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엘 벨커 외, 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리프란트의 구교 수도원장 볼터 폰 플레텐베르크(Wolter von Plettenberg, 재직기간: 1494-1535)의 관망적인 태도와 리가 기사단이 도시와 맺고 있는 정치적인 동맹 때문에 초창기에는 리가에서 성공하던 것이 도르팟에서는곧이어 레팔에서도반복될 수 없었다. 왜냐하면 이곳에서 도시의 자치권은 주교의 도시영주권에 비해 약했기 때문이다.(441)

 

리보니아의 구교 수도원장 볼터 폰 플레텐베르크(Wolter von Plettenberg, 재직기간: 1494-1535)의 관망적인 태도와 리가 기사단이 도시와 맺고 있는 정치적인 동맹 때문에 초창기에는 리가곧이어 탈린에서도에서 성공하던 것이 타르투에서는 반복될 수 없었다. 왜냐하면 이곳에서 도시의 자치권은 주교의 도시영주권에 비해 약했기 때문이다.

 

독일어 원문: Was in Riga wegen der abwartenden Haltung des altgläubigen livländischen Ordensmeisters Wolter von Plettenberg (reg. 1494.1535) und des politischen Bündnisses der Stadt mit der Rigaer Ritterschaft - kurz darauf auch in Reval - gelang, konnte jedoch in Dorpat zunächst nicht wiederholt werden, da hier die Autonomie der Stadt gegenüber dem bischöflichen Stadtherrn schwächer ausgeprägt war.

 

Livland = Livonia = 리보니아

 

Reval = Tallinn = 탈린 = 에스토니아 수도

 

Dorpat = Tartu = 타르투 = 에스토니아 제2의 도시

 

단어와 문장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리프란트에서 루터의 이름은 보름스 제국회의(1521) 이후 비로소 알려지기 시작했다. 리프란트의 고위성직자의 날(Prälatentag), 즉 주교들의 모임은 보름스 칙령이 공고되던 그해 6월에 결의되었다.(440, 문장교정 인용)

 

리보니아에서 루터의 이름은 보름스 제국회의(1521) 이후 비로소 알려지기 시작했다. 리보니아의 고위성직자 회의(Prälatentag), 즉 주교들의 모임은 그해 6월에 무엇보다도 보름스 칙령의 공고를 결의했다.

 

독일어 원문: Luthers Name war in Livland wohl erst seit dem Wormser Reichstag (1521) bekannt. Ein livländischer Prälatentag, die Versammlung der Bischöfe, beschloss noch im Juni desselben Jahres u. a. die Bekanntmachung des Wormser Edikts.

 

Livland = Livonia = 리보니아

 

Prälatentag = 고위성직자 회의

 

단어에 주의할 것:

 

여기서 Tag’이 아닌 회의’.

 

u. a. = 무엇보다도, 특히

 

die Bekanntmachung des Wormser Edikts beschließen

 

= 보름스 칙령의 공고를 결의하다

 

단어와 문장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리프란트는 외부적으로는 선전 요새이자 중세 후기에 확장일로를 걸어온 자칭 야만적인 러시아 이단자들에 맞서서 기독교의 엄호벽역할을 수행하였다.(437)

 

리보니아는 중세 후기에 확장일로를 걸어온 이른바 야만적인 러시아 이단자들에 맞서서 외부적으로는 선전 요새이자 기독교의 엄호벽역할을 수행하였다.

 

독일어 원문: Diese exponierte Lage an der Grenze zur Orthodoxie spielte für das Selbstverständnis Livlands eine zentrale Rolle - als nach außen propagiertes „Bollwerk“ bzw. eine „Vormauer der Christenheit“ gegen die vermeintlich barbarischen russischen Häretiker, die sich seit dem Spätmittelalter in Expansion befanden.

 

Livland = Livonia = 리보니아

 

„Bollwerk“ bzw. eine „Vormauer der Christenheit“ gegen A

 

= A에 대항하는 요새기독교의 엄호벽

 

vermeintlich = 이른바, 소위

 

단어와 문장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그는 리프란트 출신으로 로이코레아’(Leucorea, 루터가 강의했던 비텐베르크 대학의 건물-옮기이 )에 등록한 다섯 번째 사람이었지만, 몇 가지 근거를 감안하면 리프란트 출신으로 비텐베르크에서 공부한 루터의 첫 번째 학생이었다는 사실은 분명해 보인다.(436)

 

그는 리보니아 출신으로 로이코레아’(Leucorea, 비텐베르크 대학교의 이름-옮긴이 )에 등록한 다섯 번째 사람이었지만, 몇 가지 근거를 감안하면 리보니아 출신으로 비텐베르크에서 공부한 루터의 첫 번째 학생이었다는 사실은 분명해 보인다.

 

독일어 원문: Obwohl er bereits der fünfte Livlander an der „Leucorea“ war, gilt er mit einiger Berechtigung als der erste Wittenberger Luther-Schuler in Livland.

 

Livland = Livonia = 리보니아

 

Leucorea = 로이코레아

 

= 비텐베르크 대학교의 이름

 

로이코레아비텐베르크를 그리스어화한 것.

 

Die Wittenberger Hochschule bekam von den hier wirkenden Humanisten den griechischen Namen Leucorea verliehen (altgriechisch λευκός und ὄρος, d. h. weißer Berg).

 

옮긴이 주를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누락

 

그가 150510월 폼메른주의 그라이프스발트 대학(Universität Greifswald)에 입학하려고 교적부에 등록한 내용이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해준다. “헤르마누스 마르조프, 리가의 성직자”(Hermannus Marsow, clericus Rigensis)를 통해 우리는 그가 15세기에도 마르조프라는 가문이 존재하고 있던 리가 출신의 성직자였음을 알 수 있다.(436, 문장수정 인용)

 

그가 150510월 폼메른주의 그라이프스발트 대학(Universität Greifswald)에 입학하려고 학적부에 등록한 내용이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해준다. “헤르마누스 마르조프, 리가의 성직자”(Hermannus Marsow, clericus Rigensis)를 통해 우리는 그가 15세기 마르조프라는 가문이 존재하고 있던 리가 출신의 성직자였음을 알 수 있다.

 

독일어 원문: So zumindest lässt sich seine Eintragung in das Matrikelbuch der pommerschen Universität Greifswald im Oktober 1505 deuten: „Hermannus Marsow, clericus Rigensis“ . er war demnach also ein Geistlicher aus Riga, wo es im ausgehenden 15. Jahrhundert auch mindestens eine Familie Marsow gab.

 

im ausgehenden 15. Jahrhundert = 15세기 말에

 

빠진 단어를 보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