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프랑스로 옮겨진 교회의 보물들은 시간이 흐르면서 완전히 사라졌고, 예배당 벽면을 장식한 성상과 화상은 파괴되거나 흩뿌려졌다. 예배당 중앙 통로에 있는 의자 배열은 사라졌고, 단상은 설교에 대한 새로운 의미 부여를 위해 상징적으로 설치되었다. 그 덮개에 새겨진 문자들은 수수께끼 형태를 띠면서 당시 종교개혁의 실행을 회상케 한다.(376)

 

프랑스로 옮겨진 교회의 보물들은 시간이 흐르면서 완전히 사라졌고, 측랑 소예배당을 장식한 성상과 화상은 파괴되거나 흩뿌려졌다. 비교적 큰 물리적 충돌 없이 예배당 중앙 통로에 있는 의자들은 열 지어 배치되었고, 이에 맞춰 설교단은 설교에 대한 새로운 의미 부여를 위해 상징적으로 설치되었다. 설교단 위의 반향판에 수수께끼 형태로 새겨진 문자들은 종교개혁의 도입을 회상케 한다.

 

독일어 원문: Der nach Frankreich verschaffte Kirchenschatz ist im Laufe der Zeit vollständig verschwunden, die Statuen und Bildtafeln als ikonographische Zierde der Seitenkapellen sind zerstört oder zerstreut worden. Ohne größere Gewaltanwendung verlief die Anordnung von Bankreihen im Hauptschiff, dazu wurde eine Kanzel als Symbol für die neue Aufwertung der Predigt angebracht. In ihrem Schalldeckel erinnert eine Inschrift in Form eines Worträtsels an die Einführung der Reformation.

 

Seitenkapelle = 측랑의 소예배당

 

= eine seitlich am Kirchenschiff angebrachte Kapelle mit einem Altar

 

Ohne größere Gewaltanwendung verlief die Anordnung von Bankreihen im Hauptschiff

 

= 비교적 큰 폭력 행사 없이 중앙 통로의 의자들은 열 지어 배치되었다.

 

Schalldeckel = (설교단 위의) 반향판

 

단어와 문장을 바로잡았다.

 

 

 

설교단 위의 반향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그런데 그녀가 프랑스 왕조에 속하게 되었다는 사실은 프랑스 왕 루드비히 12(통치 기간: 1498-1515)에 적대적이었던 스위스주들을 자극했고, 그 결과 이 주들은 자신들이 영토를 안전히 지키기 위해서 백작령을 17년간(1512-29) 점령했으며, 그곳에 새로운 무력 체계를 도입하면서 스위스의 다른 도시들과의 관계를 강화해나갔다.(373-374)

 

그런데 그녀가 프랑스 왕조에 속하게 되었다는 사실은 프랑스 왕 루이 12(통치 기간: 1498-1515)에 적대적이었던 스위스주들을 봉기하게 만들었고, 그 결과 이 주들은 자신들이 영토를 안전히 지키기 위해서 백작령을 17년간(1512-29) 점령했으며, 그곳에 새로운 통치 체계를 도입하면서 스위스의 다른 도시들과의 관계를 강화해나갔다.

 

독일어 원문: Ihre damit verbundene Zugehörigkeit zu einer Dynastie von Prinzen von Geblüt versetzte die gegen den französischen König Ludwig XII. (reg. 1498.1515) eingestellten Schweizer Kantone in Aufruhr. Zur Sicherung ihrer Grenzen hielten diese Kantone deshalb die Grafschaft 17 Jahre lang besetzt (von 1512 bis 1529), führten dort auch neue Verwaltungsstrukturen ein und verstärkten die Beziehungen zu den helvetischen Städten.

 

Ludwig XII = Louis XII = 루이 12

 

in Aufruhr versetzen = 봉기하게 하다

 

단어와 문장을 바로잡았다.

 

 

 

루이 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작은 백작령의 중심부였던 노이엔부르크(Neuenburg)잠시도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지역의 종교개혁을 위한 교두보가 된 적이 없었다. 그러나 바로 이곳에 왕성한 활동력을 가진 빌헬름 파렐(Wilhelm Farel) 살고 있었으며, 또한 바로 이곳에서 프랑스어로 번역된 개신교의 첫 성서가 출판되었다.(373)

 

작은 백작령의 중심부였던 뇌샤텔(Neuchâtel)잠시도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지역의 종교개혁을 위한 교두보가 될 것은 미리 정해지지 않았다. 그러나 바로 이곳에 왕성한 활동력을 가진 기욤 파렐(Guillaume Farel) 정착했으며, 또한 바로 이곳에서 프랑스어로 번역된 개신교의 첫 성서가 출판되었다.

 

Als Zentrum einer kleinen Grafschaft war Neuenburg in keiner Weise prädestiniert, auch nur für kurze Zeit zum Brückenkopf der Reformation im französischsprachigen Raum zu werden. Aber gerade dort ließ sich der umtriebige Wilhelm Farel nieder, und eben dort wurde auch die erste protestantische Bibel in französischer Sprache gedruckt.

 

Neuenburg = Neuchâtel = 뇌샤텔

 

prädestinieren = 예정하다, 미리 정하다

 

Wilhelm Farel = Guillaume Farel = 기욤 파렐

 

단어와 문장을 바로잡았다.

 

 

 

다음 지도를 참고할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15304투표를 통해 노이엔부르크는 프랑스어권 최초의 개혁교회 도시가 되었으며, 새로운 신앙의 전파를 위한 허브 역할을 담담하게 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노이엔부르크는 이러한 위치를 제네바에 내어주게 되었다.(378)

 

1530114 투표를 통해 뇌샤텔은 프랑스어권 최초의 개혁교회 도시가 되었으며, 새로운 신앙의 전파를 위한 허브 역할을 담담하게 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뇌샤텔은 이러한 위치를 제네바에 내어주게 되었다.

 

독일어 원문: Mit der Abstimmung vom 4. November 1530 avancierte Neuenburg zur ersten reformierten Stadt im französischsprachigen Raum und wurde zu einem Drehkreuz für die Verbreitung des neuen Glaubens - ein Status, den die Stadt in der Folgezeit allerdings an Genf abtreten musste.

 

Neuenburg = Neuchâtel = 뇌샤텔

 

투표 날짜를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기욤 파렐

 

거기서 그에게 큰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진 자크 르페브르(Jacques Lefèvre)와 파베르 스타플렌시스(Faber Stapulensis)와 접촉했으며, 1520년 이후에는 그와 함께 프랑스 교회의 개혁에 힘쓴 모(Meaux) 그룹에 속했다.(377)

 

거기서 그에게 큰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진 자크 르페브르(Jacques Lefèvre)라틴어 이름: 파베르 스타풀렌시스(Faber Stapulensis)와 접촉했으며, 1520년 이후에는 그와 함께 프랑스 교회의 개혁에 힘쓴 모(Meaux) 그룹에 속했다.

 

독일어 원문: Dort trat er in Kontakt mit Jacques Lefèvre (Faber Stapulensis), der ihn stark beeinflussen sollte. Farel gehörte mit ihm zusammen in den ersten Jahren nach 1520 dem Meaux-Kreis an, der sich um eine Reform der Kirche Frankreichs bemühte.

 

Jacques Lefèvre = Faber Stapulensis

 

인명을 바로잡았다.

 

 

 

자크 르페브르(파베르 스타풀렌시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