, die im Kompromiss mit den Wittenbergern ihre eigene Abendmahlsauffassung verraten sahen.

 

A aus der Seele sprechen = A가 말하고 싶어 하는 바를 말해 주다

 

문장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